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마이너리티 코뮌

마이너리티 코뮌

(동아시아 이방인이 듣고 쓰는 마을의 시공간)

신지영 (지은이)
갈무리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7,500원 -10% 870원 14,880원 >

책 이미지

마이너리티 코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마이너리티 코뮌 (동아시아 이방인이 듣고 쓰는 마을의 시공간)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운동 > 사회운동 일반
· ISBN : 9788961951319
· 쪽수 : 540쪽
· 출판일 : 2016-03-18

책 소개

2009년 가을~2015년 초까지 도쿄.서울.뉴욕 길에서 만난 소수자 마을 이야기. 일본의 반전.반빈곤 활동, 오키나와 미군기지 반대활동, 야숙자들의 공원 점거 활동, 재일조선인 코뮌과 인종주의적 차별, 3.11 이후 탈원전.반원전 활동 등의 기록이다.

목차

프롤로그 / ‘이후’와 ‘계속’ 사이에서 : 듣고―쓰기 통신 2009~2015 9

1장 다시, 코뮌을 듣다
2009년 6월 / 서클 『진달래』의 진달래는 붉다 : 재일조선인 서클지 『진달래』 심포지엄 34
2009년 7월 / ‘마을’을 시작하는 법 : 다니가와 간과 1950년대 서클마을 41
2009년 8월 / 야스쿠니 앞에서의 ‘광복’ : 2009년 8월 15일, 야스쿠니를 둘러싼 사건들 48
2009년 9월 / 폐를 끼치면서, 비로소, 살고 싶다 : 야숙자 마을 ‘가마가사키’에서 56
2009년 10월~11월 / 신주쿠 246번지, ‘거리―밥상’에 초대합니다 : 이주노동자 민우 씨와 야숙자의 <246키친> 65
2009년 12월 / 만국의 루저들이여, 속이 후련한 축제를! : 고엔지의 ‘아마추어들의 반란’ 72
2010년 2월 / 자치 기숙사, 학생 공동체의 갈라파고스 : 교토대학의 “요시다” 자치 기숙사 79
2010년 3월 / 지식게릴라들의 대학제도 이용법 : 비정규대학 <지하대학>에서 다큐멘터리 <철학에의 권리>를 보고 86
2010년 4월 / 싸우면서 태어나는 미야시타 마을 : 미야시타 공원의 나이키화를 막기 위한 싸움 92
2010년 5월 / 정치적 계절‘들’과 마을 : 일본의 <자유와 생존의 메이데이> 99

2장 파국에서 시작되는 코뮌
2011년 1월~2월 / 무서워하는 마을에서 무서운 마을로 : “여자와 퀴어들의 외치는 모임” 109
2011년 3월 / 오키나와와 연대의 온도차, 마을은 마을을 들을 수 있을까? : 신죠 이쿠오의 『오키나와를 듣는다』에 부쳐 120
2011년 4월 / 떠나온 자와 떠나는 자들 : 3월 11일 일본 대참사, 그리고 이동과 만남의 문제 130
2011년 5월 / 3·11 이후, 드러나는 우리‘들’ 차이‘들’ : 불안은 새로운 분노가 되어 가고 있다 142
2011년 6월 / 나의 ‘애착’이 너의 ‘애착’과 만날 수 있을까? : 6·11 탈원전 데모, 공통의 언어를 찾아서 154
2011년 7월~8월 / 이제, 깊은 땅속에는 ‘불확실성’이 묻혀 있다 : 3월 11일의 재해 이후 일어난 감수성의 변화 166
2011년 10월 / 반년 후의 마을이, 40년 지속한 마을에게~ : 3월 11일 이후 반년이 흐른 시점에 178
2011년 11월 / 그녀들은 운다 : ‘불안해하는’ 여성들의 ‘불안하게 하는’ 점거 190
2011년 12월 / 점거 텐트, 그 마을들의 노래 201

3장 거리로 나온 소수자들
2012년 2월 / ‘이곳’에서 ‘저곳’과 함께하는 방법 : 생존 그 이상을 상상하는 야숙자들의 월동준비 213
2012년 3월 / ‘그날’을 정당하고 아름답게 살기 위해서 : 2012년 3월 11일, 지진 쓰나미 원전 사고 1주기 224
2012년 4~5월 / 그림자에 그늘질 때 : 3·12 후쿠시마, 5·15 오키나와, 그리고 이토 다리 퍼포먼스 241
2012년 5월 / ‘잡민’들의 메이데이 : 2012년 <자유와 생존의 메이데이> 252
2012년 6월 / 마치 정부가 없는 것처럼… …! : 제5회 <윤타쿠 다카에>(6월 17일)의 총천연색 에너지 265
2012년 7월 / 사라지지 않는 무한대―우리‘들’ : 6·11 야숙자 추방에 항의하며 276
2012년 8월 / 視衆 ― ‘우리’는 ‘우리’의 목격자 : 수상관저 탈원전 집회, 8월 10일을 중심으로 284
2012년 9월 / 지킴이, 가장 내재적인 외부세력 : 두물머리 지킴이 친구와 만난 날 295
2012년 12월 / 귀속―귀향 없는 ‘자기 결정권’과 ‘생활권의 공유’ : 오키나와 “복귀” 40년과 야숙자 추방을 생각하며 306
2013년 1월 / 그곳엔 긍지가 있다, 너무나 자연스럽게! : 요요기 블루텐트와 다테가와 블루텐트의 월동준비 317

