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시론
· ISBN : 9788960213852
· 쪽수 : 592쪽
· 출판일 : 2018-09-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부 고독과 신성
원형 상상과 주술 공감―김소월론•10
거경궁리의 정신과 예언자적 지성―이육사론•34
마음의 미의식과 허무 의지―김영랑론•58
고독과 신성의 변증―김현승론•82
해방공간과 이념적 선택의 도상학―설정식론•103
존재론적 극복과 영원성의 향유―구상론•127
죽음 의식과 삶의 언어―조병화론•151
구극의 언어와 형이상의 개척―최동호론•173
탈주의 양식론과 내적 초극의 언어―황지우론•192
최승호와 불교적 상상―최승호론•216
‘귀수성’과 동학혁명운동의 현재적 가능성―신동엽, 『금강』론•240
‘흰 그늘’의 미의식과 생명사상론•263
1980년대 현실주의 시사와 역동적 중도의 지형•284
지구화 시대의 가치 규범과 동학의 생명사상•309
제2부 구극과 무위
부감법의 시학과 사랑의 언어―오세영, 『밤하늘의 바둑판』•336
사랑 그 찬란한 결핍―문정희, 『사랑의 기쁨』•349
청빈과 고요의 언어―조정권, 『검은 먹으로 흰 꽃을 그리다』•362
시적 계시 혹은 성속일여의 세계관―고진하, 『거룩한 낭비』•368
고요와 견성의 미학―이재무, 『슬픔은 어깨로 운다』•379
실존적 삶의 지층과 북방의식―정철훈, 『뻬쩨르부르그로 가는 마지막 열차』•393
텐산에서의 실존을 위하여―최석, 『톈산산맥 아래에서』•406
무위와 성찰의 언어―이상옥, 『그리운 외뿔』•418
시천주 혹은 공경의 생태학을 위하여―김익두, 『숲에서 사람을 보다』•425
그리움을 앓는 소년―허연, 『오십 미터』•439
질박한 결기 혹은 현존재성의 언어―박현수, 『겨울 강가에서 예언서를 태우다』•445
당신과 속삭이지만 당신은 부재하고―방민호, 『나는 당신이 하고 싶은 말을 하고』•458
박명의 정서와 감각―송희복, 『저물녘에 기우는 먼빛』•471
“젓갈” 혹은 견인과 초극의 미의식을 위하여―김완, 『바닷속에는 별들이 산다』•479
제3부 작고 나직하여서
맑고 친숙한 죽음•490
작고 나직하여서•498
‘흰 그늘’의 눈부심을 위하여•505
메타-리얼리티meta-reality를 위하여•515
지독하도록 낯익은 고통•523
역설적 통합의 미학을 위하여•533
“모래시계”의 말을 찾아서•540
서성거림의 시간성을 위하여•547
반대일치의 고리, 그 창조적 여백의 소슬함•554
서정주, 입고출신의 미학적 계보에 관한 재인식•562
히스테리아의 여로•573
어둠으로 그린 높고 위태롭고 환한 길•581
무위의 자화상을 위하여•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