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유라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유라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신범식, 윤민우, 김규남, 최경준, 박정후, 강봉구, 이지은, 정세진 (지은이)
사회평론아카데미
2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0% 0원
810원
26,19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유라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유라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91167070708
· 쪽수 : 423쪽
· 출판일 : 2022-07-29

책 소개

중간국이 처한 구체적인 국제정치적 및 지역정치적 압력과 상황은 어떠하며 그것이 어떻게 국내정치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피는 한편, 국내정치의 동학이 어떻게 대외 전략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고, 이러한 동학을 유형화하여 설명한다.

목차

머리말

제1장(서장) 유라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비교연구: 개념, 이론, 설명틀의 모색

I. 머리말
II.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의 개념과 이론
III. 책의 구성


제1부 서부 유라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제2장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의 지역정치와 중간국 외교

I. 머리말
II. 중간국 외교의 결정요인과 동학: 이론적 분석의 틀
III.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의 외교정책과 주요 요인들: 국내적 수준의 요인들과 외교정책
IV.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의 외교정책과 주요 요인들: 대외적 수준의 요인들과 외교정책
V. 맺음말: 종합분석 및 함의점

제3장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대러시아 관계와 국내정치 동학의 연관성
I. 머리말: 지정학적 중간국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의 상이한 여정
II.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의 외교노선 변동
III.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의 상이한 외교노선의 원인과 결과
IV. 맺음말: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의 외교노선 비교와 정책적 함의

제4장 탈냉전기 폴란드와 헝가리의 중간국 외교
I. 머리말: 폴란드와 헝가리는 왜 중간국인가?
II. 외교정책 환경
III. 외교정책 분석
IV. 맺음말: 폴란드와 헝가리의 중간국 한계와 가능성

제5장 핀란드와 에스토니아의 중간국 외교: 국가 정체성과 대외정책
I. 서론
II. 중간국 외교의 개념과 분석틀
III. 핀란드의 중간국 외교
IV. 에스토니아의 중간국 외교
V. 중간국 외교의 특성과 결정요인
VI. 결론


제2부 중부 유라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제6장 몽골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경제·안보 연계 전략

I. 머리말
II. 몽골 외교정책 배경
III. 민주화 이후 외교정책
IV. 다자경제협력 프로젝트 참여
V. 맺음말

제7장 지정학적 중간국으로서 우즈베키스탄의 대외전략: 헤징의 시각
I. 머리말
II. 안보 위협 부재 상황에서 ‘ 전략적 헤징’의 개념
III. 카리모프 시대의 ‘자립’ 노선과 헤징
IV. 미르지요예프 정부의 새로운 접근방법과 헤징(2017~ )
V. 맺음말

제8장 중간국 카자흐스탄의 외교정책
I. 들어가며
II. 카자흐스탄 외교정책에서의 대내외적 요인
III. 카자흐스탄 외교정책: 정부별 핵심 개념과 주요 특징
IV. 나가며: 카자흐스탄 중간국 외교

제9장 조지아 대외정책의 방향성: 조지아의 對EU, 러시아 관계 및 나토 가입 이슈를 중심으로
I. 머리말
II. 독립 이후 조지아 대외정책의 변동과 그 지향성
III. 조지아 대외정책의 친서방 지향성: 대EU 관계
IV. 조지아와 나토: 조지아의 나토 가입, 그 실행과 변수 요인
V. 조지아-러시아 관계, 그리고 조지아 대외정책의 성격
VI. 결론


