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60923645
· 쪽수 : 1064쪽
· 출판일 : 2014-11-30
책 소개
목차
시리즈 서문
저자 서문
약어 소개
서론
I. 서언: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의 시작 (1:1~13)
A. 예수에 대한 세례 요한의 증거 (1:1~8)
B. 예수의 세례 (1:9~11)
C. 예수의 시험 (1:12~13)
II. 이 예수는 누구인가? 1부 (1:14~3:6)
A. 예수의 메시지 요약 (1:14~15)
B. 예수께서 첫 번째 제자들을 부르심 (1:16~20)
C. 가버나움과 갈릴리에서 예수의 치유 사역 (1:21~45)
D. 가버나움과 갈릴리에서 예수의 강력한 행위들 (2:1~3:6)
III. 이 예수는 누구인가? 2부 (3:7~6:6a)
A. 예수의 사역 요약 (3:7~12)
B. 예수께서 열두 사도를 부르심 (3:13~19)
C. 예수와 그의 가족 및 바알세불 (3:20~35)
D. 예수께서 비유로 가르치심 (4:1~34)
E. 예수 - 자연과 귀신들과 질병과 죽음의 주 (4:35~5:43)
F. 예수께서 나사렛에서 배척을 받으심 (6:1~6a)
IV. 사역과 오해: 3부 (6:6b~8:21)
A. 예수의 사역과 예수의 제자들의 사역 요약 (6:6b~13)
B. 세례 요한의 죽음 (6:14~29)
C. 예수께서 오천 명을 먹이심 (6:30~44)
D. 예수께서 물 위를 걸으심 (6:45~52)
E. 게네사렛에서 예수의 치유 요약 (6:53~56)
F. 예수와 장로들의 전통 (7:1~23)
G. 예수와 수로보니게 여인 (7:24~30)
H. 예수께서 귀 먹고 말 더듬는 사람을 고치심 (7:31~37)
I. 예수께서 사천 명을 먹이심 (8:1~9)
J. 예수에게 표적을 구함 (8:10~13)
K. 예수께서 두 급식 이적들을 상기시킴 (8:14~21)
V. 예루살렘으로 가는 길: 4부 (8:22~10:52)
A. 예수께서 벳새다 맹인을 고치심 (8:22~26)
B. 베드로의 고백과 예수의 첫 번째 수난예고 (8:27~33)
C. 예수게서 제자도로 초대하심 (8:34~9:1)
D. 변모하신 예수 (9:2~8)
E. 인자와 엘리야의 도래 (9:9~13)
F. 예수께서 힘든 귀신축출을 행하심 (9:14~29)
G. 예수의 두 번째 수난예고 (9:30~32)
H. 제자도에 대한 예수의 가르침들 (9:33~50)
I. 이혼에 대한 예수의 가르침 (10:1~12)
J. 예수께서 어린아이들을 축복하심 (10:13~16)
K. 예수와 부자 및 영생 (10:17~31)
L. 예수의 세 번째 수난예고 (10:32~34)
M. 야고보와 요한의 잘못된 요청 (10:35~45)
N. 예수께서 두 번째로 맹인을 고치심 (10:46~52)
VI. 예수의 예루살렘 입성 (11:1~13:37)
A. 예수의 예루살렘 메시아적 입성 (11:1~11)
B. 무화과나무와 성전에 대한 예수의 심판 (11:12~25)
C. 예수께서 자신의 권위에 대한 질문을 받으심 (11:27~33)
D. 예수의 포도원 비유 (12:1~12)
E. 바리새인들과 헤롯당이 예수를 책잡으려함 (12:13~17)
F. 사두개인들이 예수를 책잡으려함 (12:18~27)
G. 한 서기관이 가장 큰 계명에 대해 예수께 질문함 (12:28~34)
H. 그리스도에 대한 예수의 질문 (12:35~37)
I. 서기관들에 대한 예수의 비난 (12:38~40)
J. 과부의 위대한 헌금에 대한 예수의 가르침 (12:41~44)
K. 예수의 종말론 강화 (13:1~37)
VII. 수난설화: 6부 (14:1~16:9)
A. 예수를 죽이려는 음모 및 이름 없는 한 여인이 예수께 향유를 부음 (14:1~11)
B. 마지막 만찬 및 제자들의 부인에 대한 예수의 예고 (14:12~31)
C. 겟세마네 동산에서 예수의 기도 (14:32~42)
D. 예수께서 체포당하심 (14:43~52)
E. 예수께서 산헤드린의 심문을 받으심 (14:53~65)
F. 예수께서 베드로에게 부인을 당하심 (14:66~72)
G. 예수께서 본디오 빌라도에게 심문을 받으심 (15:1~15)
H. 예수께서 십자가에 못 박히심 (15:16~41)
I. 예수께서 장사되심 (15:42~47)
J. 예수께서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심 (16:1~8)
참고문헌
책속에서
