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88961471640
· 쪽수 : 527쪽
· 출판일 : 2012-08-10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장 전통 중국 미학의 주요 범주, 명제 그리고 논설
1절 뜻을 말한다는 설과 정감에서 비롯된다는 설
1. 시는 뜻을 말한다는 설
2. 시는 정감에서 비롯된다는 설
3. 뜻을 말한다는 설과 정감에서 비롯된다는 설의 연결
2절 비흥설
1. 비흥의 수법을 운용하여 창작한 시는 필연적으로 칭찬과 풍자라는 풍유의 특징을 가짐
2. 비흥은 정의와 물상을 하나로 융합하여 예술 의상을 창조하는 예술 구상 방식임
3. 비흥은 이런 수법을 운용하여 시가를 창작함으로써 뒷맛이 무궁한 심미 효과를 가짐
3절 언의론(상의론)
4절 정리론
1. 정리론의 발전 맥락
2. 정리론의 기본 특징
5절 형신론
1. 회화 미학 영역의 형신론
2. 시문 미학 영역의 형신론
6절 허실론
1. 예술 창작 활동에서의 허실 전화 문제
2. 예술 창작 활동의 허실상생 문제
3. 심미와 예술 활동에서 주체의 심리 상태의 허정 문제
7절 기운생동론
1. 기운 개념의 배태와 생산
2. 사혁의 "기운생동" 명제가 미학사에서 갖는 가치
3. 사혁 이후 기운 개념의 운용과 발전
8절 의상설
9절 의경론
1. 의경론과 중국 고대 도가, 현학, 불교 철학 사상
2. 당에서 명청 시기에 이르기까지 시와 그림 등 여러 예술 영역에서 뜻과 경계, 생각과 경계, 정감과 경치 관계와 관련된 토론
3. 명청 시기 의경 범주의 출현과 운용
10절 경계론
11절 밖으로는 조화를 본받고, 안으로는 마음의 근원을 터득한다는 설[외사조화 중득심원설]
12절 일, 신, 묘, 능 사품설
1. 묘
2. 신
3. 일
제2장 중국 미학의 특징
1절 미와 선의 통일을 강조함
2절 정감과 '이'의 통일을 강조함
3절 사람과 자연의 통일을 강조함
4절 무한과 유한의 통일을 강조하나 무한에 치우침
5절 인지와 직각의 통일을 긍정하나 직각에 치우침
6절 위로 쳐다보고 아래로 굽어보며, 멀리 바라보고 가까이 살펴보는 "유관" 관조 방식을 숭상함
제3장 중국 미학의 전당을 지탱하는 사상사의 세 주춧돌
1절 『주역』과 중국 미학
1. 『역』리와 중국 미학
2. 『역』상과 중국 미학
3. 『역』수와 중국 미학
2절 원기론과 중국 미학
1. 기론(원기론) 대요
2. 원기론의 초석 위에 세워진 중국 미학
3절 음양오행설과 중국 미학
1. 음양오행설의 형성 및 그 이론의 특색
2. 음양오행설은 중국 미학이 새로운 국면을 여는 것을 촉진함
제4장 중국 미학의 틀을 구축한 3대 학술 유파
1절 유가 인학과 미학
1. 예술 영역에서 심미와 예술이 갖고 있는 개인과 사회관계를 조화시키는 가치를 충분히 긍정함
2. 인격미 영역에서 개별 인격의 독립성을 긍정하고, 인간의 전면적인 발전의 사회적 의의를 강조함
3. 자연미 영역에서 "비덕"설을 위주로 함
2절 도가 도론과 미학
1. 도론은 철학에서 미학으로 통함
2. 절대적인 정신의 자유에 대한 추구와 심미 심경의 확립
3. 도론의 기초 위에 세운 자연-인생-예술관
3절 선종 심학과 미학
1. 선종은 인도불교 철학과 중국 전통 사상(유가와 도가)이 서로 융합하고 합일하여 창신한 것
2. 선종 미학
4절 유가 도가 불가(선) 삼가의 대략적인 대비
후기
옮긴이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