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여성학/젠더 > 여성학이론
· ISBN : 9788961953146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23-03-08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지은이 서문 5
감사의 말 13
서문 15
1부 자본 축적과 유럽 마녀사냥에 대한 재고
1장 「한여름의 노래」, “우리의 땅을 사랑해요” 27
2장 왜 마녀사냥을 다시 이야기해야 하는가? 33
3장 마녀사냥, 인클로저, 그리고 공유 재산 관계의 종말 40
4장 마녀사냥과 여성의 힘에 대한 공포 56
5장 ‘가십’의 의미에 관하여 74
2부 자본 축적의 새로운 형태와 우리 시대의 마녀사냥
6장 지구화, 자본 축적, 여성에 대한 폭력 : 국제적, 역사적 관점 89
7장 현재 아프리카에서 일어나고 있는 마녀사냥, 지구화 그리고 페미니스트 연대 113
결론 162
참고문헌 166
부록 : 실비아 페데리치의 삶과 실천 175
옮긴이 후기 : 마녀사냥, 공동체 파괴에 저항하며 185
인명 찾아보기 219
용어 찾아보기 220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나는 지난 수십 년간 마녀, 마녀사냥과 여성의 문제를 연구해 왔습니다. 그 결과 나는 소위 ‘마녀’에 대한 박해가 과거와 현재의 가부장적 권력의 주요 표현 중 하나라는 것을, 그리고 자본주의 사회의 역사에서 여성에게 가해진 평가절하의 주요 수단 중 하나라는 것을 그 어느 때보다 더 확신하게 되었습니다.
― 한국어판 지은이 서문
‘마녀사냥’이라는 말이 유럽 각국의 법전에 등장하고 마녀로 지목당한 여성이 대대적인 박해의 표적이 되기 시작한 지 5세기가 넘게 지났다. 오늘날 여성이 마녀로 몰려 공격당하고 살해당하는 일이 벌어지는 대부분의 국가들에서 정부는 이러한 범죄를 인정하지 않는다.
― 서문
노예무역과 ‘신세계’ 토착민의 박멸과 마찬가지로 마녀사냥이, 근대 자본주의 세계가 부상하는 길을 열어젖힌 다양한 사회적 과정의 교차점에서 일어난 일이라는 점은 아직 인정되지 않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 더 많은 마녀사냥 연구는 자본주의의 도약을 가능케 한 전제조건들과 관련해서 진행되어야 한다.
― 2장 왜 마녀사냥을 다시 이야기해야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