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주식/펀드
· ISBN : 9788960601161
· 쪽수 : 348쪽
· 출판일 : 2009-06-03
책 소개
목차
옮긴이의 말_ 10년 동안 미뤄둔 숙제를 마치다
지은이의 말_시장 세분화와 스타일 투자 전략
Part 1 주식시장의 주요 세그먼트
1장 시장 세분화의 정의와 이해
오리지널 시장 모델에 대한 비판
스타일 투자 전략의 등장
잘 알려진 시장 세그먼트
덜 알려진 시장 세그먼트
CHAPTER 01 핵심 내용
2장 명목이익 성장 및 투자자 위험 인식의 경제학
주가와 명목이익 성장
명목이익 성장의 희소성 여부
상각과 당기순이익
투자자들의 위험에 대한 인식
CHAPTER 02 핵심 내용
3장 예측의 중요성
어닝 서프라이즈의 예측
이익예상 라이프사이클의 단계들
성공하는 투자자 vs 실패하는 투자자
스타일 투자의 핵심은 역발상 투자
역발상 투자자가 그리 많지 않은 이유
CHAPTER 03 핵심 내용
Part 2 주요 시장 세그먼트와 스타일 투자 전략
4장 성장주 vs 가치주
성장주 및 가치주 투자가 관심을 끈 배경
가치주·성장주 선정 기준에 따른 투자 성과의 차이
이익 모멘텀의 변화 방향과 투자 스타일
인플레이션과 투자 스타일
주식 듀레이션과 투자 스타일
수익률 곡선 기울기에 따른 투자 스타일
경기와 기업경영 상태에 따른 투자 스타일
CHAPTER 04 핵심 내용
홍춘욱의 Special Tip_한국의 가치주와 성장주는 어떠한가?
5장 하이 퀄리티 vs 로우 퀄리티
퀄리티와 S&P의 보통주 등급
기업의 퀄리티와 투자성과의 관계
퀄리티 효과와 경기의 관계
투자자들이 ‘좋은 주식’보다 ‘좋은 기업’을 찾는 이유
‘좋은’ 기업에 투자하는 것은 사과에 대한 두려움 때문
CHAPTER 05 핵심 내용
6장 하이 베타 vs 로우 베타
베타의 효용성
베타와 혼동되는 개념들
베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베타를 조정하는 이유와 방법
증권시장선 기울기 변화의 원인
CHAPTER 06 핵심 내용
7장 배당수익률 vs 주식 듀레이션
듀레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주식 듀레이션을 계산하는 3가지 방법
거의 관계가 없는 배당수익률과 듀레이션
인플레이션 전가도의 영향력
가치주와 성장주의 듀레이션
소형주 부진의 원인은 금리
주식수익률 곡선
CHAPTER 07 핵심 내용
8장 대형주 vs 소형주
소형주 투자 성과의 사이클
소형주의 정의와 소형주 투자의 성공 요인
소형주 효과는 곧 소형가치주 효과
명목경제성장률과 소형주 효과의 관계
주식수익률 곡선에 따른 소형주의 성과
무신된 주식 효과와 소형주
소형주 투자, 지역 경제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CHAPTER 08 핵심 내용
홍춘욱의 Special Tip_한국의 소형주는 과연 독보적인 성과를 거두었나?
