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청동기시대 송국리형 문화의 전개와 취락 체계

청동기시대 송국리형 문화의 전개와 취락 체계

이종철 (지은이)
진인진
3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청동기시대 송국리형 문화의 전개와 취락 체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청동기시대 송국리형 문화의 전개와 취락 체계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민속/한국전통문화
· ISBN : 9788963472515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16-03-22

책 소개

한국 청동기시대의 주요한 지표인 송국리형 청동기 문화를 주제로 한 책으로, 오랜 기간 송국리형문화 연구에 천착해 온 이종철의 박사학위 논문을 보완한 것이다. 우리나라 중기 청동기 시대를 대표하는 송국리형문화를 이해하는 길잡이가 될 것이다.

목차

책을 내면서 7

제Ⅰ장 연구 목적과 방법 13
제1절 연구 목적 13
제2절 선행 연구 15
제3절 연구 방법 33

제Ⅱ장 청동기시대와 송국리형문화 41
제1절 청동기시대의 시기 구분과 문화 41
제2절 송국리형문화의 정의 58
1. 문화·유형·요소 58
2. 송국리형문화·송국리유형 62
제3절 송국리형문화의 취락 구분 65
1. 송국리형취락 65
2. 송국리형취락의 구분 73

제Ⅲ장 송국리형문화의 분포와 특징 92
제1절 금강 유역권 93
제2절 충남 서해안권 96
제3절 아산만 유역권 98
제4절 한강 유역권 및 강원 동해안권 101
제5절 영산강 유역권 102
제6절 전남 남해안권 104
제7절 섬진강 유역권 105
제8절 낙동강 유역권 108
제9절 제주도권 112
제10절 소결 114

제Ⅳ장 송국리형문화의 주요 요소 117
제1절 유구 117
1. 주거 117
2. 무덤 145
제2절 유물 157
1. 토기 157
2. 석기 170
3. 청동기 191

제Ⅴ장 송국리형문화의 기원과 편년 196
제1절 기원 196
1. 기원설과 배경 196
2. 송국리형문화의 출현 202
제2절 편년 208
1. 형성기 209
2. 발전기 210
3. 쇠퇴기 215
4. 소멸기 217

제Ⅵ장 송국리형문화의 경관과 취락의 구성 219
제1절 경관 219
1. 입지 219
2. 농경 223
제2절 취락의 구성 226
1. 주거영역 227
2. 생산영역 240
3. 매장영역 243
제3절 소결 252

제Ⅶ장 송국리형취락의 사회구조와 경제체제 256
제1절 사회구조 256
1. 주거와 위계 256
2. 무덤과 위계 263
제2절 경제체제 270
1. 생산 270
2. 소비 281
3. 유통 289
제3절 소결 298

제Ⅷ장 거점취락의 형성과 발전 301
제1절 거점취락의 분포와 특징 301
제2절 주요 거점취락 304
1. 부여 송국리 305
2. 진안 여의곡 319
3. 장흥 신풍·갈두 331
4. 진주 대평리 346
제3절 여타 거점취락 360
1. 보령 관창리·순천 대곡리·사천 이금동·대구 동천동 360
2. 취락 설계의 특징 363
제4절 미완성의 거점취락 365
1. 당진 자개리Ⅰ 취락 366
2. 서천 도삼리 취락 368
3. 나주 운곡동 취락 369
제5절 거점취락의 발전과 그 의미 373
1. 거점취락의 발전과 사회적 의미 373
2. 지역연계망의 발달 375
제6절 소결 378

제Ⅸ장 송국리형문화의 파급 382
제1절 문화 파급과 취락사회의 변화 382
1. 문화 파급의 양상 382
2. 전기 문화와의 문화접촉 386
3. 후기 문화와의 문화접촉 393
제2절 지역적 파급 양상 397
1. 주변 지역으로의 파급 398
2. 지역적 전개 양상 410
제3절 제주도와 일본으로의 파급 415
1. 제주도 415
2. 일본 421
제4절 송국리형취락의 궤적 432
제5절 소결 437

제Ⅹ장 연구 전망과 과제 441

저자소개

이종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고고인류학을 전공하고 영남대학교에서 문화인류학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을 마쳤다. 문화재연구소와 국립광주박물관 학예연구실장을 거쳐 1986년부터 1994년까지, 다시 1998년부터 2003년까지 국립민속박물관장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국립한국전통문화학교 총장으로 재직 중이다. 우리 민족 문화에 관한 글을 많이 썼고, 작품으로는 <서낭당> , <장승> 들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