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우리 국토 좋은 국토

우리 국토 좋은 국토

(국토관리의 패러다임)

권용우, 우명동, 변병설, 박양호, 조준현, 오세열, 황상규, 유근배 (지은이)
사회평론
3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4,000원 -0% 0원
340원
33,6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우리 국토 좋은 국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우리 국토 좋은 국토 (국토관리의 패러다임)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지리학/지정학 > 지리학
· ISBN : 9788964357187
· 쪽수 : 516쪽
· 출판일 : 2014-04-07

책 소개

지리학과 인접 분야의 각계 전문가 스무 명이 모여 새로운 국토관리의 비전을 제시한다. 시민 참여로 이루어지는 생활국토시대를 준비할 수 있도록, 내실 있고 방대한 이론과 데이터, 최신 정책 사례를 제공한다.

목차

머리말 사랑하는 마음으로 국토 바라보기 | 권용우 4

제1부 국토관리의 지리학
1 생활국토시대 | 권용우 11
2 세계 속의 우리 국토 | 박양호 29
3 국토와 해안관리 | 유근배 49

제2부 도시와 환경

4 우리나라 도시환경의 역사 | 변병설·정경연 77
5 그린벨트 | 박지희 107
6 교외지역 | 김광익 133
7 마을 만들기 | 이재준 153
8 공공 공간과 경관 | 김세용 181
9 뉴어바니즘 | 이자원 207
10 도시와 경제 | 이원호 229
11 세계도시와 국토 개편 | 유환종 251

제3부 국토와 미래

12 국토개발과 재정의 역할 | 김형태 283
13 지속가능 지역경제발전과 지방재정 | 우명동 309
14 국토와 교통 | 황상규 341
15 국가지리정보체계 | 황철수 369
16 원격탐사위성을 이용한 국토관리 | 구자용 393
17 국토와 경영 | 오세열 413
18 국가 안의 법문화 | 조준현 437
19 메가트렌드와 국토의 미래 | 이용우 465

찾아보기 500
저자 약력 510

저자소개

유근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대학원을 거쳐 미국 조지아대학교에서 지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사 회과학대학 부학장,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장, IGU 한국위원회 사무총장, 한국 GIS학회 회장, 국토지리학회 회장, 환경부 중앙환경정책위원회 위원,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재난재해지원과학기술지원 특별위원회 위원, 국토해양부 국가공간정보위원회 위원, 측량 및 수로조사분과 위원장,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전문위원, 연안공간학회장 등을 지냈다. 『위성영상을 이용한 북한지역의 해안습지 연구』, 『한국 서해안의 해안사구: 지형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의 하구역: 하구둑 건설 이후의 지형변화』 외 다수의 논저가 있다.
펼치기
권용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 중․고등학교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지리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도시지리학) 미국 Minnesota대학교/Wisconsin대학교 객원교수 성신여자대학교 사회대 지리학과 교수/명예교수(현재) 성신여자대학교 총장권한대행/대학평의원회 의장 대한지리학회/국토지리학회/한국도시지리학회 회장 국토해양부 · 환경부 국토환경관리정책조정위원회 위원장 대한민국 저탄소 녹색도시 추진위원회 위원장 국토교통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위원/부위원장 국토교통부 갈등관리심의위원회 위원장 신행정수도 후보지 입지평가위원회 위원장 세종시 도시명칭제정심의소위원회 위원장 국무총리 산하 경제 · 인문사회연구회 이사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도시개혁센터 대표/고문 그린벨트 살리기 국민행동 정책위원장 「세계도시 바로 알기」YouTube 강의교수(현재) 『교외지역』(2001) 『수도권공간연구』(2002) 『그린벨트』(2013, 2024) 『도시의 이해』(1998, 2002, 2009, 2012, 2016, 전 5판), 『도시와 환경』(2015) 『세계도시 바로 알기 1, 2, 3, 4, 5, 6, 7, 8, 9』(2021, 2022, 2023, 2024) 등 저서(공저 포함) 82권/학술논문 152편/연구보고서 55권/기고문 800여 편
펼치기
우명동 (지은이)    정보 더보기
ㆍ 고려대학교 경제학박사(재정학) ㆍ (현) 성신여자대학교 명예교수 대표실적 ㆍ 『재정연방주의와 정부 간 재정관계』, 성신여자대학교출판부, 2019. ㆍ “포용적 성장과 지방재정: 사회의 지속가능성과 정부 간 재정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재정논집, 24(1), 2019. ㆍ “제4차 산업혁명과 공공부문의 역할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중심으로-”, 재정정책논집, 20(1), 2018.
펼치기
변병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University of Pennsylvania) 대학원 도시계획학 박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도시계획학 석사 •현) 인하대학교 도시계획과 교수 대한민국 건강도시 학술위원회 위원장 도시건강학회 부회장 인천광역시 도시계획위원회 위원 •전) 환경부 그린시티 총괄책임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생태도시위원회 위원장 한국환경정책학회 회장 대통령자문기구 국가지속가능발전위원회 정책위원 국무총리실 산하 신발전위원회 위원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도시계획위원회 위원 •저서) 『도시계획론』, 『환경정책론』 외 다수
펼치기
박양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토연구원장을 역임하고 현재는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객원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지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도시계획학 석사, 미국 UC. Berkeley에서 도시 및 지역계획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유비쿼터스 도시위원회 위원, 아시아태평양개발기구(EAROPH) 회장, 창원시정연구원 초대원장, 한국지역학회 회장, 홍익대 스마트도시과학경영대학원 교수 등을 역임했다. 『도시와 환경』, “스마트도시와 스마트환경” 등 다수의 저서와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조준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신여자대학교 법학과 교수
펼치기
오세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성신여대 경영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 명예교수로 있다. 미국 미드웨스트대학원에서 신학을 전공하고 M.Div.와 D.Min학위(목회학 박사)를 취득했다. 또한 리더십으로 Ph.D 학위를 취득하고 동 대학원에서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 『혁신과 창의성』, 『경영과 리더십』, 『경영과 삶』, 『성경과 역사와 문학을 아는 그리스도인: 성경과 인문학의 만남』, 『믿음을 탄탄하게 만들라』 등이 있다.
펼치기
황상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교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펼치기

