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감정 기억 전쟁

감정 기억 전쟁

(1935~1955년 2)

나리타 류이치, 해리 하루투니언, 오우치 히로카즈, 무타 가즈에, 토마스 라마르, 캐롤 글룩, 다카시 후지타니, 도베 히데아키, 가와무라 미나토 (지은이), 정실비, 최정옥, 서승희, 이경미, 이종호, 양승모, 전지니, 임미진 (옮긴이)
소명출판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200원 -10% 0원
1,400원
23,800원 >
25,200원 -10% 0원
280원
24,920원 >
26,600원 -5% 0원
1,120원
25,480원 >
25,200원 -10% 0원
0원
25,200원 >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감정 기억 전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감정 기억 전쟁 (1935~1955년 2)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근현대사
· ISBN : 9791185877204
· 쪽수 : 388쪽
· 출판일 : 2014-09-01

책 소개

근대 일본의 문화사 시리즈 여덟 번째 책이다. 이 책은 부제를 각 시기별로 나눈 근대 일본의 문화사 시리즈 중에서도 올해 초 출간된 <총력전하의 앎과 제도 1933∼55년 1>(소명출판, 2014)의 다음 편이기도 하다.

목차

::편집자 서문
::역자 서문

────{총설}────

전쟁과 젠더
1. 들어가며
2. 전시의 젠더
3. ‘전후’의 젠더
4. 결론을 대신하여

────{제1부 감정의 동원}────

민중을 형상화하다

‘국민’교육의 시대
1. 들어가며
2. 제1차 세계대전 시기-교육변동과 [시국에 관한 교육자료]
3. 아베 시게타카의 교육연구와 교육과학운동
4. 1930~40년대의 교육제도 개혁
5. 전시에서 전후로-‘국민’교육의 시대

여성과 ‘권력’-전쟁협력에서 민주화와 평화로
1. 들어가며
2. ‘복음’으로서의 점령
3. 여성의 전쟁협력
4. 논리의 지속-성역할과 가정과 가족의 강조
5. 매춘부・‘위안부’를 향한 시선
6. 평화와 반권력-1955년까지와 그 이후
7. 결론을 대신하여-권력의 탈구축

제국과 국민 사이-전후 와카비평에서의 제국의 그림자와 국민적 반동
1. 들어가며
2. 중국에 대한 저항
3. 제국에 대한 민중의 저항
4. 국가의 출현과 음소혁명
5. 나오며-모어

────{제2부 기억의 전쟁}────

기억의 작용-세계 속의 ‘위안부’
1. 전쟁을 말하다
2. 기억의 영역
3. 기억을 둘러싼 ‘시간의 정치학’
4. 기억 속으로 들어가기
5. 위안부와 세계

전시하의 인종주의-제2차 세계대전기의 ‘조선 출신 일본국민’과 ‘일본계 미국인’
1. 소수민족과 식민지 출신 병사를 상기하는 것
2. 병역에서의 인종주의에 대한 부인-‘일본계 미국인’
3. 병역에서의 인종주의에 대한 부인-‘조선 출신 일본국민’
4. 인종주의와 그 부인의 귀결-조선인에서 일본인으로
5. 문화적 인종주의의 새로운 단계
6. 최종고찰

오키나와, 굴절하는 자립
1. 들어가며
2. ‘오키나와방언논쟁’ 재고
3. ‘해외발전’의 꿈
4. 민족의 멸망을 예감한다
5. ‘복귀’를 향한 도약
6. 결론을 대신하여

쿵쾅쿵쾅과 번쩍 쾅-‘부흥’의 정신과 ‘점령’의 기억
1. 쿵쾅쿵쾅의 전후
2. 진주와 검열
3. ‘원자탄’과 ‘평화의 비둘기’
4. 히로시마 부흥계획
5. 쇼와 천황의 히로시마 임행
6. 히로시마의 지장보살