[저자 서문]
독자들을 돕기 위해 이 주석에서 따르고 있는 구성방식은 논의되고 있는 각 단락을 네 부분으로 나누는 것이다. (1) 첫째는 인접 문맥과 확대된 문맥 모두에서 그 단락이 나오는 문맥을 논의하는 것이다. 마가에 의해 주어지는 이 문맥은 현재 본문을 이해하는 방법들 및 그 구절이 전체 복음서 메시지에 어떻게 어울리는가를 제공한다. 보다 광범위한 마가복음의 단락들(1:1~13; 1:14~3:6; 3:7~6:6a; 6:6b~8:21; 8:22~10:52; 11:1~13:37 및 14:1~16:8) 역시 이들 각 단락들의 처음에 논의된다. (2) 둘째, 설명 단락에 있는 단어들과 문구들을 논의하면서 더 나은 도움을 주기 위해 부드러움을 희생하면서까지 문자적 번역을 제시했다. (3) 설명 단락 내에서의 논의는 논리적 세부 항목들로 더 자세히 나누어진다. 종종 몇몇 구절들이 함께 어떤 세부 항목들로 포함되지만, 때때로 어떤 세부 항목은 단 하나의 구절을 포함하기도 한다. 구절을 구성하는 단어들, 문구들, 문장들 및 정보는 이곳 주석 부분에서 논의된다. 가끔 설명 단락에서 마가복음의 어떤 중요한 주제가 상세히 논의되었는데 주석 후반부에서 이 주제가 다시 등장할 때 독자들은 그 구절 앞에 “…를 보라”로 처음의 논의를 참고해야 할 것이다(가령, “1:45를 보라”). (4) 각 단락의 논의에 대한 네 번째 부분은 “요약”이라는 제목으로 되어 있는데, 이 부분은 마가의 메시지를 요약한다. 이곳에서 나는 해당 단락에서 마가가 주로 강조했던 것들을 서술한다. 이곳에서 다른 어느 곳보다 나는 “나 마가는…때문에 예수의 이 설명/말씀을 너희들에게 말했다”는 식의 문장을 완성하려고 노력했다. 이곳에서의 초점은 해당 구절에 나오는 정보가 아니라(예수, 세례 요한, 바리새인들, 1세기 유대교, 유대와 갈릴리의 지리 등) 마가가 해당 구절에서 제공했던 정보를 통하여 자신의 독자들에게 가르치려고 했던 것에 있다. 결국 이 주석의 주된 목적은 나사렛 예수의 생애를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마가복음의 의미, 즉 두 번째 복음전도자가 자신의 복음서를 통하여 가르치려고 했던 것을 알아내는 것이다. 마가가 영감을 받아 자신이 선택한 단어들과 내용의 의미로 문서화했으며, 그 이후 마가의 최초 청중과 독자들은 그 문서에서 하나님으로부터 비롯된 말씀을 발견하였다. 영감을 받은 마가는 그가 선택한 단어들과 내용의 의미로 문서화 했으며, 그 이후로 마가의 최초 청중과 독자들은 하나님으로부터 비롯된 말씀을 그 문서에서 발견하였다.
이 주석은 진공 상태에서 기록된 것이 아니라 지난 수세기 동안 우리가 마가복음을 이해하는 일의 진전을 이루는데 공헌해 왔던 많은 학자들에 커다란 빚을 지고 있다. 이 주석도 여러 점에서 이러한 이해를 덧붙이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나는 이 주석을 쓰는 일에 도움을 주었던 많은 사람들에게 감사드리고자 한다. 이들 중에 벧엘신학대학원(Bethel Seminary)의 교수 비서인 글로리아 메츠(Gloria Metz)가 있는데, 그는 20년 동안 나에게 주신 하나님의 선물이었으며 또한 컴퓨터로 하는 작업에 숨어있는 많은 힘든 일들로부터 나의 짐을 덜어주었다. 대학원 학생인 제임스 해밀턴 주니어(James M. Hamilton Jr.)는 원고의 여러 부분들을 세밀하게 읽고서 참고사항들을 검토해주는 일에 수고하였다. 수년 동안 나의 강의를 들었던 학생들은 마가복음 전체를 공부해나가면서 나의 사고에 도전을 주고 날카롭게 해주었다. 지난 35년에 걸쳐 가르치는 특권을 부여했던 벧엘대학교과 벧엘신학대학원 및 남침례교신학대학원에 대해 감사드린다. 나와 함께 BECNT 시리즈의 공동 편집자인 로버트 야브루(Robert Yabrough)가 해준 제안들은 이 주석이 더 나은 저작이 되도록 만들어주었다. 우리가 수 년 동안 약 9권의 주석들을 출간하면서 협력해왔던 베이커 아카데믹(Baker Academic)에게 감사드린다. 그리고 무엇보다 나의 아내 조앤(Joan)에게 고마움을 표하는데, 그녀는 인내심을 가지고 나를 격려해주었으며 이 책이 완성될 수 있도록 몇 년에 걸쳐 여러 계획들을 기꺼이 연기해주었다. 그녀는 나의 삶의 사랑이요 사역에 있어서 나의 동반자가 항상 되어왔으며 또한 항상 그렇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