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마케팅/세일즈 > 광고/홍보/PR
· ISBN : 9788959890408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06-08-10
책 소개
목차
Part 1. 공익 마케팅이란 무엇인가?
Part 2 공익연계마케팅의 전제조건
2. 상품의 범람과 고객충성도의 중요성
3. 미디어의 폭주와 영리한 소비자들
4. 매슬로우 욕구단계설과 신뢰의 상실
5. 다이애나 효과와 브랜드의 기회
Part 3 브랜드 제3의 물결
6. 브랜드와 브랜딩의 의인화
7. 브랜딩의 3가지 물결
8. 신뢰성 있는 기업문화의 저력
Part 4 공익 마케팅의 본질
09. 공익 마케팅은 자선행사가 아니다
10. 기부의 성격
11. 공익 마케팅을 이용한 기업의 영리추구
12. 자선인가, 공익인가?
Part 5 공익 마케팅의 구현
13. 공익 마케팅을 위한 초기 준비
14. 브랜드 영역의 구축
15. 공익 마케팅의 컨셉 개발
16. 공익 마케팅 캠페인 구현
17. 공익 마케팅 캠페인의 구상
18. 미디어의 중립성과 기업의 바디 랭기지
19. 공익 마케팅과 디지털 혁명
Part 6 공익 마케팅 우수 사례
20. 대규모 공익 마케팅 사례
21. 소규모 공익 마케팅 사례
Part 7 공익 마케팅의 과거와 미래
22. 자선 문화의 전통
23. 자선 문화의 발달
24. 컴퍼니 타운
25. 모두가 주인인 사회
26. 밀레니엄 이펙트
저자소개
책속에서
진정한 공익 마케팅의 또 다른 두드러진 특징은 바로 장기성에 있다. 자선활동을 통한 판촉 행위는 보통은 단기적으로 이루어지며 그만큼 반응도 짧은 기간 안에 수그러든다. 이는 보통 자선행위를 통한 판촉활동이 그야말로 신속한 결과를 기대하고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공익 마케팅은 브랜드의 이미지 고양이나 사회 특정 이슈를 다루는 접근 태도에 있어서 근본적으로 장기적인 변화를 추구한다. 다시 말해서 전술적인 변화가 아니라 전략적인 변화를 요구한다는 것이다. - 본문 174p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