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당신은 피해자입니까, 가해자입니까

당신은 피해자입니까, 가해자입니까

(페미니즘이 이자혜 사건에서 말한 것과 말하지 못한 것)

양효실, 박수연, 박연아, 이나라, 이미래, 이연숙, 이진실, 이춘식, 허성원 (지은이)
현실문화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당신은 피해자입니까, 가해자입니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당신은 피해자입니까, 가해자입니까 (페미니즘이 이자혜 사건에서 말한 것과 말하지 못한 것)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여성학/젠더 > 여성문제
· ISBN : 9788965641988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17-07-30

책 소개

해시태그 운동의 한가운데 있었던 한 사건을 중심으로 피해자 vs. 가해자 구도가 삭제하고 폐기해버린 것들이 과연 무엇인지 성찰하고자 한다. 미학자 양효실과 미디어 문화 연구자 이나라 등 스스로 여성이고 퀴어임을 공표한 아홉 필자들은 오랜 토론과 고민 끝에 힘들여 글을 썼다.

목차

편집자 노트 … 9
서문 | 고통을 대면하는 우리, 불가능한 코뮌 … 17

이진실 | 페미니즘이 해시태그를 만났을 때 … 31
담론의 귀환인가, 실재의 귀환인가 … 33
‘가해자’라는 이름의 방역선 … 38
피해자-우리 vs. 가해자-괴물 … 45
이자혜라는 극단 … 48
해시태그에 담긴 욕망들 … 54
꿰기의 작동방식을 넘어 … 60

양효실 | 이 여자들을 보라
: 애드리언 리치의 「강간」과 비르지니 데팡트의 강간 이론 … 65

여성의 경험만으로 충분한가 … 67
성폭력의 바깥은 없다: 애드리언 리치의 시 「강간」 … 71
“강간 따위는 아무것도 아냐!”: 비르지니 데팡트의 강간 이론 … 85
나쁜 여자는 어디든 간다 … 96

이연숙 | 아직 제목을 정하지 못했습니다 … 101
생존과 인정 사이에서 … 103
범죄 행위로서의 <미지의 세계> … 108
<미지의 세계> 폐기 후 고려되지 않은 것들 … 114
불가능한 양자택일 … 121

박연아 | 너는 누구의 편이냐고 물으신다면 … 127
욕하고 편들기 그리고 다시, 편들고 욕하기 … 129
제대로 된 공감은 가능할까 … 132
‘아무도 불편해하지 않는 말’을 찾아서 … 136
잃어버린 명예는 되찾을 수 있을까 … 140

박수연 | 나는 날선 꿈들을 팔아 불감을 마련했었다 … 143
어떤 생태보고서 … 145
글로리아 … 146
구름일대기 … 149
나는 날선 꿈들을 팔아 불감을 마련했었다 … 152
너희, 왼쪽 뺨 … 154
채분 … 155
대면, 사건, 교착 … 157

이나라 | 오해의 세계 … 163
추방당한 작가 … 165
<미지의 세계>는 왜 정치적인 예술인가 … 171
미지의 소란, 의미의 해방 … 179
작가는 ‘건강한 분열증’을 앓는다 … 185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마주하는 오해의 세계 … 193

허성원 | 도덕적 폭력, 그 상큼한 쾌락의 원천 … 197
사건의 개요 … 199
이자혜라는 상징물, 구덩이로 굴러 떨어지다 … 200
쾌락의 주춧돌 쌓기 … 203
윤리적 폭력의 동기, 쾌락 … 208
페미니즘의 유산: 피해와 고통에 자기 자신을 넘기지 않기 … 215

이춘식 | 우리들의 일그러진 여왕 … 223
2016년 10월 19일 이후 … 225
부서진 구버들의 세계 … 229
메타는 없다 … 234
새로운 토템은 그들을 구원할 수 있을까 … 243

