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론/경제사상
· ISBN : 9788962604887
· 쪽수 : 460쪽
· 출판일 : 2012-11-12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자본주의의 중심
PART 1 자본주의의 적응
CHAPTER 01 자본주의의 새로운 중심: 세계 경제 환경의 변화
새로운 땅에 정착하는 자본주의│새롭게 태어나는 자본주의│정보 기술 위에 자리 잡은 자본주의│새로운 재화의 거래│세계 횡단│기지국은 없다
CHAPTER 02 캄브리아기 자본주의: 간단한 피드백, 공작새 이야기, 자본주의의 진화
변화의 이론│자본주의는 일련의 규칙이다│공진화│적응과 선택│피드백과 동학│공작새의 꼬리와 탈주효과│자본주의라는 정글│다양성은 꼭 필요하다
PART 2 탈주와 르네상스
CHAPTER 03 다채로운 자본주의: 측정되지 않는 것, 측정될 필요가 있는 것
중요한 것 측정하기│왜 이윤추구 모델에 안주하는가?│탈주효과로서의 GDP│부탄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아이디어는 확산된다│자기자본수익률의 탈주효과│기업의 행복│태양 위에 서서
CHAPTER 04 외부효과 수용하기: 기업은 어떻게 새로운 형태의 피드백에 적응할 것인가
곳곳에 존재하는 피드백이 이슈를 규정한다│불가능을 시도하는 기업│합리적 대응│책임의 범위│변화의 징조│태양 위에 서서
CHAPTER 05 사이비 경쟁: 자본주의 신성불가침의 영역을 파괴하다
경쟁의 새로운 양상│규모의 필연성│지속 가능한 경쟁우위의 탐색│반드시 필요한 성장│독점 현상이 벌어져야만 독과점을 규제한다│재갈 물린 경쟁│사이비 경쟁 방법│라이프 케어의 종말│태양 위에 서서
CHAPTER 06 보이지 않는 손들: 협동 생산이 세계의 기업 모델이 되다
보이지 않는 손들을 정의하는 네 가지 요소│보이지 않는 손에서 보이는 손으로, 그리고 보이지 않는 손들로│협동의 탄생│컴퓨터 가상공간의 비트에서 실물의 원자로│잉여는 잉여로 남는다│오픈 소스의 선구자, 유닉스│지적 재산권에 대한 문제│무료로 제공한 후 요금을 부과하라│개발도상국이야말로 경제 체제 변화의 촉매다│태양 위에 서서
CHAPTER 07 제4부문: 사회부문은 자본주의의 연구개발 실험실이다
왜 애초부터 경제를 구분하는가?│인내자본과 혼합된 수익│사회부문은 자본주의의 실리콘밸리와 같다│제4부문│사회부문과 민간부문의 이종교배│신흥 개발도상국의 이점│조화로운 존재: 가치혼합의 아름다움│놀라운 반전│태양 위에 서서
PART 3 전진
CHAPTER 08 자본주의라고 부르는 것: 전 세계적 독점과 국가적 사업 모델
새로운 공공시설과 IP의 전 세계적 공유│실패부문과 동적 경제│감소하지 않는 지복점과 행복의 측정│재정부문과 외부효과│당신의 국민 경제 모델은 무엇인가?│신흥 국가의 생태계│태양 위에 서서
CHAPTER 09 그리고 전진: 경제 진화의 매개체로 거듭나는 다국적 기업
태양에서 받은 에너지를 지구에 심다│새로운 다국적 기업│새로운 듀폰 등식│태양을 중심으로 사고하기: 자본주의는 적응한다
맺음말
주
책속에서
자본주의는 적응하는 체제이다. 다시 말해 자본주의는 새로운 환경에 처할 때 진화한다. … 기업들은 돈을 좇고 있고, 우리는 세계 경제의 ‘무게중심’이 다른 지역을 향해 극적으로 이동하는 상황 한가운데에 놓여있다. 이는 단지 새로운 시장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는 뜻이 아니다. 새로운 경제적 번영의 주인 노릇을 하는 사회는 20세기 후반 자본가들이 초점을 맞추었던 사회와는 확연히 다르다는 의미다.
_ 자본주의의 새로운 중심
우리는 이보다 엄청난 영향력을 발휘할 곳으로 신흥 개발도상국들을 주목하고 있다. 신흥국가들은 활기가 넘치면서도 혼돈으로 가득 차 있다. 또한 1장에서 말했던 바와 같이 신흥국가들은 규모 면에서 대체로 동등하게 성장하면서도 속도 면에서는 다른 나라들을 훨씬 능가하고 있고, 따라서 이 나라들은 지구에 존재하는 모든 자본주의의 아이디어를 끌어들인다. 따라서 신흥국가들은 모든 것을 시도할 수 있는 다양한 발전 가능성과 속도를 갖추고 있다.
_ 캄브리아기 자본주의
새로운 관점에서 보면, 시장 점유를 위한 경쟁 모델 전체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존의 경쟁 모델은 경쟁을 제로섬 게임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결국 시장이 성장하고 있는가에 관한 더욱 근본적인 문제는 뒤로 밀려나고 만다. 미국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이런 실수를 저질렀다는 사실은 악명 높은 이야기다. … 자본주의 체제의 중심에 경쟁 대신 혁신을 놓는다고 해서 경쟁이 끝나지는 않는다. 혁신이 중심에 온다는 것은 단지 시장의 경쟁자들이 서로 죽이기 위해 경쟁하는 것이 아니라, 경쟁을 통해 미래의 세계가 원하는 것을 먼저 달성한다는 의미일 뿐이다.
_ 사이비 경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