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모빌리티 시대 기술과 인간의 공진화

모빌리티 시대 기술과 인간의 공진화

김태희, 이진경, 최진석, 김환석, 주은우, 김상호, 박정아, 신혜란, 신지영, 윤태양 (지은이)
앨피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300원 -10% 0원
850원
14,4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0,710원 -10% 530원 9,100원 >

책 이미지

모빌리티 시대 기술과 인간의 공진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모빌리티 시대 기술과 인간의 공진화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87430919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20-02-28

책 소개

모빌리티인문학 총서 14권. 모빌리티 전회와 물질적 전회의 교차로에서, 호모 모빌리쿠스와 모빌리티 테크놀로지의 '모빌리티 공진화'를 개념화하고, 특히 이러한 공진화가 인간의 새로운 지각과 정동, 시간 의식과 공간 의식, 장소성 등을 야기함으로써 일종의 '모빌리티 스케이프'를 형성하고 있음에 주목한다.

목차

머리말 모빌리티와 물질성의 문제 _ 김태희

1부 모빌리티 테크놀로지와 인간의 공-진화

인공지능과 철학적 인간학: 인공지능과 사이보그가 던지는 철학적 물음들 _ 이진경
인공지능의 ‘충격’
존재론적 평면화: ‘포스트휴먼’에서 ‘프리휴먼’으로
중국어 방과 아에뮬라티오: 플라톤의 문제
사이보그와 개체의 경계: 데카르트의 문제
뇌의 이식과 전송: 엥겔스의 문제
기계가 지배하는 미래

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의 (탈)인간학: 기계와 인간의 공진화를 위한 사회적 존재론 _ 최진석
호모 파베르와 휴머니즘의 신화
인간과 기계의 상호 공속성
기계론과 기계주의의 역사
근대성의 전도와 미래의 기계-인간
포스트휴머니즘의 탈인간학

사회과학의 ‘물질적 전환material turn’을 위하여 _ 김환석
물질성materiality에의 주목
물질주의적 생활양식
유물론의 전통적 형태들과 물질성의 개념
물질성을 전면에 내세우기: 물질성은 과연 무엇을 뜻하는가
물질적 정치: 누구와 무엇을 집합체에 포함시켜야 하는가

2부 모빌리티 스케이프와 호모 모빌리쿠스

속도, 시각, 현대성:시각체제의 변동과 비릴리오의 질주학적 사유 _ 주은우
시각과 현대성
속도와 현대성
현대성과 시각의 원격위상학
질주정과 시각과 현대성

미디어와 공간, 그리고 장소의 문제 _ 김상호
장소와 장소 만들기
공간과 장소에 관한 논의의 갈래들
장소의 상실 혹은 장소의 귀환: 장소 상실placelessness과 비장소non-place
신체성과 미디어 그리고 장소
장소에 대해 다시 생각하기

디지털 공간의 매개로서 모빌리티 확장 현상에 관한 연구_ 박정아
디지털 공간 확장 매개로서 모빌리티 환경
모빌리티의 발전과 사회적 배경
새로운 모빌리티 패러다임과 모빌리티 전환
디지털 공간 매개로의 모빌리티
디지털 요소와 비물리적 이동의 연관 사례들
모빌리티 패러다임과 디지털 공간의 변화, 그리고 모빌리티 확장

3부 이동하는 사회와 모빌리티 통치성

이동통치와 불안계급의 공간전략 _ 신혜란
현대사회의 불안정성과 공간
불안정성, 불안계급
불안계급과 공간, 이동
이동: 동원과 자발의 결합, 불안정의 원인이면서 전략
불안계급 항해 속 공간전략: 반복 이동과 장소 만들기
불안계급의 역량

재난 이후의 ‘피난약자’: 내부로의 ‘避-難’과 외부에서의 ‘生-存’ _ 신지영
사회운동 근거ground에 대한 질문: 일본 재해 8주기와 세월호 5주기
재해 5년 후에 되묻는 ‘피난’과 ‘생존’
‘피난’할 수 없는 존재들
‘피난’의 대상조차 아닌 존재들
무력감·불안·난민화를 껴안고: 연결로서의 생-존과 내부로의 피-난

모빌리티 사회와 유가윤리 _ 윤태양
원한다면 언제, 어디든 갈 수 있는 세계의 아이러니
소외의 문제: 두 가지 접근
모빌리티 테크놀로지의 발달과 심화되는 소외의 현상
작은 사회와 관계에서의 덕목, 오륜
오륜의 전통적 문제와 현대적 재해석의 시도들
모빌리티 시대, 작은 사회의 회복과 오륜의 재해석

