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국 공자문묘 연구

중국 공자문묘 연구

공상림, 공철 (지은이), 임려, 장윤정, 이향화, 왕위령 (옮긴이)
동아시아
3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4,200원 -10% 0원
1,900원
32,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국 공자문묘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 공자문묘 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사 일반
· ISBN : 9788962622607
· 쪽수 : 792쪽
· 출판일 : 2018-12-28

책 소개

중국에서 공자문묘가 탄생하고부터 당.송대를 거쳐 확대되는 과정, 요.금.서하.원대의 침체기를 거쳐 명.청대에 전성기를 맞는 과정과 민국(民國) 이후 공자문묘가 파괴되는 양상, 중국의 개혁 개방 이후 복원되는 상태까지 전체 역사를 촘촘히 정리하였다.

목차

제1편_ 중국 공자문묘의 역사
제1장_ 공자문묘의 탄생: 전국(戰國) 시대
제2장_ 공자문묘의 정초: 한대(漢代)
제3장_ 경사(京師) 공자문묘의 출현: 동진(東晉) 시대
제4장_ 지방학교 공자문묘의 시작: 북제(北齊) 시대
제5장_ 공자문묘의 확대기: 당대(唐代)
제6장_ 공자문묘의 성숙기: 송대(宋代
제7장_ 공자문묘의 침체기: 요(遼)․금(金)․서하(西夏)․원(元)
제8장_ 공자문묘의 중흥기: 명대(明代)
제9장_ 공자문묘의 전성기: 청대(淸代)
제10장_ 공자문묘의 쇠퇴기: 청 말(淸末)
제11장_ 공자문묘의 파괴: 민국(民國) 이후
제12장_ 공자문묘의 복원: 개혁개방 이후

제2편_ 중국 공자문묘의 제도
제1장_ 공자문묘와 학교의 배치관계
제2장_ 공자문묘의 건축구조
제3장_ 공자문묘의 건축제도
제4장_ 공자문묘의 봉사제도(奉祀制度)
제5장_ 공자문묘의 제사제도

제3편_ 중국 공자문묘의 현황
제1장_ 공자문묘의 보존 현황
제2장_ 공자문묘의 이용
제3장_ 대표적인 공자문묘

부록
부록 1_ 중국 공자문묘 대사기[中國孔子廟大事記]
부록 2_ 양무에 배향된 선현 일람표
부록 3_ 양무에 배향된 선유 일람표
부록 4_ 숭성사(崇聖祠)의 봉사인물 일람표
부록 5_ 중국 학교문묘 일람표
부록 6_ 그림 차례