찾아보기

저자소개

강봉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교수 러시아학술원 ‘세계경제/국제관계연구원(IMEMO, RAS, Moscow)’ 정치학 박사 2022, “첨예화하는 미중 가치 갈등과 러시아의 전략 입지.” 『중소연구』 2021, “남북한 연성통합의 딜레마와 한러협력의 기회·공간.” 『대한정치학회보』 2021, “지정학적 중간국 우즈베키스탄의 대외전략: 전략적 헤징의 시각.” 『러시아연구』 2020, “Understanding the Ukrainian conflict from the perspective of post-Soviet Decolonization.” Region 2019,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균열과 러시아의 주권적 국제주의.” 『슬라브연구』
펼치기
신범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러시아 국립모스크바국제관계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주요 논저로, 『국제 안보환경의 도전과 한반도』, 『유라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러시아의 사이버안보』(2021), 『북・중・러 접경지대를 둘러싼 소지역주의 전략과 초국경이동』, 『21세기 유라시아 도전과 국제관계』, “Russia’s Perspectives on International Politics, A Comparison of Liberalist, Realist and Geopolitical Paradigms” 등이 있다.
펼치기
신범식의 다른 책 >
정세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러시아 및 유라시아 역사, 종교문화사 연구자.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쳤다. 1989~1996년까지 한국경제신문사 기자로 근무하였다. 모스크바국립대학교에서 『19세기 전반기 북카프카스의 카프카스 전쟁과 이슬람 요소 연구』로 역사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2005). 한국외국어대, 연세대, 한동대에서 강의하였고, 2008년부터 현재까지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단독 저서로 『중앙아시아 민족정체성과 이슬람』, 『러시아 이슬람: 역사, 전쟁, 이념』, 『코카서스 국가 조지아: 역사 · 종교 · 국내정치 · 국제관계』, 『중앙아시아 국가 타지키스탄: 일반 개관 · 이슬람 · 국내정치 · 국제관계』 등 6권이 있으며 『유라시아 지역의 국가 민족 정체성』 등 23권의 공동 저서를 집필하였고 『알타이 역사: 고대, 중세』를 단독 번역했다. 러시아 역사, 러시아 지역학 및 중앙아시아, 카프카스 역사와 지역학 관련, 국내외 저널에 90여 편의 논문을 게재하였다.
펼치기
최경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미국 워싱턴대학교(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정치학 박사 2020, “핀란드와 에스토니아의 중간국 외교: 국가 정체성과 안보·경제 정책.” 『유럽연구』 2019, “Democratic Constitutions Against Democratization: Law and Administrative Reforms in Weimar Germany and Implications for New Democracies.”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2018, 『법집행의 정치: 신생민주주의 국가의 법집행과 공권력의 변화』 (서울: 도서출판 이조)
펼치기
최경준의 다른 책 >
윤민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가천대학교 경찰안보학과 교수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인디애나 주립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 샘 휴스턴 주립대학교 형사사법대학에서 범죄학 박사를 그리고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표 저서로는 『폭력의 시대 국가안보의 실존적 변화와 테러리즘』(2017), 『모든전쟁: 인지전, 정보전, 사이버전, 그리고 미래전쟁에 대한 전략이야기』(2023), “Cyber cognitive warfare as an emerging new war domain and its strategies and tactics: Cases of Russia Ukraine war and violent extremism”(2022) 등이 있다.
펼치기
박정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객원연구원 몽골국립대학교(National University of Mongolia) 정치학 박사 2020, 『신북방시대 한국·몽골 미래협력의 비전』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 『뉴노멀 시대, 아시아의 뉴데모크라시』 (서울: 성균관대학교출판부)
펼치기
김규남 (지은이)    정보 더보기
바르샤바국립대학교 국제관계연구원 연구박사 바르샤바국립대학교 정치학 박사 2022, “폴란드와 한국 관계–양국 정부기록문서 분석을 중심으로.” 『유럽연구』 2021, “체제속성에 따른 폴란드와 북한 관계–폴란드 외교문서 분석을 중심으로.” 『EU연구』 2018, Stosunki Polski z Państwami Połwyspu Koreańskiego (Warszawa: Instytut Nauki o Polityce)
펼치기
이지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앙아시아학과 부교수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국립동방학대학교 정치학 박사 2021, “리더십 교체 이후 카자흐스탄 대외정책.” 『한국아시아학회』 2021, “카자흐스탄 전방위 외교와 다자주의.” 『슬라브연구』 2020, ”에르도안 집권기 터키 대외정책의 유라시아 지향성 강화.” 『슬라브 연구』 2019, “우즈베키스탄 새로운 리더십과 변화, 그리고 권위주의 향방.” 『한국중동학회논총』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