저자소개

다카시 후지타니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3년 미국 시카고 출생.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 역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대학 역사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 토론토대학 역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근대 일본의 내셔널리즘과 천황제를 글로벌한 근대성 내부의 다른 내셔널리즘과 비교해 비판적으로 고찰하면서 국민국가, 정치, 서벌턴, 젠더 등의 문제를 분석하고 있다. 현재 펼쳐지고 있는 일본의 우경화 경향, 그리고 한국 영화에 대해서도 논의하고 있다. 저서와 논문으로는 《화려한 군주Splendid monarchy: power and pageantry in modern Japan》(1996), Perilous Memories: The Asia-Pacific War(s)(공저, 2001), “Japanese Civilization in the Modern World ⅩⅥ: Nation State and Empire”(공저, 2002), 《日本はどこへ行くのか》(공저, 2003), 《한국 영화의 미학과 역사적 상상력》(공저, 2006) 등이 있다.
펼치기
해리 하루투니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0년대 후반 웨인주립 대학 입학, 매카시즘이 절정에 이른 1950년대 미시간 대학 대학원에 진학했다. 1960년대 로체스터 대학에서 강의를 시작했다.2006년 현재 뉴욕 대학교 역사학과 교수이자 같은 학교 동아시아 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왕정복고를 향하여>,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도쿠가와 시기 토착주의 담론과 이데올로기>, <포스트모더니즘과 일본>, <근대성에 초극되다> 등이 있다.
펼치기
나리타 류이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1년 오사카시(大阪市) 출생. 1983년 와세다(早?田)대학 제1문학부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 박사과정을 졸업했다. 문학박사, 전공은 일본 근현대사이며 2012년 현재 일본여자대학 인간사회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故鄕」という物語>(吉川弘文館, 1998), <〈歷史〉はいかに語られるか>(日本放送出版協會, 2001), <近代都市空間の文化經驗>(巖波書店, 2003),<「大菩薩とうげ」論>(靑土社, 2006), <歷史學のポジショナリティ>(校倉書房, 2006) 등이 있고, 편저로는 <總力戰と現代化>(柏書房, 1995, 共編), <都市と民衆>(吉川弘文館, 1993), <20世紀日本の思想>(作品社, 2002, 共編) 등이 있다.
펼치기
토마스 라마르 (지은이)    정보 더보기
맥길대학교McGill University 교수
펼치기
캐롤 글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컬럼비아대학교Columbia University 교수
펼치기
도베 히데아키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4년에 태어났다. 도쿄경제대학 전학공통교육센터 교수로 재직 중이다. 「沖縄戰の記憶が今日によびかけるもの(오키나와전투의 기억이 지금 호소하는 것)」(成田龍一·吉田裕 編, 『記憶と認識の中のアジア·太平洋戰爭(기억과 인식 속의 아시아태평양전쟁)』, 岩波書店, 2015), 「マルクス主義と戰後日本史學(마르크스주의와 전후 일본사학」(『岩波講座 日本歷史22 歷史學の現在(이와나미강좌 일본역사22 역사학의 현재)』, 岩波書店, 2016) 등의 논문을 썼다. 공저로 『觸發する歷史學:鹿野思想史に向き合う(촉발하는 역사학: 가노 마사나오 사상사와 마주하다)』(日本經濟評論社, 2017) 등이 있다.
펼치기
오우치 히로카즈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7년생 마쓰야마대학松山大學 조교수
펼치기
무타 가즈에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6년생 고난여자대학甲南女子大學 교수
펼치기
최정옥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71년 부산에서 태어났다. 부산대학교 석사를 거쳐 2008년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중어중문학과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중국 고전을 비롯해 동아시아의 근현대문학 등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있다. 무엇을 공부하는가도 중요하지만 최근에는 누구와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에 대해서 새삼 고민하며, 함께 공부할 친구들을 찾고 있다. 번역서로 『일본, 영상, 미국: 공감의 공동체와 제국적 국민주의』(그린비, 2008), 『문학에서 본 ‘만주국’의 위상』(역락, 2008) 등이 있다.
펼치기
이종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일제시대 아나키즘 문학 형성 연구-『근대사조』 『삼광』 『폐허』를 중심으로」로 석사학위를, 「염상섭 문학의 대안근대성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에서 ‘자유실천문인협의회의 대항미디어 운동’에 관한 연구 주제로 박사후국내연수를 수행했다. 현재 20세기 전반기 식민지라는 조건 속에서 다층적으로 전개되었던 노동을 둘러싼 문학적·문화적 재현 및 사상의 전유 양상을 고찰하는 연구를 수행하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에서 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박사후국내연수의 연구 주제를 발전시켜 1980년대 출판문화운동 및 문화제도 등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공저로는 『3·1운동의 문학적 재인식』, 『자본의 코뮤니즘, 우리의 코뮤니즘-공통적인 것의 구성을 위한 에세이』 등이 있으며, 공역서로는 『갖지 못한 자들의 문학사-제국과 군중의 근대』, 『좌담회로 읽는 국민문학』 등이 있다.
펼치기
이종호의 다른 책 >
임미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수료. 현재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HK연구보조원, 서원대 강사. 최근 발표한 논문으로는 <번역을 둘러싼 제국일본과 식민지조선의 정치학>이 있으며, 공역으로는 <좌담회로 읽는 국민문학>이 있다.
펼치기
정실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동 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도쿄대학 총합문화연구과 박사과정에서 언어정보과학을 전공했다. 번역한 책으로는 『감정, 기억, 전쟁』(공역), 『총력전하의 앎과 제도』(공역), 『사상과제로서의 아시아, 그 이후』, 『나는 왜 혐한시위를 싫어하는가』등이 있다.
펼치기
이경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동대학원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현재 제국식민지기 조선의 민족담론을 주제로 박사논문을 집필 중에 있다. 논문으로 「1920년대 민세 안재홍의 민족론과 그 추이」(<동양정치사상사> 2010.9), 역서로 <좌담회로 읽는 <국민문학>>(소명출판, 2010), <총력전하의 앎과 제도>(소명출판, 2014), <감정.기억.전쟁>(소명출판, 2014)이 있다.
펼치기
전지니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경국립대학교 브라이트칼리지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현재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방문학자로서 연구를 수행 중이다. 연극평론가로 활동하며 드라마투르그로서 연극 프로덕션에도 참여한다. 『극장과 젠더-냉전과 남북한 극장의 젠더정치(1945-1980)』(소명출판, 2024) 『인간의 미래, 연극의 미래-한국 SF연극의 역사와 상상력』(연극과 인간, 2022), 『1940년대 극장의 감성과 이데올로기』(혜안, 2016), 『연극과 젠더』(공저, 연극과 인간, 2019), 『해방기 문학의 재인식』(공저, 소명출판, 2018), 『할리우드 프리즘』(공저, 소명출판, 2017), 『해방과 전쟁 사이의 한국영화』(공저, 박이정, 2017) 등을 썼다.
펼치기
서승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현대문학 전공,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부교수. 『식민지 근대의 크리틱』, 「포스트/식민 여성성장소설의 젠더지리」, 「식민지 재난과 통치, 그리고 재현의 역학」 등의 논저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