이미래 | 얼굴들 … 249

부록 | #○○계_내_성폭력 해시태그 사건일지 … 275

저자소개

양효실 (글)    정보 더보기
대학에서 강의하고 미술 비평을 한다. 지금 키워드—‘여성’, 청년, 퀴어, 소녀(girl), 장애, 펑크, 유머, 다양성, 차이 등등. 주디스 버틀러의 책을 번역하며 버틀러의 사유와 글쓰기 방식을 체화한 듯하다. 요즘 대학 수업 시간에는 일인칭으로 고백하면서 국가 체제와 휴머니즘 이데올로기, 이성애-가부장-제국주의 등등을 비판하는 텍스트들을 여럿 읽고 있다. 고통과 의심, 주체성의 와해를 겪으면서 유머를 구사하고 사랑을 고집하는 필자들에게 감동 중이다.
펼치기
이나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미지문화 연구자. 영화, 무빙 이미지, 재난 이미지, 인류학적 이미지에 대한 동시대 미학 이론을 연구하고, 동시대 이미지 작업에 대한 비평적 글쓰기를 시도한다. 쓴 책으로 『유럽 영화 운동』, 『알렉산드르 소쿠로프』(공저), 『하룬 파로키: 우리는 무엇으로 사는가?』(공저), 『풍경의 감각』(공저) 『파도와 차고 세일』(공저) 등이, 옮긴 책으로 『어둠에서 벗어나기』 『색채 속을 걷는 사람』 등이 있다. 현재 고려대, 성균관대 등에서 영화와 비평이론을 강의하고 있다.
펼치기
박수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도 때도 없이 “그럼 그 일들도 말해야 할까?”라고 생각한다. 그러고 나서는 불현듯, 그것이 불쾌할 정도로 전형적인 거리낌이라고 생각한다. 입을 다물고 있기에는 그러라고 했던 사람들과 하나가 되는 것 같아서 진절머리가 난다. 말한다 치자. 그럼 나를 뭐라고 불러야 좋을까? 나는 이런 고민을 하는 여러 사람 중 하나이고 시시하게 살고 있으며 내일도 다행히 시시하게 살 것이다.
펼치기
박연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자는 시간을 빼면 늘 SNS에 접속해 있다. 인터넷 공간에서 사람들이 어떤 이야기를 하고 어떤 이야기는 하지 않는지에 대한 관심이 많지만, 늘 한 문단 이상 생각을 진행시킬 수가 없다. SNS 시대에 어울리는 미덕을 가졌다고 생각한다.
펼치기
이미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술대학에서 조각과 미디어를 전공하고 입체 매체 위주의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2014년 개인전 ‘낭만쟁취’(인사미술공간, 서울)에서 이자혜 작가와 협업, 만화책 『금덤판』을 출간했다. 이 책에는 이자혜 작가를 알게 된 시점부터 2년간의 시간을 일기 형식의 글로 담았다.
펼치기
이연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닉네임 리타. 대중문화와 시각예술에 대한 글을 쓴다. 2015 크리틱엠 만화평론 우수상, 2021 SeMA-하나 평론상을 수상했다. 저서로 《진격하는 저급들》 《여기서는 여기서만 가능한》을 썼고, 공저로 《퀴어 미술 대담》 《미친, 사랑의 노래》 등을 썼다. 블로그(https://blog.naver.com/hotleve)를 운영한다.
펼치기
이진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현대미학을 공부하고 시각예술에 관한 글을 쓰고 있다. 《리드마이립스》(성지은 공동기획, 합정지구, 2017), 《미러의 미러의 미러》(합정지구, 2018), 《합창 Dictee:Chorus》(안옥현 주최, 아마도예술공간, 2021)를 기획했다. 콜렉티브 ‘아그라파 소사이어티(Agrafa Society)’의 일원으로 웹진 ‘세미나’를 공동 기획, 편집했다. 2019년 SeMA-하나 평론상을 수상했다. 저서로 『사랑과 야망: 한국 동시대 페미니즘 미술의 시차들』(서울: 서울시립미술관, 미디어버스, 2021)이 있다.
펼치기
이춘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도로. 사건 이전까지는 ‘페미’였던 것 같다. 이후에는 모르겠다. 나 자신을 포함한 모든 믿음에 반대합니다. 착한 사람이 되려다 보니 나쁜 말만 하게 되었다.
펼치기
허성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여성학협동과정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며, 성 소수자 대학원생/신진연구자 네트워크에서 활동하고 있다. 몇 편의 젠더 및 퀴어 이론 텍스트 번역에 참여했고, 퀴어 이론과 후기 식민 연구에 관심을 두고 한국 사회의 퀴어 수행성을 연구하고 있다. 「퀴어 정동 정치를 향하여: 독해 실천으로서의 퀴어 정동 이론」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트위터상에서 벌어진 이자혜에 대한 비난이 언론보도까지 가세해 증폭된 것은 그동안 그들이 그렸던 범죄자의 이미지와 메갈리아를 옹호하고 트위터에서 패드립을 치는 작가가 그로테스크하게 들어맞았던 탓이다. 내가 보기에 이 신속한 여론 재판을 이끈 가장 주된 동력은 이자혜라는 ‘되바라진’ 작가와 미지라는 비윤리적 화신의 동일시였다. 만화 속 허구의 캐릭터를 단번에 작가의 민낯으로 단정지어버린 것이다. 이것은 분명 범주의 오류지만, 그녀를 범죄자 취급하기 이전에 따져 보아야 할 범주 따위는 쓰나미 같은 격류 안에서는 보이지 않았다.
- 페미니즘이 해시태그를 만났을 때


우리는 법도 폭력이라는 깨달음 뒤에, 재현불가능한 것으로서의 역사적 외상을 겪은 이들이 재현을 시도할 때마다 겪는 고통과 슬픔에 대해서 읽고 배워야 한다. 또한 여성의 말하기가 거짓말이나 미친 말임을, 법이 요구하는 진실에 영원히 도착할 수 없는 말임을 폭로하는 사법적 정의나 진실의 폭력성을 재고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여성의 말하기가 갖는 힘, ‘가치’를 보존할 다른 장소를 발굴해야 한다. 물론 그곳은 대체로 우리 눈에 잘 보이지 않았지만, 그런 자리는 늘 있어 왔다. 거짓말하는 여자, 믿을 수 없는 여자들을 위반적인 여성으로 재배치하는 실천은 남성지배의 문화 아래에서 암류로 계속 흘러 왔고 지금도 흐르고 있다.
- 이 여자들을 보라


나의 전제는 창작자가 우리가 기대하는 것만큼 도덕적으로 고결하거나 정치적으로 올바른 사람이 아닐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말이 다소 위험하게 들릴 것임을 안다. 그럼에도 내가 보호하고자 하는 것은 창작자가 이런 인간임에도 불구하고 뭔가를 창작할 수 있는 권리, 그리고 그러한 인간에게서 창작된 작품 자체가 어떤 이유로도 폐기되지 않을 권리다. 아마도 이자혜는 타인의 고통을 착취했고, 그런 방식으로 작품을 창작했다. 그렇다고 해서 <미지의 세계>가 범죄 사실의 기록이나 범죄 행위 그 자체가 될 수는 없다.
- 아직 제목을 정하지 못했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