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88961875301
· 쪽수 : 591쪽
· 출판일 : 2020-03-20
목차
| 서문 | … 4
1장 극동의 아일랜드, 한국: 민족자결주의의 수용과 영향 … 25
| 퍼갈 맥게리 ■ 영국 북아일랜드 벨파스트 퀸즈대학교 교수 |
1. 서론 … 27
2. 1916년 부활절 봉기와 3 ?1운동 … 28
3. 윌슨과 민족자결주의의 영향 … 35
4. 아일랜드와 한국의 독립선언서 … 42
5. 디아스포라 민족주의 … 53
6. 결론 … 67
2장 제1차 세계대전과 중국 근대 민족주의 운동의 전환:
쑨원을 중심으로 … 73
| 허우증쥔 ■ 중국 사회과학원 근대사연구소 연구원 |
1. 서론 … 75
2. 제1차 세계대전 이전, 중국 근대 민족주의의 시작 … 76
3. 5?4운동과 중국 근대 민족주의의 발전 … 86
4. 소련과 쑨원의 불평등조약 개념 … 96
5. 결론 … 102
3장 1919년 파리강화회의와 김규식의 외교 독립운동 … 105
| 신효승 ■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
1. 서론 … 107
2. 주요 연합국의 전후 처리 구상과 동북아 정세 … 111
3. 파리강화회의와 김규식의 대표성 문제 … 117
4. 베르사유조약 체결과 김규식의 전략 변화 … 133
5. 결론 … 141
4장 ‘평등’과 ‘연대’: 3·1독립운동과 조일(朝日) 피차별민의 연대운동 … 147
| 미즈노 나오키 ■ 교토대학 명예교수 |
1. 서론 … 149
2. 3·1운동 이전에 제기된 ‘평등 원칙’ … 150
1) ‘백정’ 출신자의 평등 요구 … 150
2) 평등 원칙을 주장한 논설 …154
3. 한국 독립운동에 뿌리내린 평등 원칙 … 156
1) 대한민국임시정부 「임시헌장」의 평등 원칙 … 156
2) 민족해방운동 조직이 주장한 평등 원칙 … 160
4. 3·1운동과 조선형평사 창립 … 163
1) 3·1운동과 백정 출신자 … 163
2) 조선형평사 창립 … 166
3) 형평사의 ‘평등 원칙’ 주장 … 169
5. 형평운동과 수평운동의 교류 및 제휴 … 172
1) 일본의 ‘다이쇼 데모크라시’와 재일조선인 … 172
2) 형평운동과 수평운동의 교류 및 제휴와 그 한계 … 175
6. 결론 … 181
5장 3.1운동기 독립선언서들에 담긴 세계정신과 평화사상 … 185
| 장인성 ■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
1. 서론 … 187
2. ‘독립’: 선언, 주체, 장소성 … 189
1) ‘선언’의 주체성 … 189
2) 3.1사상의 장소성 … 193
3. 세계정신과 ‘민족자결’ … 197
1) ‘정의인도’와 ‘자유평등’ … 197
2) ‘세계’와 ‘민족자결’ … 201
4. 평화사상과 ‘자유독립’ … 207
1) ‘평화’와 ‘혈전’ … 207
2) ‘세계평화’와 ‘동양평화’ … 211
5. 작위와 자연 … 219
1) ‘천’과 ‘정의인도’ … 219
2) ‘천’과 자연 … 222
6. 결론 … 228
6장 ‘임시정부 법통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31혁명론’과
민주공화제와 관련하여 … 233
| 윤대원 ■ 서울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객원연구원 |
1. 서론 … 235
2. 대한민국임시정부의 3?1운동 인식, ‘3?1혁명론’ … 238
3. 민주공화제와 ‘신민주’ … 245
4. ‘3.1혁명론’과 민주공화제를 부정하는 임정법통론 … 254
5. 결론 … 267
7장 3·1독립운동 이후 일본 제국주의의 ‘내지연장주의’와 조선총독부의
‘문화정치’: 하라 수상의 「조선통치사견」을 중심으로 … 273
| 서종진 ■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
1. 서론 … 275
2.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통치 기본 방침 형성 … 278
1) 초기 식민통치 기본 방침의 형성 … 278
2) 하라의 타이완 식민통치 비판 … 284
3. 식민통치 방침으로서의 ‘내지연장주의’와 「조선통치사견」 … 289
1) 하라의 ‘내지연장주의’와 식민 권력 견제 … 289
2) 하라의 「조선통치사견」 … 293
4. 조선총독부의 ‘문화정치’의 본질과 한계 … 298
1) 하라의 「조선통치사견」과 ‘문화정치’의 본질 … 298
2) 조선총독부의 ‘문화정치’의 한계 … 305
5. 결론 … 308
8장 대한민국임시정부와 중국 상하이 프랑스 조계(1919~1932) … 313
| 장세윤 ■ 동북아역사재단 명예연구위원 |
1. 서론 … 315
2. 중국 상하이 외국 조계지 성립과 프랑스 조계 … 318
3. 대한민국임시정부 성립과 프랑스 조계 … 322
