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일제, 식민지, 근대 한국

일제, 식민지, 근대 한국

김광규, 정일영, 전명혁, 김국화, 조형열, 현명호 (지은이), 연세대학교 근대한국학연구소 인문한국플러스(HK+) 사업단 (엮은이)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4,000원 -0% 0원
1,200원
22,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일제, 식민지, 근대 한국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일제, 식민지, 근대 한국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91166842894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3-12-29

책 소개

우리가 다소 낯설어할 법한 사건들이 담겨 있다.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발생했지만, 아직도 잘 알려지지 않은 사건들. 여섯 명의 저자들은 각 사건을 면밀하게 분석하여, 일본인에게 사상과 문화를 탄압당했던 조선인의 삶을 오롯하게 보여 준다.

목차

발간사
자괴감과 자부심 사이?―?일제강점기 초등교원으로 살다 _김광규
일제강점기의 ‘스쿨미투’ _김광규
근대의 화장술, 화장 _정일영
사상 사건과 치안유지법의 탄생 _전명혁
‘101인 사건’과 치안유지법 _김국화
우생학, 과학에서 미신의 경지로 _정일영
1930년대 정다산 기념사업의 재조명 _조형열
노동자의 시각으로 본 원산총파업 _현명호
외국 석유회사의 조선인 노동자 _현명호

저자소개

전명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어학을 전공했고 성균관대학교 사학과에서 한국근현대사를 연구하고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과 연구소 책임연구원, 성공회대 민주자료관 부관장, 진실화해위원회 TF팀장, 역사학연구소 소장 등을 지냈다. 30여 년간 성균관대, 한국외국어대 등에서 역사학, 기록학 등을 강의했다. 현재 동국대학교 대외교류연구원 학술연구교수, 성공회대 민주자료관 연구위원, 역사학연구소 편집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 1920년대 한국사회주의운동 연구 (도서출판 선인, 2006), 형사판결문으로 본 3.1운동 시기 일상과 사회 , 형사판결문으로 본 치안유지법 사건과 1920년대 사회주의운동 (도서출판 선인, 2020), 일제강점기 국내 민족주의·사회주의운동 탄압사 (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2), 1920년대 사상사건의 치안유지법 적용 및 형사재판과정 (2019) 등이 있다.
펼치기
조형열 (엮은이)    정보 더보기
동아대학교 역사문화학부 사학전공 조교수. 고려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 한국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백남운‧김태준‧이청원 등 1930년대 마르크스주의 지식인의 학문론과 역사서술을 주제로 한 박사논문을 썼다. 고려대학교 BK21+한국사사업단과 연세대학교 근대한국학연구소 HK+사업단에서 연구교수로 일했다. 한국근현대 지식인의 의식과 생각을 다루는 사상사‧학문사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1930년대 마르크스주의 지식인의 학술문화기관 구상과 과학적 조선학 수립론」, 「1930년대 마르크스주의 지식인의 프롤레타리아문화운동과 ‘실천적 조선연구’론」, 「1930년대 조선 역사과학의 연구방법론」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고, 『20세기 전환기 동아시아 지식장과 근대한국학 탄생의 계보』, 『동아시아 혁명의 밤에 한국학의 현재를 묻다』, 『전통과 창조-조지훈 탄생 100주년 기념 논문집』 등 공저서 작업에 참가했다.
펼치기
김광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 고려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인천 관내 중등학교 역사교사로 재직했고 고려대학교, 인천대학교, 한양대학교 등에서 강의했다. 현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으로 있다. 저서로는 『우리 역사 어떻게 읽고 생각할까』(공저)가 있고, 논문으로 「도쿄여자고등사범학교 조선인 유학생 연구」, 「일제강점기 학교의 이면: 성차별과 성폭력」, 「조선의 ‘문검’ 합격자들」, 「조선의 ‘교육효적자(敎育效積者)’-식민권력이 표창한 모범교원들」, 「1920년대 경성사범학교 졸업생의 교직 생활」, 「중·고등학생 역사교육의 또 다른 장: 우리 역사 바로 알기 대회」, 「6·25전쟁 수업에서 ‘전쟁영웅’을 어떻게 이야기 할 것인가」, 「전쟁사 수업에서 참전군인 이야기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등이 있다.
펼치기
정일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사학전공 조교수 서강대학교 사학과 박사 졸업 논저: 「해방 후 한센인 자녀에 대한 차별과 배제의 양상: 1960~70년대 한센인 자녀 공학 반대 사건과 미국 입양 사례를 통하여」 외
펼치기
김국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연구위원 성균관대학교 사학과 박사 졸업 논저: 「101인 사건을 통해 본 일제하 형사재판(1925~28)」 외
펼치기
연세대학교 근대한국학연구소 인문한국플러스(HK+) 사업단 (엮은이)    정보 더보기
근대한국학연구소는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특성화 계획에 따라 설립한 인문·사회 분야의 학제 간 연구소입니다. 본 연구소에서는 한국사회와 학문 분야 전반에 걸친 근대성을 탐구하고, 근대성이 드러나는 특정한 시기들에 대한 집중 연구를 수행합니다.
펼치기
연세대학교 근대한국학연구소 인문한국플러스(HK+) 사업단의 다른 책 >

