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도록
· ISBN : 9788963033105
· 쪽수 : 635쪽
· 출판일 : 2021-12-26
책 소개
목차
8 자료집을 펴내며 / 윤범모(국립현대미술관관장)
9 새로운 정신문화의 바탕으로서 생태미술 / 김준기(국립현대미술관학예연구실장)
11 아카이브 연구사: 한국 생태미술의 흐름과 현재—자연미술에서 생태미술에 이르기까지 / 유현주(생태미학예술연구소소장)
단체
27 야투
73 바깥미술
105 마감뉴스
137 소나무
163 리슨투더시티
187 동대문옥상낙원DRP
207 황새둥지
개인
229 강술생
247 강술생의 생태작업 / 양은희(스페이스 D 디렉터)
249 김보중
273 김보중의 회화: 생태, 숲의 순례자에서 흐르는 거주지까지 / 고충환(미술비평가)
275 김지수
293 식물과의 비언어적인 대화: 김지수의 생태예술 접근법 / 고동연(미술비평가)
295 배종헌
312 생태미학으로 다시 읽은 배종헌의 작업 / 이선영(미술평론가)
315 이경호
335 지구온난화에 대응해 예술가는 무엇을 할 것인가? / 이혜정(미술이론가)
337 임동식
363 놀기, 풀기, 닮기: 어딘가 먼저 당도해 있는 무언가·누군가에게 업실려
더부살이하는, 임동식의 희한 야릇한 삶과 예술 / 김학량(작가, 전시기획자, 동덕여대교원)
365정봉채
385 우포의 순수한 질서를 사진으로 담은 작가, 정봉채 / 허나영(미술비평가)
387 정익명
404 연소된 삶, ‘작품없는 예술(Kunst ohne Werk)’ / 백기영(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운영부장)
407 인터뷰: 정익명×생태미술
411 정재철
436 ‘지구에 대한 감각’을 일깨우는 생태예술가로서의 정재철 / 유현주(생태미학예술연구소소장)
439 홍이현숙
467 인간 너머의 예술과 윤리 / 윤민화(큐레이터)
전시·프로젝트
471 《지속가능한 도시—꽃Ⅰ-Ⅳ》
480 《화성에서 온 메시지》
489 《생태미술 2017—공존순환》
495 《과학예술 2017—카본프리》
506 《자연스럽게,》
516 《2019 서울포커스—두 번의 똑 같은 밤은 없다》
521 《디어 아마존: 인류세 2019》
532 《불의 기억; 자연, 인간, 생명의길》
538 《생태조감도》
545 〈DMZ 프로젝트〉
553 〈지리산프로젝트〉
560 《우포자연미술제》
비평
573 한국 생태미술의 지형도: 재난의 시대, 생태미술의 자기조직화 / 유현주(생태미학예술연구소 소장)
585 동시대 예술에서 한국 생태미술 읽기 / 김종길(미술평론가)
598 한국 생태미술의 위상과 전망: 최근 국내 생태미술 전시에 나타나는 생태 담론의 특이점 /박윤조(미술사학자)
612 약력
632 참고자료
635 자료를 제공해 주신 작가〮단체〮기관
저자소개
책속에서
유사 이래 유구한 예술의 역사에서 자연을 노래하고 생명의 가치에 찬사를 보낸 예술이 무수히 많았다. 그러나 자연과 인간을 이분화하고 대상화하는 자연 예찬의 예술만으로는 생태적 위기를 넘어서는 새로운 시대정신을 만들 수 없다. 예술은 존재하는 것에 대한 찬미에서부터 존재하지 않는 것에 대한 예지에 이르기까지 드넓은 스펙트럼을 가진 것이므로 인간과 생명, 자연과 우주에 대한 기존의 가치를 넘어서는 생태주의 관점의 예술 정신과 실천이 절실하다. 그것은 과학의 영역을 넘어서는 정신성 의제로 확장한다. 전근대시기까지는 물론 근대이후 동시대에 이르기까지도 인류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종교적 가치는 생명과 우주를 사유하는 생태적 정신성으로 진화하고 있다. 「새로운 정신문화의 바탕으로서 생태미술」, 김준기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실장)
국내 최초로 한국 생태미술의 아카이브 작업을 수행하였으나 여전히 숙제는 남아있다. ‘생태미술의 본질과 역할은어디에 있는가?’ 그것은 지속가능한 삶을 위해 자연을 지배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과 공존하고 나아가 인간중심의 세계관을 교정하며 지구를 돌보고자 하는 예술가들에게만 물어야할 질문은 아닐 것이다. 지구가 우주의 아름다운푸른별로 지속되길 바라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생각해 보아야 할 질문일터다. 이 아카이브 연구가 미래의 생태미술 연구자들에게 다소나마 밑거름이 되어 더 심도있는 후속 연구가 이어질 수 있다면, 이 연구에 땀방울을 흘린 연구단과 미술관에게 큰 기쁨이 될 것이다. 「아카이브 연구사: 한국 생태미술의 흐름과 현재- 자연미술에서 생태미술에 이르기까지」, 유현주(생태미학예술연구소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