Part 3 자산 관리와 배분의 원칙
9장 연금운용관리자를 위한 중요 사항
피하기 힘든 스타일 로테이션의 덫
스타일 과거 성과를 충분히 숙지하라
비교 대상 집단 분석이 합리적
경제전망을 스타일 로테이션에 활용하라
합리적인 가격에서의 성장 전략
펀드의 위험이나 변동성도 관심 가져야
분산 투자의 따른 이점
주식과 채권 포트폴리오의 듀레이션 전략
CHAPTER 09 핵심 내용
10장 준비된 장기 투자자를 위한 중요 사항
시장 컨센서스의 변화
다양한 포트폴리오의 상대성과와 장기 추세
다양한 투자 스타일의 장기 성과 그래프
참고문헌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이 책에서 소개된 많은 시장 세그먼트들은 사람들이 세그먼트를 어떻게 정의하는지와는 상관없이, 이익전망에 대한 투자자들의 인식 변화로 나타난 성과의 유사성에 따라 분류된다. 미래의 명목성장에 대한 기대가 낙관적으로 변화해갈 때 소형주는 대형주에 비해 성과가 좋고, 로우 퀄리티 주식은 하이 퀄리티 주식에 비해 좋은 성과를 낸다. 이들은 모두 위험한 시장 세그먼트들이다. 반면에 대형주, 하이 퀄리티 주식, 로우 베타 주식, 성장주 등은 안전한 시장 세그먼트로 비관론이 힘을 얻을 때 좋은 성과를 낸다. 결과적으로 ‘위험한 세그먼트가 생각보다 그렇게 위험하지는 않다’는 시장 컨센서스가 새롭게 형성될 때, 투자자들은 수익 전망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성과마저 부진하다며 안전한 세그먼트를 멀리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렇게 형성된 시장 컨센서스는 이익사이클의 정점을 전후해 만장일치에 도달한다. - 10장 중에서
시장 세그먼트는 거시와 미시라는 2가지로 나눌 수 있지만, 시장 참여자들은 이 용어보다는 탑다운(top-down)과 바텀업(bottom-up)이란 표현을 더 좋아한다. 탑다운 분석은 거시경제 여건(top)에서 출발해 개별 종목 선정(bottom)으로 내려오면서 분석하는 방법이다. 탑다운 분석은 A종목과 B종목 사이의 상대적인 가치평가보다는, 경제 전체의 산업 생산이 기계장비 업종 주식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인다. 반면에 바텀업 분석은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작업을 개별 종목 데이터(bottom)에서 시작해 위로 올라가며 분석하는 방법이다. 탑다운 세그먼트는 일반적으로 전체 거시경제 차원에서 정의되는 반면, 바텀업 세그먼트는 개별 종목의 특성에 따라 구분된다. 탑다운 세그먼트의 예로는 경기민감주(cyclical stock)가 있으며, 바텀업 세그먼트의 예로는 하이 레버리지 주식(highly leveraged stock)이 있다. - 1장 중에서
스타일 투자자에게 가장 귀중한 경제 전망은 기업의 수익성이 개선될 것인지 아니면 떨어지느냐의 여부일 것이다. 그 이유는 이익 성장의 가능성이 시장 세그먼트의 투자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비치는 변수로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때로는 스타일 투자자들이 너무 다양한 경제 정보로 인해 부담을 느끼는 일도 벌어진다. 현재 월가 경제 전망에는 산업 생산, 수익성, 수입, 투자, 소비, 수출 등 중요 경제지표가 상세하게 포함된다. 이런 정보들은 향후 경제 성장의 윤곽을 잡는 데 모두 중요한 요소이긴 하지만, 스타일 투자자는 무엇보다 전체 기업의 수익성 수준과 수익성의 개선 혹은 악화 여부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 2장 중에서
만일 시장이 미래의 사건에 대한 현재 시장 참여자들의 인식을 잘 할인해 가격에 반영한다면, 경제 혹은 개별 기업과 연관된 사건의 영향력을 측정하려는 리서치 자료의 가치는 의심받을 것이다. 시장 컨센서스를 기반으로 하는 정보는 제한적인 투자가치를 갖는다. 그 이유는 만일 데이터에 시장 컨센서스가 반영되어 있고 또 그 데이터가 투자자들에게 제공된다면, 그 정보는 이미 주가에 반영되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투자 리서치의 진정한 가치는 시장 컨센서스와 투자 전망 사이에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혹은 시장 컨센서스가 어떤 미래의 사건을 어떤 투자전망이 예상했던 방향으로 움직일 것인지, 그리고 컨센서스의 변화를 가져올 사건이 주가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밝혀내는 데 있다. 경제성장률이 3%인지 혹은 어떤 기업이 분기에 주당 1달러의 이익을 냈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 3장 중에서
가치주 펀드매니저와 성장주 펀드매니저는 ‘무엇이 성장이고 가치인가?’라는 질문을 던져봄으로써 현명한 투자의 기회를 잡을 수 있을 것이다. 어떤 용어에 대한 정의 혹은 전략은 사람들의 성과를 결정지으며, 왜 이런 스타일이 성과를 올리는지를 이해하는 데 핵심적 역할을 한다. 가치는 정의하기가 비교적 쉽지만, 성장은 약간 애매하다. 더 나아가 스타일이 완전히 배타적인지 여부도 고려해야 한다. 즉 성장주가 저평가되거나 가치주가 더 우월한 성장성을 가질 수도 있다. 그렇다면 성장주와 가치주 투자자의 포트폴리오에 같은 주식이 공통적으로 선택될 수는 없는 것일까? 표 4-1은 메릴린치 정량분석팀이 개발한 가치주 및 성장주의 투자 성과를 2가지 형태로 표시한 것이다. 여기서 한 가지 지적하고 싶은 것은 비슷한 투자 스타일이라고 추정되는 기업이나 펀드를 대상으로 집계했지만, 이들 지수의 성과가 꽤 다르다는 점이다. - 4장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