4장 다시, 심화된 인종주의 속에서
2013년 3월 / 우리 집 앞, 보이지 않는 그녀들, 비밀들 : 재능교육 특수고용노동자, 위안부 할머니들 328
2013년 4월 / ‘네’ 이야기를 들어 봐! 재해 속 사이렌의 침묵을 듣는 법 : <아워 플래닛 TV> 아마추어 다큐멘터리 상영회 338
2013년 6월 / ‘그들’로부터 멀리 : 2013년 4월에서 6월까지의 어떤 감정 347
2013년 8월 / ‘내 친구에게 손대지 마라!’ 속 ‘친구’가 친구에게 : 차별 철폐 도쿄 대행진과 9·23 액션 “용서 못 해! 차별 배타주의” 358
2013년 11월 / 우리는 ‘우리의’ 가면을 쓴다 : <가면의 붉은 숨> 표현 행동을 보고 370
2013년 12월 / 우리‘들’의 비밀을 되찾는 주문, ‘A 씨가 나다’ : <특정비밀보호법>(12월6일) 강행 체결의 시간 383
2014년 4월 / 전 세계적 우경화 속 특수성을 ‘듣고―쓰는’ 법 : 인터뷰 「일본 대학에서 재일조선인 여성 강사가 강의하는 법」 1, 2에 대하여 395
2014년 8월~2015년 1월 / 무엇이 ‘블랙’인가? : 인종주의에 대항한 뉴욕의 블랙 운동, 2014.8.~2015.1.의 기록 412
2015년 3월 / ‘~이후 시간’들의 아카이브 : ‘저곳’에서 ‘이곳’을 말하기 462

에필로그 / 끝나며 시작하는 글 : 어떤 긴장감 속의 2015.4.11.~8.13. 486

후주 524

책속에서

3월 11일 2시 46분에 나는 도쿄 내 방에 있었다. 똑바로 서 있기 힘들 정도의 흔들림으로 방이 난장판이 되었지만, 지진을 별로 경험한 적 없는 나는 ‘지진은 다 이런 건가 … …’ 라고 생각했다. … … 14일 밤에서 15일을 기점으로 온갖 모임이 취소되기 시작했고, 유학생들은 본국이나 간사이 지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 … 도쿄에 머물러도 괜찮을지 헷갈리고 불안한 시간이 시작되었다. 사람들은 대피하거나, 집에 틀어박혔다.
― 2011년 4월 / 떠나온 자와 떠나는 자들


첫 번째 퍼포먼스는 “하나의 응답 ― 배봉기 씨와 세어지지 않는 여자들”이었다. 1944년에서 2000년까지 오키나와의 전쟁과 군대와 미군 기지 주변에서 희생된 위안부나 성매매 여성들의 이야기다. …… [퍼포머] 이토 다리 씨는 땅바닥에 못을 마구 떨어뜨렸다. 못이 튀어 오르고 떨어지고 부딪치는 소리가 오키나와 기지 근처 환락가의 영상을 배경으로 공간을 가득 채운다. …… 이 행위는 못으로 상징되는 미군 기지에 의해 세어지지 못한 여성들의 피해를 고발하고 그녀들을 기억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렇게 몸을 파고들고 몸을 속박하는 형태로만 그녀들은 바다를 건너 이동할 수 있었을 것이었다.
― 2012년 4월~5월 / 그림자에 그늘질 때


이날 분위기를 뜨겁게 달군 것은 한국의 강정마을에서 온 <10만 송이 청년들>의 어필이었다. “구럼비를 살려 주세요”라고 쓴 노란 티셔츠를 입은 이들은 제주도의 해군기지 건설이 1천 명 주민 중 단지 40명의 찬성으로 통과되었으며 ‘구럼비’라는 강정 특유의 자연환경이 해군기지 건설을 위한 폭파작업으로 고통받고 있다고 말한다. 특히 마을 사람들이 결혼식 때와 같은 특별한 행사 때 비는 신성한 곳이 철조망으로 둘러싸여 들어갈 수도 없게 되었다고 말하면서 “강정과 다카에는 하나다!”라고 외쳤다.
― 2012년 6월 / 마치 정부가 없는 것처럼 … …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619514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