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최초의 인간과 그 이후의 문화

최초의 인간과 그 이후의 문화 (천줄읽기)

아르놀트 겔렌 (지은이), 박만준 (옮긴이)
지만지(지식을만드는지식)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최초의 인간과 그 이후의 문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최초의 인간과 그 이후의 문화 (천줄읽기)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류학/고고학 > 인류학
· ISBN : 9788964066027
· 쪽수 : 162쪽
· 출판일 : 2011-11-30

책 소개

아르놀트 겔렌의 ≪최초의 인간과 그 이후의 문화: 철학적 성과와 진술(Urmensch und Sp?tkultur: Philoso phische Ergebnisse und Aussagen)≫ 의 주요 내용을 발췌하여 번역한 것이다. ≪최초의 인간과 그 이후의 문화≫는 겔렌의 대표적인 저작일 뿐 아니라, 현대철학에서 빼놓을 수 없는 문화 이론서이자 기술 인간학과 연관된 주요 문헌으로 평가되고 있다.

목차

해설 ·······················7
지은이에 대해 ··················20

1. 서론 ·····················25
2. 도구 ·····················31
3. 실험적 행위 ··················35
4. 초월성 ····················39
5. 습관과 습관이 이루어지는 외적 토대 ·······49
6. 행위 ·····················57
7. 자기 목적으로서의 행위 ·············66
8. 분업, 제도 ···················73
9. 제도와 그 내면에 미치는 영향 ··········80
10. 제도를 통한 인간의 내면적 안정화 ·······87
11. 상호성 ····················91
12. 배경적 충족 ·················97
13. 연출을 통한 외적 세계의 안정화 ········105
14. 제도의 의무 내용 ···············109
15. 충동의 사물화 ················112
16. 내적 규범의 생산성 ··············118
17. 욕구의 방향 설정 ···············123
18. 안정화된 긴장 ················129
19. 문화적 조건의 자명성 ·············141
20. 정신적인 것 ·················143
21. 창조적 생산성 ················147
22. 자연, 사실적 외부 세계 ············149
23. 사실적 내면세계, 주체성 ···········155
24. 고대의 낯선 모습 ···············159

옮긴이에 대해 ···············

저자소개

아르놀트 겔렌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04년 독일 동부의 라이프치히에서 태어났다. 라이프치히대학에서 유기적 철학을 주장한 한스 드리슈(Hans Driesch)의 지도 아래 1927년에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1930년에는 〈실제적인 정신과 비실제적인 정신(Wirklicher und Unwirklicher Geist)〉이라는 논문으로 교수 자격시험에 합격했다. 1933년에 프랑크푸르트대학교 정교수가 되었고, 이듬해에 라이프치히대학교로 돌아와 드리슈가 정년퇴임한 자리를 이어받았다. 그러나 2차 세계대전 중 나치에 대한 참여와 동조로 전후에 재판을 받았고, 아헨공과대학에서 정년퇴임했다. 겔렌의 주요 관심 분야는 철학적 인간학이고, 이에 대한 그의 기본적인 입장은 ‘인간 생물학’이다. 주요 저서로는 《국가와 철학(Der Staat und die Philosophie)》(1935), 《인간, 그 본성과 세계에서의 위치(Der Mensch, seine Natur und seine Stellung in der Welt)》(1940), 《원형적 인간과 후기 문화(Urmensch und Spatkultur)》(1956), 《인간학적 탐구(Anthropologische Forschung)》(1961) 등이 있다.
펼치기
박만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동의대학교 철학상담심리학과 명예교수다. 부산대학교 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하고 “욕망과 자유의 변증법”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부산환경운동연합을 비롯해 여러 환경단체의 상임대표를 지냈고 지금도 활동하고 있으며, 국회 환경포럼 전문위원, 부산시 환경정책 자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생물학적 인간, 생태학적 인간에 대한 관심을 평생의 과제로 삼고 있다. 저서는 <철학>(공저), <욕망과 자유>, <상생의 철학>(공저), <인성론>(공저), <성의 진화와 인간의 성문화>, <사회생물학 인간의 본성을 말하다>(공저), <21세기 다윈혁명>(공저), <마음학: 과학적 설명과 철학적 성찰>(공저), <고전의 반역>(공저), <레이먼드 윌리엄스>, <철학의 향기와 역사 이야기>(공저), <청춘의 책탑>(공저), <인문학의 길 찾기>(공저), 『신경미학, 뇌와 아름다움의 진화』 등이 있다. 역서는 <마르틴 하이데거>(존 맥쿼리), <엄밀한 학으로서의 철학>(E. 후설), <그리스인의 이상과 현실>(G. L. 디킨슨, 공역), <헤겔 철학개념과 정신현상학>(N. 하르트만), <의식과 신체>(P. S. 모리스), <마르크스주의와 생태학>(라이너 그룬트만), <하버마스의 사회사상>(미첼 퓨지, 공역), <헤겔의 변증법>(N. 하르트만), <논리학 입문 14판>(어빙 코피), <대중문화와 문화이론(8판)>(존 스토리), <문화연구의 이론과 방법들>(존 스토리), <대중문화의 이해>(존 피스크), <마르크스주의와 문학>(레이먼드 윌리엄즈), <영화의 이해(13판)>(루이스 자네티), <최초의 인간과 그 이후의 문화>(A. 겔렌), <신경과학의 철학>(M. 베넷 외), <대중과 대중문화>(존 피스크)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Der moderne Kulturinteressent findet, in den Schacht der Vergangenheit hinabsteigend, schließlich nur seinem eigenen Schatten. In diesem Sinne sind uns die Großwildj?ger der Eiszeit mit ihren H?hlenbildern sozusagen als Vorl?ufer Picassos vorgestellt worden.

오늘날 문화에 관심을 기울이는 사람들은 과거라는 시간의 동굴 속으로 침잠해 들어간다. 결국 그들이 발견하는 것은 다름 아닌 그들 자신의 그림자뿐이다. 이런 의미에서 본다면, 동굴 벽화를 그렸던 빙하기의 거대한 수렵인들은 마치 피카소의 선배들처럼 우리들 앞에 등장하게 되는 셈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