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91167070708
· 쪽수 : 423쪽
· 출판일 : 2022-07-29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서장) 유라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비교연구: 개념, 이론, 설명틀의 모색
I. 머리말
II.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의 개념과 이론
III. 책의 구성
제1부 서부 유라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제2장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의 지역정치와 중간국 외교
I. 머리말
II. 중간국 외교의 결정요인과 동학: 이론적 분석의 틀
III.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의 외교정책과 주요 요인들: 국내적 수준의 요인들과 외교정책
IV.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의 외교정책과 주요 요인들: 대외적 수준의 요인들과 외교정책
V. 맺음말: 종합분석 및 함의점
제3장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대러시아 관계와 국내정치 동학의 연관성
I. 머리말: 지정학적 중간국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의 상이한 여정
II.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의 외교노선 변동
III.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의 상이한 외교노선의 원인과 결과
IV. 맺음말: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의 외교노선 비교와 정책적 함의
제4장 탈냉전기 폴란드와 헝가리의 중간국 외교
I. 머리말: 폴란드와 헝가리는 왜 중간국인가?
II. 외교정책 환경
III. 외교정책 분석
IV. 맺음말: 폴란드와 헝가리의 중간국 한계와 가능성
제5장 핀란드와 에스토니아의 중간국 외교: 국가 정체성과 대외정책
I. 서론
II. 중간국 외교의 개념과 분석틀
III. 핀란드의 중간국 외교
IV. 에스토니아의 중간국 외교
V. 중간국 외교의 특성과 결정요인
VI. 결론
제2부 중부 유라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제6장 몽골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경제·안보 연계 전략
I. 머리말
II. 몽골 외교정책 배경
III. 민주화 이후 외교정책
IV. 다자경제협력 프로젝트 참여
V. 맺음말
제7장 지정학적 중간국으로서 우즈베키스탄의 대외전략: 헤징의 시각
I. 머리말
II. 안보 위협 부재 상황에서 ‘ 전략적 헤징’의 개념
III. 카리모프 시대의 ‘자립’ 노선과 헤징
IV. 미르지요예프 정부의 새로운 접근방법과 헤징(2017~ )
V. 맺음말
제8장 중간국 카자흐스탄의 외교정책
I. 들어가며
II. 카자흐스탄 외교정책에서의 대내외적 요인
III. 카자흐스탄 외교정책: 정부별 핵심 개념과 주요 특징
IV. 나가며: 카자흐스탄 중간국 외교
제9장 조지아 대외정책의 방향성: 조지아의 對EU, 러시아 관계 및 나토 가입 이슈를 중심으로
I. 머리말
II. 독립 이후 조지아 대외정책의 변동과 그 지향성
III. 조지아 대외정책의 친서방 지향성: 대EU 관계
IV. 조지아와 나토: 조지아의 나토 가입, 그 실행과 변수 요인
V. 조지아-러시아 관계, 그리고 조지아 대외정책의 성격
VI. 결론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