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류학/고고학 > 민속학
· ISBN : 9788960787568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22-02-15
책 소개
목차
1부 미역의 과거
1. 바다의 선물, 미역나물
2. 미역문화의 탄생 - 한민족은 해조민족(海藻民族)
3. 어촌마을 공동체의 뿌리, 해조계(海藻契)와 미역짬
4. 역사 기록으로 보는 미역문화사
- 곽소(藿所)와 곽세(藿稅), 그리고 진휼곽
5. 문학과 구전 속의 미역, 해조류 이야기
6. 미역은 추억이자 그리움이다
2부 미역의 현재
1. 생태지표로서의 미역, 해조숲은 탄소저장고
- 바다와 지구지킴이, 블루카본으로서의 가치 재조명
2. 해조류 양식과 우리의 바다
3. 숨비소리를 품은 미역
4. 지역경계를 넘어 미역문화유산벨트로!
5. 길 위의 미역문화 - 켈프로드(Kelp road)
6. 한민족의 식보(食補), 소울푸드 미역국(miyeok soup)
- 첫국밥에서 미역컵반까지 진화하는 미역국
3부 미역의 미래
1. 해조류의 왕국, 울릉도와 독도
2. 상상하는 해조류, 바다 잡초에서 바다의 황금으로!
3. 하나의 바다에서 평화를 키우는 해조류
4. 정신을 맑게, 몸을 가볍게 해주는 미역의 친구들
5. 미역(miyeok) - 해조류 문화를 유네스코 세계무형유산으로!
6. 해양력을 키워 해동성국(海東盛國)으로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책은 크게 기존의 육지 중심보다는 어촌 중심으로 로컬 지향적 입장에 서서, 수산음식으로서 객체가 아니라 인문 콘텐츠의 주체로서 미역문화사를 분석하여 그 인문학적 가치체계를 정립하고자 했다. 또 지속가능한 미역생산 체제를 갖추기 위한 동해안 지역의 어촌 생활문화의 보존 전승방안과 국제적인 마케팅 브랜딩 방안도 제시하였다. 그렇게 된다면 서남해안의 갯벌의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등재 추진에 이어 동해안의 미역 공동체 문화를 비롯한 해조류 문화의 유네스코 세계무형유산 등재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책의 주요 내용은 미역문화의 과거인 해양 유산적(heritage) 관점에서 조사한 우리나라의 미역 역사 문화, 소멸 위기에 있는 어촌문화공동체 보존가능성, 해양생태적(ecology) 관점에서 기후환경 위기에 대응한 해조류 연구 방향과 해양바이오산업(biology) 관점에서 분석한 가공 산업, 건강한 동해바다의 생태를 지켜 나가기 위한 미역산업의 발전 가능성과 국제화 필요성, 미역문화의 미래를 위한 정책 제안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