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사상가/인문학자
· ISBN : 9788964450567
· 쪽수 : 1008쪽
· 출판일 : 2012-10-08
책 소개
목차
서문 13
논의를 시작하며 ― 왜 하필 막스 베버인가 51
제1장 막스 베버는 어떤 지식인인가
1. 머리말 57
2. 통합과학적 지식인 58
3. 논쟁적 지식인 72
4. 탈상아탑주의적 지식인 86
5. 교육자로서의 막스 베버 95
6. 편집자로서의 막스 베버 98
7. 거대한 지적 채석장 『막스 베버 전집』 105
8. 맺음말 117
<부록> 막스 베버의 강의 목록 118
제2장 역사적 연구 ― 고대사회에 대한 저작을 중심으로
1. 머리말 123
2. 왜 베버는 역사적 인식에 관심을 갖게 되었는가 125
3. 접근 방법 141
4. 베버의 자본주의 이론과 고대의 자본주의 151
5. 로마 문화의 사회경제사 166
6. 고대 도시와 중세 도시의 비교 연구 180
7. 근대에 대한 문화의의는 중세에 한정된 것이 아니다 186
8. 맺음말 190
제3장 경험적 사회조사 연구 ― 독일 농업노동자에 대한 저작을 중심으로
1. 머리말 195
2. 경험 연구가 막스 베버 197
3. 법학자가 경제학적 연구를? 206
4. 농업 노동자 연구의 역사적사회적 배경 211
5. 앙케트의 성립 과정, 구조와 내용 그리고 문제점 214
6. 봉건주의에서 자본주의로 221
7. 경험적 사회조사 연구의 실천적 함의 240
<보론> 산업 노동의 정신물리학적 연구 248
8. 맺음말 263
제4장 문과과학과 사회과학 1 ― 역사적 발전 과정
1. 머리말 267
2. 법학에서 경제학으로 269
3. 베버의 정치사상 ― 구조에서 행위로 289
4. 이론경제학과 역사경제학의 창조적 종합 304
5. 경제학에서 문화과학으로 ― 칸트, 리케르트, 짐멜, 후설 그리고 베버 339
6. 맺음말 361
제5장 문화과학과 사회과학 2 ― 논리적 기본 구조
1. 머리말 367
2. 문화의의, 문화문제 그리고 문화과학 및 사회과학 367
3. 현실과학과 법칙과학 382
4. 행위ㆍ질서ㆍ문화 387
5. 인간학 ― 문화과학의 선험적 전제 조건 412
6. 맺음말 423
제6장 방법론
1. 머리말 427
2. 베버의 방법론과 그 인식론적 배경 428
3. 가치 연관과 가치 자유 ― 과학적 인식의 주관성과 객관성 446
4. 이해와 설명 466
5. 이념형 494
6. 비교 연구 517
7. 이론과 실천의 관계 534
7. 맺음말 548
<부록> 예술과 사진을 통해서 본 근대정신의 원리 550
제7장 베버와 마르크스
1. 머리말 557
2. 베버의 탈마르크스화를 위하여 558
3. 반-반유물론자 막스 베버 564
4. 형이상학이나 세계관으로서의 유물론을 배격하라 572
5. 마르크스 방법론에 대한 베버의 입장 581
6. 베버의 자본주의 이론과 사회주의 이론 587
7. 마르크스와 베버의 통합은 가능한가 624
<보론> 니체와 베버 629
8. 맺음말 647
제8장 근대 세계의 발전 논리와 구조 원리
1. 머리말 653
2. 합리화, 합리성, 합리주의 654
3. 세계의 탈주술화 667
4. 직업과 인격 685
5. 행위와 체념 ― 괴테와 베버 696
6. 가치다신주의 715
7. 개인적 자유와 사회적 강제 725
8. 맺음말 749
제9장 사회학의 문제 1 ― 역사적 발전 과정
1. 머리말 755
2. 사회학을 찾아서, 사회학 그 이상을 위하여 757
3. 사회경제적인 것에서 사회적인 것으로 759
4. 사회(과)학 비판이 갖는 의미 762
5. 이해사회학 기본 개념의 형성 과정 780
6. 맺음말 803
<부록 1> 「이해사회학의 몇 가지 범주에 대하여」 805
<부록 2> 「사회학의 기본 개념」 807
제10장 사회학의 문제 2 ― 논리적 기본 구조
1. 머리말 815
2. 의미, 행위, 사회적 행위 ― 이해사회학의 기본적 구성 요소 815
3. 행위 이론과 질서 이론 그리고 조직 이론 836
4. 사회 없는 사회학 844
5. 문화의 사회학적 보편사를 위하여 853
6. 맺음말 882
논의를 마치면서 ― 다음 연구를 스케치하며
1. 베버냐 루만이냐 885
2. 막스 베버와 한국 사회 896
참고 문헌 901
인용 문헌 965
찾아보기 980
결론 216
옮긴이의 말 : 다시 마르크스에서 출발하는 길 218
찾아보기 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