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물리학 > 물리학 일반
· ISBN : 9788961390248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09-05-12
책 소개
목차
리처드 파인만에 대하여
개정판에 붙이는 머리말
특별 머리말
리처드 파인만의 머리말
서문
CHAPTER 1. 양자적 행동
1-1 원자의 역학
1-2 총알 실험
1-3 파동 실험
1-4 전자 실험
1-5 전자 파동의 간섭
1-6 전자를 눈으로 보다
1-7 양자역학의 제1원리
1-8 불확정성 원리
CHAPTER 2. 파동과 입자의 관계
2-1 파동의 확률 진폭
2-2 위치와 운동량의 측정
2-3 결정에 의한 회절
2-4 원자의 크기
2-5 에너지 준위
2-6 철학적 의미
CHAPTER 3. 확률 진폭
3-1 진폭을 연산하는 법
3-2 두 슬릿에 의한 간섭 무늬
3-3 결정에서의 산란
3-4 동일 입자
CHAPTER 4. 동일 입자
4-1 보즈 입자와 페르미 입자
4-2 두 보즈 입자들이 있을 때의 상태
4-3 보즈 입자가 n개 있을 때의 상태
4-4 광자의 방출과 흡수
4-5 흑체 복사
4-6 액체 헬륨
4-7 배타 원리
CHAPTER 5. 스핀 1
5-1 슈테른-게를라흐 장치를 이용해 원자 걸러내기
5-2 여과된 원자를 이용한 실험
5-3 직렬 연결된 슈테른-게를라흐 여과기
5-4 기반 상태
5-5 진폭의 간섭
5-6 양자역학을 사용하는 방법
5-7 다른 기반으로의 변환
5-8 다른 경우들
CHAPTER 6. 스핀 1/2
6-1 진폭의 변환
6-2 회전된 좌표계로의 변환
6-3 z축에 대한 회전
6-4 y축에 대한 180°와 90° 회전
6-5 x축에 대한 회전
6-6 임의의 회전
CHAPTER 7. 진폭의 시간에 따른 변화
7-1 정지한 원자들: 정상 상태
7-2 등속 운동
7-3 퍼텐셜 에너지: 에너지의 보존
7-4 힘: 고전적인 극한
7-5 스핀 1/2짜리 입자의 세차운동
CHAPTER 8. 해밀토니안 행렬
8-1 진폭과 벡터
8-2 상태 벡터 분해하기
8-3 이 세상의 기반 상태는 무엇인가?
8-4 시간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방식
8-5 해밀토니안 행렬
8-6 암모니아 분자
CHAPTER 9. 암모니아 메이저
9-1 암모니아 분자가 갖는 상태들
9-2 정적인 전기장 안에 놓여 있는 분자
9-3 시간에 따라 변하는 전기장 안에서의 전이
9-4 공명 조건에서의 전이
9-5 공명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의 전이
9-6 빛의 흡수
CHAPTER 10. 두 상태 계의 다른 예
10-1 수소 분자 이온
10-2 핵력
10-3 수소 분자
10-4 벤젠 분자
10-5 염료
10-6 자기장 안에 있는 스핀 1/2 입자의 해밀토니안
10-7 자기장 안에서 회전하는 전자
CHAPTER 11. 두 상태 계 더 살펴보기
11-1 파울리 스핀 행렬
11-2 연산자로서의 스핀 행렬
11-3 두 상태 방정식의 해
11-4 광자의 편극 상태
11-5 중성 K-중간자
11-6 N 상태 계로의 일반화
CHAPTER 12. 수소의 초미세 갈라짐
12-1 스핀 1/2짜리 입자가 둘 있는 계의 기반 상태들
12-2 수소의 바닥 상태에 대한 해밀토니안
12-3 에너지 준위
12-4 제만 갈라짐
12-5 자기장 안에서의 상태
12-6 스핀 1의 투영 행렬
CHAPTER 13. 결정 격자 안에서의 전파
13-1 1차원 격자 내 전자의 상태들
13-2 에너지가 정해진 상태들
13-3 시간에 따라 변하는 상태들
13-4 3차원 격자 안의 전자
13-5 결정 안의 다른 상태들
13-6 격자 내 결함에 의한 산란
13-7 격자의 결함에 갇힘
13-8 산란 진폭과 속박 상태들
CHAPTER 14. 반도체
14-1 반도체 안의 전자와 양공
14-2 불순물 반도체
14-3 홀 효과
14-4 반도체 접합
14-5 반도체 접합에서의 정류
14-6 트랜지스터
CHAPTER 15. 독립 입자 근사
15-1 스핀 파
15-2 두 스핀의 파동
15-3 독립적인 입자들
15-4 벤젠 분자
15-5 유기 화학을 더 살펴보기
15-6 근사의 다른 용도
CHAPTER 16. 확률 진폭의 위치에 따른 변화
16-1 선 위에서의 확률 진폭
16-2 파동함수
16-3 운동량이 정해진 상태
16-4 좌표계에서 상태의 규격화
16-5 슈뢰딩거 방정식
16-6 양자화된 에너지 준위
CHAPTER 17. 대칭과 보존 법칙
17-1 대칭
17-2 대칭과 보존
17-3 보존법칙
17-4 편극된 빛
17-5 Λ 입자의 붕괴
17-6 회전 행렬의 요약
CHAPTER 18. 각운동량
18-1 전기 쌍극자 복사
18-2 빛의 산란
18-3 포지트로늄의 소멸
18-4 임의의 스핀에 대한 회전 행렬
18-5 핵 스핀의 측정
18-6 각운동량의 합성
CHAPTER 19. 수소 원자와 주기율표
19-1 수소 원자에 대한 슈뢰딩거 방정식
19-2 구형 대칭인 해
