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주식/펀드
· ISBN : 9788960600546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07-09-2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_ 주식투자의 시대를 어떻게 맞이할 것인가?
1부 역동적인 주식투자 시대에 적극 대비하라
Preview_ 노령화의 위기, 주식투자로 슬기롭게 대비하라
은퇴 후 30년의 삶, 어떻게 대비할 것인가?
주식투자, 위대한 혁명은 진행 중이다
시장수익률보다 수익률이 못한 이유를 파악하라
주식시장에서 승자가 되기 위한 핵심 원리 2가지
2부 대한민국 주식시장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Preview_ 시장의 장기 추세를 파악해 향후 흐름을 조망하라
1장 1980년대, 대한민국 주식시장의 첫 번째 전성기
우리나라 주식시장은 10년 주기로 추세가 달라진다
유례없는 개인투자자들의 붐이 시작되다
세계적인 물가 하락이 경제 성장의 발판이 되다
저금리 시대, 투자의 패러다임이 바뀌다
1989년 4월, 주식시장이 무너지다
2장 1990년대, 대한민국 주식시장이 부진했던 이유
시장의 추세와 정부 정책은 큰 연관이 없다
고물가·고금리가 주식시장의 발목을 잡다
공격적인 경기 부양 정책이 결국 실패로 돌아가다
1990년대 우리나라 수출경쟁력이 약화된 이유
경상수지 악화가 1997년 외환위기로 이어지다
경상수지의 흑자 전환, 주식시장의 랠리로 이어지다
1999년, 저금리의 축복 속에 주식시장이 살아나다
IT 거품의 형성과 붕괴 현상을 파악하자
3장 2000년대, 대한민국 주식시장의 부활과 장기 호황의 원인
2000년대 초의 주가 하락 원인 3가지
경제와 주식시장은 중앙은행이 원하는 대로 움직인다
저물가·저금리 구조가 정착된 이유 3가지
강력한 중국 효과로 두 마리 토끼를 잡다
주식시장을 위협하는 3가지 악재를 유의하라
4장 추세 판단의 잣대에는 어떤 것이 있나?
추세를 파악하기 위한 필수 지표 ① _ 소비자물가상승률
추세를 파악하기 위한 필수 지표 ② _ 경상수지 추이
미국 베이비붐 세대 은퇴로 인한 저물가·저금리 현상
우리나라 경상수지 흑자는 중국 경제에 달려 있다
인구 구성에 따라 중국은 2015년까지 고성장세가 지속된다
2015년을 전후해 경상수지와 금리 변화에 반드시 주목하라
3부 주식시장의 흐름을 예측하는 방법은 따로 있다
Preview_ 경제순환을 파악해 주식시장의 단기 순환을 예측하라
1장 경기선행지수만 잘 알아도 주식시장의 순환이 보인다
경기선행지수는 경기를 판단하는 가장 유용한 지표다
경기선행지수와 재고순환으로 시장의 단기 흐름을 파악하라
경기선행지수의 정점 판단에 도움이 되는 지표들
2장 교역조건의 변화는 경기 변동의 제1원인이다
교역조건의 변화가 우리 경제를 좌우한다
교역조건은 경기선행지수의 선행 지표다
수입물가 상승이 항상 악재인 것은 아니다
수입·수출물가가 동반 상승할 때의 주식투자법
3장 통화 정책의 변화가 단기적인 순환을 좌우한다
통화 정책 변화가 경제순환을 일으킨다
미국의 정책금리가 세계 주식시장의 순환을 좌우한다
정책금리는 인상됐지만 시장금리가 오르지 않는 이유
미국 채권금리로 우리 주식시장의 단기적 순환을 판단하라
4부 향후 주식투자, 이런 전략으로 승부하라
Preview_ 주식시장의 추세와 순환을 파악하면 성공투자의 길이 보인다
경상수지 개선은 수출주 비중 확대의 신호다
물가와 금리가 하락할 때의 주식투자 전략
주가 고점의 4가지 징후를 파악하라
에필로그_ 주식투자로 성공하고 싶다면 인내심을 키워라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2003년 이후 개인 투자자와 외국인투자자의 순매수 상위 종목의 수익률을 조사해보면, 개인투자자들이 투자한 종목의 수익률이 시장(KOSPI) 수익률보다 낮은 것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국인투자자들이 매수한 종목은 대부분 시장수익률을 상회한 반면, 개인투자자들이 매수한 종목은 시장수익률을 하회한 경우가 잦았다.
개인투자자들이 매수한 종목의 수익률이 시장수익률을 크게 하회한 이유는 무엇일까? 그 이유는 개인투자자의 순매수 상위 종목의 리스트를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이는 기업의 내재가치보다는 기업의 이름값에 너무 집착해 투자했기 때문이다.-본문 34p 중에서
2000년대 초 우리나라 주식시장이 긴 시간 동안 부진했던 이유는 크게 3가지 요인으로 정리할 수 있다. 소비 위축, 투자 감소, 테러와의 전쟁으로 이 가운데 주가 폭락으로 시작된 전 세계의 소비 위축은 다른 2가지의 요인을 합친 것보다 더 큰 충격을 미쳤다. 주가 폭락시 코스닥시장의 하락률이 나스닥시장보다 더 컸으며, 코스닥시장의 거래대금 중에 개인투자자들의 비중은 90% 이상으로 그 충격은 더 컸다.-본문 116p 중에서
통화 정책의 변화에 따른 경기순환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우리나라보다 미국의 정책금리에 대해 먼저 살펴봐야 한다. 대개 우리나라 정책금리는 미국의 정책금리에 뒤따라 움직이는 경우가 많고, 미국의 정책금리의 변화가 세계 채권시장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미국 시장금리에 우리나라의 채권금리가 동조화되는 이유는 무엇보다 미국이 세계 금융시장에서 압도적인 힘을 발휘하기 때문이다. 특히 미국이 ‘달러’라는 기축통화를 장악하고 있어 경상수지 적자를 무제한적인 국채 발행으로 메울 수 있다는 것도 미국 연준의 영향력을 확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본문 228p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