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88961876711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21-11-30
책 소개
목차
발간사 4
편찬사 7
머리말 12
제1장 근대개혁기 초등교육의 전개와 굴절
1. 1894년 소학교·사범학교 설립과 근대 초등교육의 시작 24
2. 소학교 확산과 교원 양성·임용제도의 정비 32
3. 일제 통감부의 교육 침투와 교육구국운동의 전개 60
제2장 일제 강점 초기(1910~1919): 폭압적 차별교육의 제도화
1. 무단통치에 바탕을 둔 조선인 초등교육 방침 102
2. 제1차 조선교육령에 따른 초등교육 정책 114
3. 일본인 교원의 학교 장악 144
4. 사립학교 정책 156
5. 「공립보통학교비용령」 제정·시행과 공립보통학교의 재정 운영 171
제3장 1920년대(1919~1929): 동화와 차별의 혼종
1. 3·1운동 후 일제 통치 방침과 초등교육 정책의 변화 180
2. 보통학교 입학난과 조선총독부의 대응 207
3. 공립보통학교의 확장과 교육재정 문제 225
4. 사범학교 제도의 부활과 민족 차별 239
제4장 1930년대(1929~1938): 실업교육 강화와 교육의 질 저하
1. 1929년 초등교육 정책의 변화 246
2. 1929년 「서당규칙」 개정과 서당·강습회 이용책 276
3. 간이학교 제도의 시행 283
4. 교원 양성 제도의 변개 298
제5장 일제 말(1938~1945): 전쟁과 교육의 붕괴
1. 제3차 조선교육령에 의한 초등교육제도의 변화 306
2. 1941년 국민학교 제도 시행과 교육 과정 개편 313
3. 징병제 시행과 초등교육 의무교육제도 도입 333
4. 초등학생의 전쟁 동원 337
5. 교원 부족의 만성화와 임시변통적 충원 341
제6장 일제 초등교육 정책에 맞선 교원과 학생
1. 교원의 저항 352
2. 학생·학부모의 저항: 보통학교 동맹휴학 370
맺음말 403
부록 409
참고문헌 424
찾아보기 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