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유럽사 > 동유럽사
· ISBN : 9788963474960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2-03-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5
1부 조지아의 역사와 종교문화 15
1장 조지아 역사 17
1. 조지아의 고대: 친서방 문화 전통과 공간 메타포 17
2. 조지아–아시아의 공간적 경계와 접변 26
3. 근대 시기의 조지아와 제정러시아 31
4. 1991년 독립 이후의 조지아–서방과 북방의 경계에서 37
2장 조지아 종교: 조지아 정교 및 조지아 이슬람 47
1. 조지아의 종교문화 개관 47
2. 조지아정교의 역사적 동학 53
3. 조지아 이슬람 및 자치공화국에서 무슬림의 역사적 정체성 63
2부 조지아 국내 정세 79
3장 조지아 국내 정치 81
1. 조지아 정치경제 현황 81
2. 조지아 국내 정치 전개 과정 87
3. 조지아의 주요 정치적 인물 127
4장 조지아 내정과 영토 통합성 143
1. 2008년 러시아–조지아 전쟁과 영토 통합성 이슈 143
2. 2008년 전쟁 이후 남오세티아–아브하지아 자치공화국 상황 147
3부 조지아 국제 관계 및 대외 정책 157
5장 조지아의 친서방 정책 전개 과정 159
1. 조지아–EU 관계 159
2. 조지아–나토 관계를 통해서 본 친서방 방향성 177
3. 조지아–우크라이나 국제관계 및 친서방 정책 186
6장 조지아–러시아 관계 193
1. 조지아–러시아 관계로 본 조지아의 친서방 외교전략 193
2. 2012년 이후 조지아 신정부와 러시아와의 관계 199
7장 GUAM과 조지아의 대외 정책: 미국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207
1. GUAM 창설과 전개 과정 207
2. GUAM의 친서방 전략: 미국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219
참고문헌 245
주 263
찾아보기 287
저자소개
책속에서
코카서스 국가 조지아 역사·종교·국내정치·국제관계
1990년대 중반 셰바르드나제가 대통령으로 재임하면서부터 조지아의 기본적인 대외정책의 방향성은 친서방 정책이었다. 사카쉬빌리 정부와 신정부에 들어와서도 조지아는 친서방 국가전략을 명확히 내세웠다. 조지아는 유럽?대서양으로의 통합을 꾸준히 추구했다. 현재 러시아와 조지아는 2008년 전쟁 이후 국교가 단절된 상태이다. 신정부도 러시아와의 관계를 개선하고자 했지만, 여전히 대외정책의 핵심은 친서방 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조지아의 미래 방향성은 명확하며, 상당한 기간 동안 일정한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그 결과가 EU가입, 혹은 나토가입으로 나타나든, 조지아는 친서방 스탠스를 계속 유지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