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정치.행정의 역사와 유교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88959669325
· 쪽수 : 444쪽
· 출판일 : 2017-12-28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88959669325
· 쪽수 : 444쪽
· 출판일 : 2017-12-28
책 소개
유교권 국가의 전통에서는 행정을 하는 ‘사람’에게 무게를 두는 경향이 강하다. 사람에게 무게를 두었기 때문에 ‘어떤 사람’이 ‘무엇’으로 관료가 되는지, 그리고 ‘어떤 생각’으로 행정을 하는지는 중요한 정치적 문제였다.
목차
서문
머리말: 시좌(視座)와 시각(視角)을 탐색하다
1부_고유 형태의 관료제와 행정
1장 고유 형태의 관료제 이해를 위한 시좌
2장 한국 고대 관료제의 특징
3장 삼국 시대 관료제의 특성과 관료
2부_유교관료제로의 과도적 전환
1장 유교 사상과 관료제의 결합
2장 고려 관제의 준거 모델
3부_유교관료제에 대한 시좌와 시각의 정초(定礎)
1장 조선조 관료제는 가산관료제인가?
2장 유교관료제에 대한 시좌와 시각 구성
4부_유교관료제의 사상적 기초
1장 유가 정치사상의 이론적 구조
2장 제왕의 자격과 유교적 정당화의 논리
3장 치자와 피치자의 관계: 민본주의적 지향
5부_조선 초기의 개국 구상과 사상지형
1장 정도전의 개국 구상과 사상적 배경
2장 행정의 원칙과 유자 관료
3장 ‘용비어천가’에 나타난 조선조 개국의 정당화 논리
6부_조선조의 엘리트 구조와 유자 관료의 특성
1장 조선조의 엘리트 구조와 관료의 위상
2장 행도형(行道型) 유자관료의 성격
7부_조선조 관료제의 기본 구조와 정책 과정
1장 조선조 관료제의 기본 특징
2장 조선조 관료제의 기본 구조
3장 조선조 정책 과정의 특징
8부_정치사상의 변화와 행도형 유자 관료의 변이
1장 조선 전기 정치사상의 특징과 경세형 유자 관료
2장 조선 후기 정치사상의 특징과 이념형 유자 관료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