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물리학 > 쉽게 배우는 물리학
· ISBN : 9788962451436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7-11-29
책 소개
목차
1장 상대성이론에 들어가기 전에
1-1 왜 상대성이론을 알아야 하나_
1-2 갈릴레이의 상대성원리
1-3 코페르니쿠스의 혁명
1-4 광속 불변의 법칙
2장 특수상대성이론 _ 등속도 세계의 물리 법칙
2-1 동시성의 파괴 _ 움직이는 물체의 시간은 다르게 흐른다.
2-2 움직이는 물체의 시간이 느리게 가는 이유
2-3 특수상대성이론을 최초로 확인시켜준 '뮤온'
2-4 움직이는 물체의 길이가 축소되는 이유
2-5 우주에서 가장 빠른 속도는 광속이다.
2-6 움직이는 물체의 질량이 증가하는 이유
2-7 E = mc² _ 질량이 곧 에너지다.
2-8 4차원의 시공간 _ 민코프스키 공간
3장 일반상대성이론 _ 가속도 세계의 물리 법칙
3-1 특수상대성이론과 일반상대성이론의 차이점
3-2 관성력과 중력은 힘이 아니다.
3-3 중력장과 휘어진 시공간
3-4 등가원리와 일반상대성이론
3-5 일반상대성이론을 최초로 확인시켜준 휘어진 별빛
3-6 중력장과 시간의 지연
3-7 블랙홀과 특이점 _ 일반상대성이론의 사각지대
3-8 만유인력 법칙과 일반상대성이론의 차이점
3-9 상대성이론의 결말 _ 시간과 공간, 물질과 에너지의 통합
상대성이론을 마치면서
부록
4-1 민코프스키의 세계선
4-2 방정식 E=mc² 구하기
참고 문헌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상대성이론을 왜 자연과학이나 공학을 전공하는 사람뿐만 아니라
인문학을 전공하는 사람들도 알아야 할까?
“철학은 과학으로부터 결론을 얻어야 한다.”는 아인슈타인의 말을 기억하니? 진리를 탐구하는 철학에서는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진리에 접근하려고 한단다. 그런데 과거의 상식으로 볼 때, 합리적이지도 논리적이지도 않은 사실이 현실에 존재한다는 것을 아인슈타인을 포함한 여러 과학자들이 발견하게 되었단다.
가령, ‘시간과 공간과 질량은 속도에 따라 변한다.’ ‘A가 B를 보면 B의 시간이 느리게 가고, B가 A를 보면 A의 시간이 느리게 간다.’ ‘우리가 사는 우주에서 삼각형 내각의 합은 180도가 아니다.’ 등 과거 칸트와 뉴턴의 시대에서는 도저히 인정할 수 없었던 새로운 명제가 바로 그 예란다. 그렇다면 합리적이며 논리적인 방법으로부터 얻어진 철학적 결론을 과연 진리라고 할 수 있을까? “철학은 과학으로부터 결론을 얻어야 한다.”는 아인슈타인의 말을 이해할 수 있겠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