책속에서

이들은 초등교원이라는 직업이 보장하는, 비록 아주 대단하진 않더라도 자신들이 누릴 수 있는 경제적 안정과 사회적 지위를 포기하거나 그것을 잃을 수도 있다는 위험을 무릅쓰고 저항을 실천한 인물들이다. 이들은 초등교원으로서의 삶에 만족한 채 현실에 안주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진학이나 시험으로 개인적 성취·상승을 시도했던 인물들과 같은 문 앞에 서 있었다. 문을 열었을 때 서로 전혀 다른 방향으로 걸음을 내디딘 것은 불만족의 내용과 문제의식이 본질적으로 달랐기 때문이겠다. 그 선택과 삶에 경의를 표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므로 우리는 오히려 일제 식민지 시기의 화장을 다르게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식민지 시기의 화장 증가는 한국인의 죽음 문화가 변화했다는 증거가 아니라, 어쩔 수 없이 화장을 선택함으로써 의미를 상실하게 된 사람들의 증가를 뜻한다는 것. 식민지 상황에서 사랑하는 이의 의미를 되새기며 애도를 표하고 슬픔을 공유할 기회를 박탈당한 현상이었다고 해석하는 것이 오히려 정확할 것이다. 최근 전국의 화장률이 90%를 돌파했다. 이 수치가 한국의 문명화 정도를 보여 주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우리는 너무도 당연하게 잘 알고 있다. 아니면 바쁜 현대의 한국인이 죽은 이를 재빨리 처리하고 싶어 하기에 화장률이 증가한 것인가? 그것도 아니라는 것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죽음은 살아 있는 자들에게 받아들이기 매우 힘든 사건이기에, 우리는 항상 죽음에서 의미를 찾으려고 한다. 그렇다면 반대로, 일제 식민지 시기에 있었던 화장의 미화, 권유, 강요는 근대를 앞세운 폭력이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일제강점기인 1930년 2월 『동아일보』에는 ‘사상 관계 사건’이 격증하는 반면 재판소의 인원은 예전과 같아 진행 중의 사건도 처리가 곤란하고 공판에 회부된 이래 수개월이 지나도 공판기일이 결정되지 못하여 곤란한 상태였다고 하였다. 또 1933년 3월 16일 자 『조선일보』에는 ‘사상 사건’이 격증해서 법무국에서는 사상 사건의 ‘취체와 처분에 관하여 긴급한 문제로 연구 중’이며 ‘사상 신문 전문 검사와 사상 전문(專門)의 사찰관을 증원’할 것이라는 기사가 실렸다. 이와 같이 일제하에는 사상 사건이 자주 일어났다. 일제는 사상 사건에 대한 대응으로서 치안유지법이란 악법을 만들었다. 이 글에서는 사상 사건이 무엇이고 주요한 사상 사건은 어떠한 것이 있었고, 이러한 사상 사건, 사상운동에 대한 대응으로서 치안유지법은 어떻게 탄생했는지, 일제의 재판제도는 어떠하였는지 등에 대해 살펴보려고 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