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미국 민중사를 만든 목소리들

미국 민중사를 만든 목소리들

(미국사에 감춰진 저항과 투쟁, 자유와 해방의 언어들)

하워드 진, 앤서니 아노브 (엮은이), 황혜성 (옮긴이)
이후
5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9,500원 -10% 0원
2,750원
46,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30,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미국 민중사를 만든 목소리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미국 민중사를 만든 목소리들 (미국사에 감춰진 저항과 투쟁, 자유와 해방의 언어들)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메리카사 > 미국/캐나다사
· ISBN : 9788961570473
· 쪽수 : 1144쪽
· 출판일 : 2011-01-27

책 소개

하워드 진이 자신의 대표작 <미국 민중사>를 쓰기 위해 참고했던 사료 가운데 역사적으로 중요하면서 압권이 되는 것들만 골라 엮었다. 미국의 역사가 가장 어두웠을 때도 불의에 저항하는 도전을, 절망을 종식시키는 희망을, 고통을 끊어 내는 위안을 노래했던 민중이 있었다. 하워드 진은 이 책에 그런 민중의 목소리를 그대로 실었다.

목차

감사의 글
들어가며

제1장 콜럼버스와 라스 카사스
제2장 첫 번째 노예들
제3장 노예 상태와 반란
제4장 혁명의 준비
제5장 반쪽짜리 혁명
제6장 초기 여성 운동
제7장 인디언의 이주
제8장 멕시코 전쟁
제9장 노예제도와 저항
제10장 남북전쟁과 계급 갈등
제11장 도금 시대 파업자와 포퓰리스트
제12장 제국의 팽창
제13장 사회주의자와〈세계산업노동자연맹〉
제14장 제1차 세계대전에 대한 저항
제15장 재즈 시대에서 1930년대 소요까지
제16장 제2차 세계대전과 매카시즘
제17장 인종분리에 저항하는 흑인들
제18장 베트남과 그 이후: 역사적 저항
제19장 여성, 게이, 그리고 다른 저항의 목소리들
제20장 1970년대의 제어력 상실
제21장 카터-레이건-부시 콘센서스
제22장 파나마, 1991년 걸프 전쟁, 그리고 국내에서의 전쟁
제23장 빌 클린턴에 대한 도전
제24장 부시 2세와 “테러와의 전쟁”

옮긴이의 글
참고 문헌
저작권 확인
찾아보기

저자소개

하워드 진 (엮은이)    정보 더보기
역사가, 희곡 작가 그리고 대학 교수로 활동한 세계적인 진보 지식인이다. 미국 뉴욕시 브룩클린에서 유대인 이주민의 아들로 태어나 빈민가에서 성장하였고, 청년 시절 해군기지 조선소에서 육체노동을 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에 폭격수로 참전하였는데 이때, 전쟁에 환멸을 느끼고 반전주의자가 되었다. 27세에 뉴욕 대학교에 입학하였고, 이후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역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56년 흑인들만 다니는 학교인 스펠만 대학교의 역사학 교수가 되었고, 학생들과 함께 흑인차별에 항거하는 민권 운동을 벌였다. 1964년 보스턴 대학교로 자리를 옮겨 베트남 반전 운동의 선두에 섰으며, 1988년까지 보스턴 대학교 정치학 교수로 재직했다. 반전·평화·인권 운동에 평생을 바친 실천적·진보적 지식인이었던 그는 노암 촘스키(Avram Noam Chomsky)와 더불어 ‘미국 현대사의 양심’이라 일컬어졌다. 대표적 저서는 민중의 시각에서 미국의 역사를 관찰한 《미국 민중사(A People’s History of the United States)》로, 이 책은 1980년 출간 당시 4,000부가 발행되었으나 2009년 말까지 200만 부가 팔려나가며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그 밖에 미국의 폭력과 법의 계급성을 폭로한 《오만한 제국(Declarations of Independence)》, 자전적 저서인 《달리는 기차 위에 중립은 없다(You Can’t Be Neutral on a Moving Train)》 등과 《마르크스 뉴욕에 가다(Marx in Soho)》, 《엠마(Emma)》 등의 희곡 3편을 남겼다. 그는 토머스 머튼 상, 유진 V. 데브스 상, 업턴 싱클레어 상, 래넌 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앤서니 아노브 (엮은이)    정보 더보기
《촘스키, 지의 향연》, 《미국의 이라크 전쟁: 제재의 치명적인 결과》, 그리고 9.11 사태 이후 하워드 진의 인터뷰 모음집 《전쟁과 테러리즘》 등 여러 책을 편집했다. 2013년 현재 헤이마켓 출판사와 인터내셔널 소셜리스트 리뷰 편집국에서 일한다. 하워드 진, 브렌다 코글린과 함께 비영리단체 ‘미국 민중사의 목소리’를 창립했으며 하워드 진, 크리스 무어, 조시 브롤린, 맷 데이먼과 함께 [민중의 목소리]의 대본을 쓰고 감독, 제작했다.
펼치기
앤서니 아노브의 다른 책 >
황혜성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성대학교 역사문화학부 교수. 서강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하와이주립대학에서 〈부커 T. 워싱턴과 W. E. B. 듀보이스〉(Booker T. Washington and W. E. B. Du Bois: A Study in Race Leadership, 1895-1915) 연구로 역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은 책으로 《미국역사학의 역사》(공저)가 있고, 옮긴 책으로 《‘미국민중사’를 만든 목소리들》, 《미국의 노예제도와 미국의 자유》, 《있는 그대로의 미국사》(1~3, 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런 저항의 목소리들을 누락하거나 과소평가 한다면 권력이 총이나, 돈, 또는 신문이나 텔레비전 방송을 소유한 사람들에게만 있다는 생각은 바뀌지 않을 것이다. 나는 노동자든, 유색인이든, 여자든 권력을 가진 것처럼 보이지 않은 사람들이 조직하고 저항함으로써 운동을 일으킨다면 어떤 정부도 억누를 수 없는 목소리를 가지게 될 것이라는 점을 지적하고 싶었다. - 하워드 진의 서문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