저자소개

김환석 (감수)    정보 더보기
국민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다.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학부 과정과 석사 과정을 졸업했고 런던대학교 임페리얼칼리지에서 과학기술사회학으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과학기술학회 회장,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위원, 유네스코 세계과학기술윤리위원회 위원, 한국이론사회학회 회장을 지냈다. 과학기술사회학과 신유물론이 주된 연구 분야다. ≪과학사회학의 쟁점≫(2006)과 ≪코로나 팬데믹과 문명의 전환≫(2024)을 썼다. 공저로는 ≪한국의 과학자사회≫(2010), ≪생명정치의 사회과학≫(2014), ≪포스트휴머니즘과 문명의 전환≫(2017), ≪21세기 사상의 최전선≫(2020), ≪신유물론: 몸과 물질의 행위성≫(2022) 등이 있다.
펼치기
이진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지식공동체 수유너머 파랑 연구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인문사회교양학부 교수. 『철학과 굴뚝청소부』를 시작으로, 자본주의와 근대성에 대한 이중의 혁명을 꿈꾸며 쓴 책들이 『맑스주의와 근대성』, 『근대적 시·공간의 탄생』, 『수학의 몽상』, 『철학의 모험』, 『근대적 주거공간의 탄생』, 『필로시네마, 혹은 탈주의 철학에 대한 10편의 영화』 등이다. 사회주의 붕괴 이후 새로운 혁명의 꿈속에서 니체, 마르크스, 푸코, 들뢰즈·가타리 등과 함께 사유하며 『노마디즘』, 『자본을 넘어선 자본』, 『미—래의 맑스주의』, 『외부, 사유의 정치학』, 『역사의 공간』, 『우리는 왜 끊임없이 곁눈질을 하는가』, 『사랑할 만한 삶이란 어떤 삶인가』 등을 썼다. 『코뮨주의』, 『불온한 것들의 존재론』, 『삶을 위한 철학수업』, 『파격의 고전』 등을 쓰면서 지금 여기에서의 삶을 바닥없는 심연 속으로 끌고 들어가고 있다.
펼치기
주은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및 동 대학원 협동과정 문화연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미국 캔자스대학교 미국학과American Studies에서 박 사후 과정을 연수했다. 저서로 《시각과 현대성》, 《오키나와로 가는 길》(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당신의 징후를 즐겨라!》, 《아메리카》, 《프로이트와 비유럽인》 등이 있다.
펼치기
김태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 HK교수.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시간에 대한 현상학적 성찰》, 《모빌리티 존재에서 가치로》(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소외와 가속》, 《사물과 공간》, 《모빌리티와 인문학》(공역), 《에드문트 후설의 내적 시간의식의 현상학》(공역), 《헤겔의 세계》(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김상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고려대학교에서 신문방송학 학부와 석사과정을 마치고 미국 University of Oklahoma에서 커뮤니케이션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Environmental Communication and the Extinction Vortex(공저)가 있으며, 옮긴 책으로 《미디어의 이해: 인간의 확장》이 있다. <한국텔레비전 테크놀로지의 사회적 수용>, <엔텔레키를 중심으로 해석한 맥루한의 미디어 개념>, <매클루언 매체이론에서 인간의 위치>, <확장된 몸, 스며든 기술> 등 기술과 인간의 관계를 해명하는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펼치기
신혜란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25년 현재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교수다. 도시 정치를 포함하는 정치 지리, 이주민 연구를 주로 하고, 정치 지리, 공간의 정치와 지정학, 질적 연구 방법론, 인구 지리학, 사회 지리학, 젠더와 다문화 지리학을 가르친다.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학과 학생이던 시절 철거촌 공부방 교사를 하며 도시 문제가 첨예하게 드러난 철거 상황을 지켜봤다. 대학원에서 사회과학으로 전공을 바꿔 도시계획학 석사 과정(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도시 정치를 접하면서 자본주의, 세계화, 국가, 도시, 개인의 역동성이 뒤얽혀 있는 정치 과정을 관찰, 해석하는 작업에 매료됐다. 장소 마케팅의 도시 정치를 사례로 석사 학위 논문을 썼고, 미국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에서 이주 여성의 일상 속 정치를 역량 이론을 기반으로 삼아 분석한 박사 논문을 썼다. 런던 대학교 도시계획학과에서 첫 교수 생활을 시작해 2005년부터 2013년까지 도시 정치, 도시 환경 정치 과목을 가르쳤다. 이때 신도시 개발, 조선족 이주민, 문화 경제, 의사 결정 권력, 도시 재생, 기억 공간 개념을 바탕으로 글래스고, 송도, 영국 환경 담론, 조선족, 후쿠시마 사례 연구를 했다. 2013년에 서울대학교 지리학과로 옮기면서 성미산, 세월호 기억 공간, 김포, 제주, 대통령 선거 캠프, 탈북민 사례 연구를 했고, 요즘에는 계엄과 광장 정치, 탈북민 이동 경계지, 몸의 정치를 비판 지정학과 정치 지리 측면에서 보고 있다. 현장에서 일어나는 권력, 공간, 행위자 사이의 상호 작용 과정 중에 드러나는 역동성을 풍부하게 읽기 위해 심층 인터뷰, 참여 관찰, 포커스 그룹 인터뷰 같은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한다. 심상 지도 연구 방법을 쓰고 직접 그림도 그리면서 현장을 생생하게 포착하고 개념을 분명하게 전달하기 위해 늘 고민한다. 대표 저서는 《우리는 모두 조선족이다》(2016, 이매진), 《누가 도시를 통치하는가》(2022, 이매진), The Cultural Politics of Urban Development in South Korea: Art, Memory and Urban Boosterism in Gwangju(2020, Routledge), North korean defectors in diaspora: identities, mobilities, and resettlements(2022, Lexington Books), Contested Placemaking in South Korea: Power, Knowledge, and Strategy in Hiearchical Governance(2025, Palgrave) 등이다.
펼치기
박정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에서 디자인학 석사학위를 받고,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공간디자인 전공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신안산대학교 실내디자인과 겸임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인테리어 디자인 설계회사인 제이디자인그룹 대표를 맡고 있다.
펼치기
윤태양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에서 HK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다원적 사회에서 윤리적 문제들과 한국의 전통적 가치들이 어떻게 현대적 설득력을 가질 수 있을지 모색하고 있다. 논문으로 <다원주의 윤리에 대한 동양철학적 접근>, <작은 사회의 회복을 위한 유가윤리(오륜)의 현대적 재해석>, <이기적 욕망을 인정하는 도덕이론의 문제> 등이 있으며, 저서로 《길 위의 우리 철학》(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09016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