4. 최근 공개된 프랑스 소재 임시정부 독립운동 관련 자료와 시사점 … 327
5. 임시정부와 프랑스 조계 당국의 관계에 관한 자료 검토 … 333
1) 임시정부 동향 관련 자료 … 335
2) 프랑스 조계 당국의 입장을 보여 주는 문서 … 338
3) 윤봉길 의거 이후 프랑스 조계 당국의 한인 체포 협조와 대일관계 … 345
6. 결론 … 352
9장 3·1운동 이후 민간지에 나타난 새로운 사상들: 민족주의·사회주의·
공산주의 사상과 총독부의 탄압 … 359
| 정진석 ■ 한국외국어대학교 명예교수 |
1. 서론: 민간신문 출현의 계기 … 361
2. 독립운동의 이론과 방법 제시 … 364
1) 조선인 발행 3대 민간지 … 364
2) 민주공화제 선포, 독립 방안 모색 … 365
3. 문화적 민족주의 비판 … 367
1) 『동아일보』의 민주주의-문화주의 … 367
2) 상하이 『독립신문』이 소개한 사회주의 사상 … 370
3) 이광수와 점진적 문화주의 운동 … 375
4. ‘과격 사상’ 대두와 탄압 … 380
1) 고려공산당 사건 … 380
2) 『신생활』 사건 … 381
3) 『신천지』 사건 … 384
5. 타민족의 독립 사상·운동을 선전 고취 … 386
1) 「조선과 노국의 정치적 관계」 … 387
2) 아일랜드 독립운동가 면담 필화 … 389
6. 사회주의 단체와 언론인들 … 392
1) 전조선 기자대회를 계기로 결성된 조선공산당 … 392
2) 사회주의 관련 기사 … 395
7. 일본 경찰의 탄압 … 397
1) 비밀 자료집 발간 … 397
2) 조선의 언론과 세상 … 401
3) 해외 유입 서적 단속 … 404
8. 결론: 1930년대는 독립사상 철저 금지 … 406
10장 3·1독립선언을 통해 본 한국 공화주의의 소묘 … 411
| 이병택 ■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
1. 서론 … 413
2. 민주공화와 자유 … 418
3. 민주공화와 국가성 … 427
4. 결론 … 433
11장 1919년 이전 공화주의에서 주권의 문제 … 441
| 신철희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연구원 |
1. 서론 … 443
2. 공화주의와 주권 … 445
1) 주권과 국가의 독립 … 446
2) 주권과 인민 … 450
3. 1919년 이전 주권 개념의 수용과 적용 … 455
1) 개항 이후 주권 개념 수용 … 456
2) 1910~1919년 사이의 주권 … 461
3) 대한민국임시정부 헌법 작성자들의 주권 이해 … 464
4. 왕으로부터 인민으로 … 468
5. 결론 … 476
12장 조소앙의 사회주의 수용과 공화주의 국가 구상 … 481
| 김기승 ■ 순천향대학교 향설나눔대학 교수 |
1. 서론 … 483
2. 일본 유학 시기 근대사상 형성과 사회주의 접촉 … 485
1) 민권의식의 형성 … 485
2) 사회주의와의 접촉 … 488
3. 1910년대 중반 일신교 제창과 사회주의 수용 … 494
1) 일신교 제창과 국내에서의 노동운동 시도 … 494
2) 1917년 「대동단결의 선언」 기초와 만국사회당 참가 시도 … 499
4. 3·1운동 시기 평등주의적 독립운동론 제창과 민주공화제 구상 … 502
1) 「대한독립선언서」와 평등주의 … 502
2) 「대한민국임시헌장」과 ‘민주공화제’ … 506
5. 3·1운동 이후 유럽에서의 독립외교와 사회주의운동의 전개 … 509
1) 루체른의 국제사회주의자대회 참석과 『적자보』 간행 … 509
2) 『적자보』에 나타난 민주공화제에 대한 인식 … 515
3) 독립외교에서 ‘민주공화제’의 유럽어 사용 … 518
4) 1920~1921년간 유럽과 러시아에서의 사회주의운동 … 521
6. 1921년 5월 이후 중국에서의 좌우통합 독립운동론 모색 … 527
7. 결론 … 532
13장 1916년 아일랜드 부활절 봉기와 1920년대 초 아일랜드 독립운동에
대한 한국 내 소개와 인식의 제 양상: 『동아일보』, 『조선일보』의 아일
랜드 민족독립운동 관련 기사 내용을 중심으로 … 539
| 김현철 ■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
1. 서론 … 541
2. 1916년 아일랜드의 부활절 봉기와 독립전쟁의 전개
그리고 파급 효과 … 542
3. 1910~1920년대 초 아일랜드 민족독립운동에 대한 한국 지식인들의 인식
과 평가: 『동아일보』와 『조선일보』 등에 실린 관련 기사 분석 … 554
1) 아일랜드 독립운동에 대한 『동아일보』의 관심과 관련 기사 … 556
2) 『조선일보』와 『신한일보』의 아일랜드 독립운동에 대한 관심과 관련 기사 … 562
3) 조선총독부의 관심과 『매일신보』 등의 관련 기사 목록 … 569
4. 결론 … 579
| 찾아보기 | … 5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