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지리학/지정학 > 지리학
· ISBN : 9788964357187
· 쪽수 : 516쪽
· 출판일 : 2014-04-07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사랑하는 마음으로 국토 바라보기 | 권용우 4
제1부 국토관리의 지리학
1 생활국토시대 | 권용우 11
2 세계 속의 우리 국토 | 박양호 29
3 국토와 해안관리 | 유근배 49
제2부 도시와 환경
4 우리나라 도시환경의 역사 | 변병설·정경연 77
5 그린벨트 | 박지희 107
6 교외지역 | 김광익 133
7 마을 만들기 | 이재준 153
8 공공 공간과 경관 | 김세용 181
9 뉴어바니즘 | 이자원 207
10 도시와 경제 | 이원호 229
11 세계도시와 국토 개편 | 유환종 251
제3부 국토와 미래
12 국토개발과 재정의 역할 | 김형태 283
13 지속가능 지역경제발전과 지방재정 | 우명동 309
14 국토와 교통 | 황상규 341
15 국가지리정보체계 | 황철수 369
16 원격탐사위성을 이용한 국토관리 | 구자용 393
17 국토와 경영 | 오세열 413
18 국가 안의 법문화 | 조준현 437
19 메가트렌드와 국토의 미래 | 이용우 465
찾아보기 500
저자 약력 510
저자소개
책속에서
땅은 접근하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통해 부단히 자기의 정체성(identity)을 변화시킨다. 이렇게 볼 때 오늘날 땅을 보는 부류는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 듯하다. 하나는 땅을 돈의 대상으로 보아 무차별적으로 개발해 황금을 챙기는 부류다. 다른 하나는 땅을 사랑의 대상으로 보아 여러 처지를 세심히 살펴가면서 땅을 지속 가능하게 관리하는 부류다. 땅에서 감동을 찾는 경우는 어느 것일까? 당연히 후자의 품격을 일컬음이리라. 진정으로 국토를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땅은 감동을 찾으려는 끈질긴 집념과 힘찬 생명력을 요구한다. 뜨거운 활력으로 땅에 관한 여러 패러다임을 때로는 만들고, 때로는 발전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땅에 대한 사랑, 이것은 땅에서 감동을 찾으려는 사람들이 지녀야 할 덕목의 전부다.
생활국토정책의 목표는 분명하다. 그것은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이 국토정책의 내용과 효과를 고스란히 피부로 느껴 삶의 질(quality of life)을 누릴 수 있도록 국토정책을 만드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국토정책은 대체로 2000년을 전후하여 성격을 달리하는 측면이 있다. 1960년부터 2000년까지 국토정책은 하향식 개발과 불균형 성장의 논리 아래 건설과 개발을 중시했다. 그러나 2000년 이후 성장의 열매가 국민 모두에게 골고루 돌아가게 하는 균형과 생활국토 등이 화두로 떠올랐다.
뉴어바니즘은 전통적 어바니즘의 사고에 현재의 환경적 필요에 근거하여 보전(conservation)과 지역주의(regionalism)의 두 가지 가치를 더한다. 뉴어바니즘의 핵심은 시간적으로 역사와 전통을 지향하고, 공간적으로 자연환경과의 맥락적인 연결을 추구하며, 혼합용도의 도시설계와 소규모 커뮤니티 계획을 중심으로 주민참여와 의사교류를 통해 도시를 계획한다는 점이다. 또한 절충적이고 대중적인 도시공간을 창출하기 위해 커뮤니티의 공공성을 중시하되 도시 미적 측면을 강조하여 장소성과 지역적 특성을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