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역사학 > 역사학 일반
· ISBN : 9788961849579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20-09-01
책 소개
목차
I 문제의 관점視座 ― ‘전쟁론’과 ‘전후론’
현대사회 속의 전쟁상과 전후상
나리타 류이치成田龍一
머리말
1. ‘전후’ 과정과 전쟁상의 고찰
2. 젊은이들의 전쟁상과 전후 인식
3. ‘전후’를 끼워 넣은 전쟁상의 서술
맺음말
대항하는 역사인식
요시다 유타카吉田裕
머리말
1. 대두하는 내셔널리즘
2. 역사인식문제의 현 상황
3. ‘전후 70년’과 일본사회
맺음말
계속되는 샌프란시스코 체제 ― 정치·안전보장·영토
하라 기미에原貴美惠
1. 냉전과 샌프란시스코 체제
2. 데탕트와 샌프란시스코 체제의 변용
3. 오늘날 샌프란시스코 체제가 갖는 의미
맺음말
II 전쟁을 전하고, 전쟁을 계승한다
역사교육 속의 아시아·태평양전쟁 ― 전쟁체험을 쓴다는 의미
곤노 히데하루今野日出晴
머리말
1. ‘전쟁교육’ 기록운동 ― 지하수로서의 홋포 성교육
2. 교실 속의 ‘전쟁체험’에서 지역 속의 ‘전쟁체험’으로
맺음말
코메모레이션의 행방 ― 전쟁의 기억과 미술관
스즈키 가쓰오鈴木勝雄
머리말
1. ‘메이지 100주년’과 환상의 역사박물관
2. 무언의 유물
3. 전쟁화의 ‘반환’과 순환 프로젝트
맺음말
III 끝나지 않은 전쟁
오키나와전의 기억이 현재에 호소하는 것은 무엇인가
도베 히데아키戸邉秀明
머리말
1. ‘집단자결’ 연구의 심화 ― 세 명의 역사연구가의 연구와 관련해
2. 오키나와를 둘러싼 인식의 변모
3. 기억의 계승을 향해, 끊임없이 계승의 의미를 물으며
맺음말을 대신하여
식민지 책임론 ― 대만을 중심으로
마루카와 데쓰시丸川哲史
머리말-식민지통치에 대한 물음
1. 역사적 문맥의 확인(1940년대-2000년대)
2. 식민지문제 제기(1) ― 우줘류
3. 식민지문제 제기(2) ― 다이궈후이로부터
4. 식민지문제 제기(3) ― 천잉전으로부터
5. 어떤 논쟁
맺음말을 대신하여
IV 화해는 가능한가
‘위안부’ 문제가 드러내는 일본의 전후
이와사키 미노루岩崎稔 · 오사 시즈에長志珠絵
문제 설정 ― ‘위안부’ 문제의 사반세기
1. 논쟁 과정의 다섯 가지 양상
2. 세 가지 문제
혼동 속에서
전후사 속의 ‘화해’― 끝나지 않은 식민지지배 청산
우쓰미 아이코內海愛子
머리말
1. ‘화해와 신뢰의 강화’
2. 중국 ― 도착하지 않은 초대장
3. 한국 ― 거부된 참가
맺음말 ― 식민지인가 ‘일제 강점’인가, 그 정의를 되묻는다.
■ 필자후기
■ 역자후기
■ 미주
■ 참고·참조문헌
리뷰
책속에서
과거에 병사였다는 이들에게서 우리가 어떤 이미지인가를 떠올릴 정도로 그들의 역사인식이 보수적이었던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그들은 전쟁의 역사를 기억하며 그것과 마주하면서 전쟁의 가해성·침략성에 대해 깊이 인식해 가던 세대였다.
“인간의 죽음은 일상이었다”, “인간이 가진 욕망을 완전히 잃었다”고 다카하시는 말하며 전쟁이 전투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기아’이며 “우리는 누군가와 싸우는 것도 아닌데 한 사람, 또 한 사람 쓰러지며 허무하게 죽어간다. 그것이 전쟁이다”라고 했다.
장기간에 걸쳐 전쟁책임·전후 처리 문제가 봉인돼 왔기 때문에 냉전의 종식으로 겨우 일본인이 과거역사와 마주하기 시작하게 된, 그 시기에 하필이면 전쟁의 직접적인 당사자가 아닌 전후에 태어난 세대가 다수파가 된 것이다. 역사교육도 불충분했고 직접적으로는 전쟁과 식민지지배의 역사를 체험하지도 않았으면서 반성과 속죄의 주체가 되어야 했던 전후 출생자가, 아시아 각국의 비판에 당혹감과 반발감을 가지게 됐다는 것은 어떤 면에서는 당연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