책속에서

땅은 접근하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통해 부단히 자기의 정체성(identity)을 변화시킨다. 이렇게 볼 때 오늘날 땅을 보는 부류는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 듯하다. 하나는 땅을 돈의 대상으로 보아 무차별적으로 개발해 황금을 챙기는 부류다. 다른 하나는 땅을 사랑의 대상으로 보아 여러 처지를 세심히 살펴가면서 땅을 지속 가능하게 관리하는 부류다. 땅에서 감동을 찾는 경우는 어느 것일까? 당연히 후자의 품격을 일컬음이리라. 진정으로 국토를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땅은 감동을 찾으려는 끈질긴 집념과 힘찬 생명력을 요구한다. 뜨거운 활력으로 땅에 관한 여러 패러다임을 때로는 만들고, 때로는 발전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땅에 대한 사랑, 이것은 땅에서 감동을 찾으려는 사람들이 지녀야 할 덕목의 전부다.


생활국토정책의 목표는 분명하다. 그것은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이 국토정책의 내용과 효과를 고스란히 피부로 느껴 삶의 질(quality of life)을 누릴 수 있도록 국토정책을 만드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국토정책은 대체로 2000년을 전후하여 성격을 달리하는 측면이 있다. 1960년부터 2000년까지 국토정책은 하향식 개발과 불균형 성장의 논리 아래 건설과 개발을 중시했다. 그러나 2000년 이후 성장의 열매가 국민 모두에게 골고루 돌아가게 하는 균형과 생활국토 등이 화두로 떠올랐다.


뉴어바니즘은 전통적 어바니즘의 사고에 현재의 환경적 필요에 근거하여 보전(conservation)과 지역주의(regionalism)의 두 가지 가치를 더한다. 뉴어바니즘의 핵심은 시간적으로 역사와 전통을 지향하고, 공간적으로 자연환경과의 맥락적인 연결을 추구하며, 혼합용도의 도시설계와 소규모 커뮤니티 계획을 중심으로 주민참여와 의사교류를 통해 도시를 계획한다는 점이다. 또한 절충적이고 대중적인 도시공간을 창출하기 위해 커뮤니티의 공공성을 중시하되 도시 미적 측면을 강조하여 장소성과 지역적 특성을 강조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