19-3 각분포가 있는 상태
19-4 수소에 대한 일반 해
19-5 수소 파동함수
19-6 주기율표
CHAPTER 20. 연산자
20-1 연산과 연산자
20-2 평균 에너지
20-3 원자의 평균 에너지
20-4 위치 연산자
20-5 운동량 연산자
20-6 각운동량
20-7 평균값의 시간에 따른 변화
CHAPTER 21. 고전적인 상황에서의 슈뢰딩거 방정식: 초전도에 관한 세미나
21-1 자기장이 있을 때의 슈뢰딩거 방정식
21-2 확률의 연속방정식
21-3 두 종류의 운동량
21-4 파동함수의 해석
21-5 초전도
21-6 마이스너 효과
21-7 플럭스의 양자화
21-8 초전도 현상의 동역학
21-9 조셉슨 접합
파인만의 후기
부록
CHAPTER 34. 물질의 자성
34-1 반자성과상자성
34-2 자기 모멘트와 각운동량
34-3 원자 자석의 세차 운동
34-4 반자성
34-5 라모어의 정리
34-6 고전역학으로 반자성이나 상자성을 설명할 수 없는 이유
34-7 양자역학에서의 각운동량
34-8 원자의 자기 에너지
CHAPTER 35. 상자성과 자기 공명
35-1 양자화된 자기 상태
35-2 슈테른-게를라흐의 실험
35-3 라비의 분자 빔 방법
35-4 덩어리 물질의 상자성
35-5 단열 소자 냉각
35-6 핵자기 공명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무언가를 ‘이해한다’는 것의 진정한 의미는 무엇인가? 이 우주의 진행방식을 하나의 체스게임에 비유해 보자. 그렇다면 이 체스게임의 규칙은 신이 정한 것이며, 우리는 게임을 관람하는 관객에 불과하다. 그것도 규칙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로 구경할 수밖에 없는 딱한 관객인 것이다. 물론 충분한 시간을 두고 지켜본다면 몇 가지 규칙 정도는 알아낼 수도 있다. 체스게임이 성립되기 위해 반드시 요구되는 기본 규칙들 - 이것이 바로 기초 물리학이다. 그런데 체스에 사용되는 말의 움직임이 워낙 복잡한데다가 인간의 지성은 명백한 한계가 있기 때문에 모든 규칙을 다 알고 있다 해도 특정한 움직임이 왜 행해졌는지를 전혀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다. 자연계에서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난이도가 훨씬 높은 것뿐이다. 우리가 열심히 노력하면 그 복잡하고 어려운 규칙들을 모두 알아낼 수도 있을 것이다. 규칙을 모두 알아내는 것도 문제지만, 알아낸 규칙으로 설명할 수 있는 현상이 극히 한정되어 있다는 것도 커다란 장애이다. 거의 모든 상황들이 끔찍하게 복잡하여 게임의 진행 양상을 따라가기가 벅찰 뿐만 아니라, 다음에 벌어질 상황을 예측하기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게임의 규칙’이라는 지극히 기본적인 질문에 집중할 수밖에 없다. 규칙을 모두 이해한다면 그것은 곧 이 세계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말하는 ‘이해의 참뜻’이다.
- ‘이해한다’는 것의 의미를 설명하는 본문 중에서
일반인들은 과학적 상상력의 의미를 잘 이해하지 못한다. 그들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지면서 과학자의 상상력을 테스트하려고 한다. “여기 어떤 특정 상황에 처해 있는 한 사람의 모습이 그림으로 제시되어 있다. 이 그림을 보고, 잠시 후에 어떤 일이 일어날지 상상해 보라.” 그런데 내가 “이것만으로는 상상할 수 없다”고 대답하면, 그들은 우리의 상상력이 빈약하다고 생각할 것이다. 그들은 과학적 상상력이 “기존의 물리 법칙들과 상충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만 허용된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는 것이다. 전기장이나 전자기파는 마음대로 상상력을 발휘하여 만들어 낼 수 있는 개념이 아니다. 그 상상은 이미 알려져 있는 다른 물리 법칙과 모순되지 않아야 한다. 이미 확립된 자연의 법칙에 위배되는 것이라면, “과학적으로 상상해 보라”고 아무리 다그쳐도 소용없다. 물리학자들의 상상은 흔히 말하는 상상과 그 성질이 전혀 다르다. 그들은 들어 본 적도 없고, 본 적도 없는 것들을 상상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과학적 상상은 매우 엄격한 검증을 거쳐야 한다. 상상의 세계가 제아무리 멋지고 그럴듯하다 해도, 이미 알려져 있는 자연의 법칙에 부합되지 않으면 아무런 소용이 없다. 그 많은 법칙들과 조화를 이루면서 새로운 무언가를 창조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 과학적 상상력을 설명하는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