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한국철학 일반
· ISBN : 9788963245126
· 쪽수 : 228쪽
· 출판일 : 2023-05-25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머리말: 동양학 어떻게 볼 것인가?
1장 한국 불교의 특징
1. 역사적 배경
2. 인도-티베트-중국-일본과의 교류: 보편성의 자각
3. 한국 불교의 사상경향
2장 현대에 이르는 사유(思惟)의 여러 특징
서론: 변모하는 한국
1. 인간 결합 중시
(1) 가족 중시
(2) 일반적인 인간관계
(3) 장례와 불교
2. 개인숭배 문제
3. 주술 신앙(呪術信仰)
4. 기개와 강한 의지
5. 현실적 적응성
6. 여러 사상의 대립과 유화
7. 합리적 사유 문제
(1) 합리적 사유의 현실성
(2) 한국 논리학의 한 측면: 유식무경비량(唯識無境比量)에 관해
8. 심미감(審美感) 문제
맺는말
부편 1 한국에 대한 일본의 사상적 기여
부편 2 일본에서 보존·발견된 한국의 불교 전적
결론 동양사상이란 무엇인가?
1. 동양인의 사유방법 일반: 제반 문화현상과 동양인의 사유방법
2. 동양사상의 보편성과 특수성
(1) 동양의 관념 및 그에 대한 종래의 비평
(2) 동양사상과 그 보편성
(3) 사유방법의 비교 연구와 철학
3. 사유방법의 차이에 대한 인식 근거와 실재 근거
부편 1 민족과 사유방법: 앞으로의 연구를 위해
1. 서언
2. 민족의 사유방법 연구의 의의
3. 민족의 사유방법에 대한 연구
4. 문화현상과 사유방법
5. 사유방법의 특징인 능산자
6. 맺는말
부편 2 동양인의 사유방법: 연구 진전 과정
1. 연구 착수와 공적 간행
2. 순쥬샤(春秋社)판 선집 간행
3. 영문 번역에 대한 경과
4. 결정판 선집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