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61952415
· 쪽수 : 528쪽
· 출판일 : 2020-06-26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옮긴이 서문 8
감사의 글 12
서론 이중 내부성 : 자연을 중시하는 역사 17
1부 이원론에서 변증법으로 : 세계생태로서의 자본주의
1장 대상에서 오이케이오스로 : 자본주의적 세계생태에서의 환경형성 68
2장 생명의 그물 속 가치 95
3장 단일한 신진대사를 향하여 : 이원론에서 자본주의적 세계생태의 변증법으로 133
2부 역사적 자본주의, 역사적 자연
4장 생태잉여의 저하 경향 155
5장 자연의 자본화 또는 역사적 자연의 한계 185
6장 세계생태혁명들 : 혁명에서 체제로 232
3부 역사적 자연과 자본의 기원
7장 인류세인가 자본세인가? : 현행 생태위기의 본성과 기원에 관하여 273
8장 추상적인 사회적 자연과 자본의 한계 309
4부 저렴한 자연의 발흥과 죽음
9장 저렴한 노동? : 시간, 자본, 그리고 인간 자연의 재생산 348
10장 장기 녹색혁명 : 장기 20세기 저렴한 식량의 삶과 시대 378
결론 저렴한 자연의 종언? : 자본의 세계생태적 한계는 자본 자체다 457
참고문헌 481
인명 찾아보기 512
용어 찾아보기 515
리뷰
책속에서
『생명의 그물 속 자본주의』는 자본주의라고 부르는 관계들의 모자이크가 자연을 통해서 작동하는 방식에 관한 책이면서 자연이 더 한정된 영역인 자본주의를 통해서 작동하는 방식에 관한 책이다. ... 나는 ‘자연’을 외부적인 것으로 여기는 관점이 자본축적의 기본조건이라고 주장한다. 정치적 상상이 자본주의의 이항적 실재 구조에 사로잡힌 한, 평등주의적이고 대체로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자본주의를 초월하고자 하는 모든 노력은 좌절당할 것이다. 그리고 그와 관련하여, 오늘날 자본주의의 한계를 판별하고자 하는 노력은 실재를 자본주의적 발전에 내재하는 이원론에 집어넣음으로써 그다지 진척될 수 없다.
― 서론 : 이중 내부성
나는 ‘자연’/‘사회’의 이원론이 근원적으로 근대성의 폭력에 가담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난 40년에 걸쳐 인종과 젠더, 섹슈얼리티, 유럽중심주의의 이원론들을 극복하기를 배워 온 바로 지금이 그 모든 이원론의 원인, 즉 ‘자연’/‘사회’ 이항 구조를 다룰 적기다. 그 이유는, 그것이 발생한 16세기에서 자본주의의 황혼까지, ‘자연’/‘사회’ 이원론에는 여타의 것과 전적으로 마찬가지로 피와 오물이 덕지덕지 묻어 있기 때문이다.
― 서론 : 이중 내부성
오이케이오스는 인간 자연과 비인간 자연 사이에 맺어지는, 그리고 언제나 이들 자연에 내재하는, 창조적이고 역사적이며 변증법적인 관계를 명명하는 방식이다.
― 1장 대상에서 오이케이오스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