저자소개

공상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산동성(山東省) 곡부시(曲阜市) 출신으로 공자의 75대손이다. 곡부 문화재 관리위원회 주임, 공자박물원(孔子博物院) 원장, 공자연구원 부원장을 역임했다. 2007년부터 2017년까지 세계 유학대회 사무국 사무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공자연구원 2급 연구원, 국제 유학연합회 이사, 중국공자 기금회(基金會) 이사, 중국 공자문묘 보호협회 명예 회장, 국제 제공(祭孔)연맹 주석, 한국 유도회(儒道會) 고문, 홍콩 공교(孔敎)학원 고문, 곡부사범대학교 특별 초빙교수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1997년 중국 국무원의 특별 지원금을 받았고, 1999년 산동성 전문기술 첨단 인재로 선발되었으며, 2018년 산동성 사회과학 특별 공헌상을 수상한 동시에 산동성 사화과학 명가(名家)로 선정되었다. 연구 분야는 공자사상, 공씨 가문, 공자 관련 문화유산 등이며, 주요연구로 『世界孔子廟硏究』[중국 국가사회과학기금(國家社會科學基金) 연구 프로젝트의 연구 성과로 『國家哲學社會科學成果文庫』로 선정됨], 『孔府文化硏究』, 『孔子誌』, 『圖說孔子』, 『衍聖公與衍聖公府』 등 10여 권의 저서가 있다. 유네스코 파리 본부, 미국, 프랑스, 호주, 한국, 일본,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 10여 개국과 중국 상해, 흑룡강성, 하북성, 요녕성, 내몽고 등 성시(省市) 도서관에서 200여 차례 강연을 했다.
펼치기
공상림의 다른 책 >
공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산동성 곡부시 출신으로 현재 공자문묘와 국자감 박물관 부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圖說孟子』, 『圖說國子監』, 『孔子廟建築制度硏究』 등 저서를 저술했고, 주요 연구로 「先秦儒家思想的核心價値」, 「孔子廟附享的歷史演變」, 「大數據時代下儒學的生存與發展」 등 20여 편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임려 (옮긴이)    정보 더보기
중국 노동대학교(魯東大學校) 한국어과 부교수
펼치기
장윤정 (옮긴이)    정보 더보기
북경대학교 철학과 박사과정 재학 중. 역서로 <중국 공자문묘 연구>(공역)가 있음.
펼치기
이향화 (옮긴이)    정보 더보기
중국 노동대학교(魯東大學校) 한국어과 강사
펼치기
왕위령 (옮긴이)    정보 더보기
산둥사범대학교(학사)와 대련외국어대학교(석사)를 졸업하고, 2019년 2월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2005년부터 루둥대학교 한국어학과 전임강사로 재직하고 있다. 연구분야는 한국현대문학과 한국어 교육이다. 주요 저서로 「동아시아의 아름다운 스승,공자」(공저), 「세계 공자사당 연구」(공저), 「여기는 산둥이다」, 「한국인에게 배우는 살아 있는 한국어」(공저), 「한국어능력시험 어휘속성」(공저), 「한국어능력시험 어휘공부(초중급)」(공저), 「한국어능력시험 어휘공부(고급)」(공저), 「주제별로 배우는 한국어 실용 회화」 등이 있다. 이외에 한국문학과 한국어 교수법에 관한 학술논문을 많이 발표하였다.
펼치기

책속에서

공자 사후 옛집이 곧장 묘우로 개조된 일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남송(南宋) 소흥(紹興) 갑인(甲寅)년(4년, 1134년)에 출판된 동가잡기(東家雜記)로, “노애공(魯哀公) 17년에 옛집에 묘우를 세우고 묘우를 지키는 가호(家戶)를 100호(百戶)나 설치하였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동가잡기는 공자의 17대손인 공전(孔傳)이 지은 책으로, 공자 집안의 첫 번째 지지(地誌)이다. 그 이후의 지지(地誌)들은 모두 그에 따라 공자문묘가 노애공 17년(B.C. 478)에 출현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 ‘제1편 제2장_ 공자문묘의 정초: 한대(漢代)’ 중에서


진(晉) 왕조는 궐리(闕里)의 공자문묘에 관심이 많았다. 태시(泰始) 3년(267)에는 노(魯)나라에 명하여 철마다 세 희생물을 갖추어 공자에게 제사 지내도록 하였다. 또한 공자의 종손을 봉성정후(奉聖亭侯)로 봉하여 제사를 주관하게 하고, 태녕(太寧) 3년(325)에는 조서(詔書)를 내려 봉성정후(奉聖亭侯) 공정(孔亭)에게 철마다 공자에게 제사할 수 있는 경비를 지급하였다. - ‘제1편 제3장_ 경사(京師) 공자문묘의 출현: 동진(東晉) 시대’ 중에서


만주족 귀족은 공자 사상의 중요성에 대해 잘 알고 있었다. 일찍이 명 만력(萬曆) 35년(1607)에 누르하치(努爾哈赤)는 청나라의 발상지인 허투알라성[赫圖阿拉城, 현 요녕성(遼寧省) 신빈(新賓)]에 공자문묘를 세웠고, 입관(入關) 전 성경(盛京)에도 공자문묘를 세웠다. 숭덕(崇德) 원년(1636)에는 이곳에 관리를 보내 공자에게 제사를 지냈고, 숭덕 5년에는 봄?가을 두 차례(음력 5월?8월) 석전례(釋奠禮)를 올렸으며, 입관 후에는 ‘숭성학(崇聖學)’을 전국을 다스리는 중요한 수단으로 삼았다. - ‘제1편 제9장_ 공자문묘의 전성기: 청대(淸代)’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