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6일간의 세계 창조에 대한 강연

6일간의 세계 창조에 대한 강연

보나벤투라 (지은이), 박주영 (옮긴이)
길(도서출판)
4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0,500원 -10% 0원
2,250원
38,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6일간의 세계 창조에 대한 강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6일간의 세계 창조에 대한 강연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서양철학 일반
· ISBN : 9788964452141
· 쪽수 : 888쪽
· 출판일 : 2019-07-15

책 소개

코기토총서-세계사상의 고전 41권. 6일간 이루어진 하느님의 창조 작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강연집이다. 이 강연은 4일 동안의 창조 작업에서, 그나마도 미진하게 끝나고 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강연집은 보나벤투라의 사유 세계와 사상 전반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텍스트이다.

목차

해제 --- 9

강연 1 --- 45
하느님의 말씀을 듣는 이들에게 요구되는 품성과 모든 학문의 중심인 그리스도에 대한 강연

강연 2 --- 91
지혜의 문과 모습에 대한 강연(강연이 종결되어야 하는 곳인 지혜의 충만함에 대한 강연)

강연 3 --- 139
창조되지 않고 강생했으며 영을 받은 말씀의 인식에 의한 직관의 열쇠인 통찰의 충만함에 대한 강연

강연 4 --- 185
자연적으로 주어진 통찰에 대한 강연(첫째 날의 봄에 대한 첫 번째 강연)

강연 5 --- 217
세 번째 광선 또는 도덕의 진리와 직관의 지혜에 대한 강연(첫째 날의 봄에 대한 두 번째 강연)

강연 6 --- 263
덕의 범형적인 첫 번째 원인에 대한, 범형적인 덕과 이 덕에서 흘러나오는 추덕에 대한 강연(첫째 날의 봄에 대한 세 번째 강연)

강연 7 --- 291
철학자들의 덕의 세 가지 결함과 그것을 치유하고, 교정하고, 질서짓는 믿음에 대한 강연(첫째 날의 봄에 대한 네 번째 강연)

강연 8 --- 317
믿음의 숭고함에 대한 강연(둘째 날의 봄에 관한 믿음에 의해 들어올려진 통찰에 대한 첫 번째 강연)

강연 9 --- 343
믿음의 세 가지 확고함에 대한 강연(둘째 날의 봄에 대한 두 번째 강연)

강연 10 --- 377
믿음의 고귀함에 대한 서술의 시작에 대한 강연(둘째 날의 봄에 대한 세 번째 강연)

강연 11 --- 395
믿음의 고귀함에 대한, 삼위일체 하느님 상의 방식의 서술에 대한 두 번째 강연(둘째 날의 봄에 대한 네 번째 강연)

강연 12 --- 431
믿음의 아름다움에 대한 세 번째 논의와 모든 사물의 범형인 하느님에 관한 논의에 대한 강연(둘째 날의 봄에 대한 다섯 번째 강연)

강연 13 --- 451
영적인 통찰을 통해 성경을 다루는 논의에 대한 강연(성경에 의해 형성된 통찰인 세 번째 봄에 대한 첫 번째 강연)

강연 14 --- 487
성경의 성사적인 형상에 관해 종적으로 서술하고 그다음 그리스도를 의미하는 중요한 열두 신비에 대한 강연(셋째 날의 봄에 대한 두 번째 강연)

강연 15 --- 527
계속해서 앞서는 것에서 첫째, 열두 개의 본래적인 신비에서 적그리스도가 드러나는 방식과 둘째, 씨앗과 성경의 결실에서 발아된 무한한 천상에 관한 직관에 대한 강연(셋째 날의 봄에 대한 세 번째 강연)

강연 16 --- 559
시간들이 서로 상응하는 한 시간들의 적합한 결합에 있는 결실의 근거에서 성경에서 나온 명상에 대한 연속 강연. 세 가지 시간의 상응에 따른 개별적인 일곱 비교에 대한 강연(셋째 날의 봄에 대한 네 번째 강연)

강연 17 --- 601
결실에 의해 의미된 성경의 직관에 대한, 통찰과 감정의 휴식에 관한 숙고에 대한 강연. 첫째, 통찰을 휴식시키는 것에 대한 강연(셋째 날의 봄에 대한 다섯 번째 강연)

강연 18 --- 637
직관이 감정을 휴식시킨다는 점에서 결실에 의해 특징지어진 성경의 직관에 대한 강연(셋째 날의 봄에 대한 여섯 번째 강연)

강연 19 --- 673
성경의 열매가 지각되게 하거나 학문과 신성을 통해 지혜에 도달하게 하는 올바른 길과 이성에 대한 강연(셋째 날의 봄에 대한 일곱 번째인 마지막 강연)

강연 20 --- 705
이 직관의 세 가지 대상 또는 천상의 위계에 대한 직관과 호전적인 교회와 단계지어진 인간 정신의 직관에 대한 강연(넷째 날의 봄인 직관을 통해 상승된 통찰에 대한 첫 번째 강연)

강연 21 --- 743
천상의 위계에 대한 직관을 다루는 강연(넷째 날의 봄인 특히 고양된 직관을 통한 지성의 첫 번째 대상에 대한 두 번째 강연)

강연 22 --- 781
특히 한편으로 이 봄의 두 번째 대상인 호전적인 교회의 숙고에 대한, 또 한편 위계지어진 영혼 자체인 이 봄의 세 번째 대상에 대한 강연(넷째 날의 봄에 대한 세 번째 강연)

강연 23 --- 825
위계지어진 영혼 자체를 다루는 봄의 세 번째 대상에 관한 지속적인, 넷째 날의 봄에 대한 네 번째 강연

부록 861 / 옮긴이의 말 865 / 참고문헌 869 / 보나벤투라 연보 873 / 찾아보기 875

저자소개

보나벤투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탈리아 중부의 비테리보(Viterbo) 인근 바뇨레지오 다 조반니(Bagnoregio da Giovanni)에서 아버지 조반니 디 피단차(Giovanni di Fidanza)와 어머니 마리아 디 리텔로(Maria di Ritello) 사이에서 귀족 가문의 아들로 태어났다. 1238년 프란체스코회에 입회했으며, 1243년부터 파리 대학에서 신학을 공부하였다. 1254년 페트루스 롬바르두스의 『명제집』을 주석 작업을 완성, 파리 대학의 교수 자격을 취득하였다. 1257년 높은 학식과 성덕을 인정받아 제7대 프란체스코회 총장으로 취임했으며, 같은 해 8월에는 늦어지던 파리 대학 교수 자리에 교황 알렉산드르 4세에 의해 신학자들 간의 문제가 해소되어 토마스 아퀴나스와 함께 임용되었다. 1259년 필명을 드높인 『하느님에게 나아가는 정신의 여정』을 집필했으며, 1261년에는 『프란체스코 대전기』와 『프란체스코 소전기』를 발표하였다. 1265년 클레멘스 4세에 의해 요크(York) 대주교에 임명되었으나 거절했다가 1273년 다시 알바노(Albano)의 대주교로 임명되었다. 이 해에 『6일간의 세계 창조에 대한 강연』을 집필하기 시작하였다. 1274년 교황 그레고리우스 10세가 소집한 제2차 리옹 공의회에 참석 중이던 7월 15일에 선종(善終)하였다. 1482년 교황 식스투스 4세에 의해 시성(諡聖)되었으며, 1588년에는 교황 식스투스 5세에 의해 ‘Doctor Seraphicus’(세라핌 박사)라는 영예로운 칭호를 받았다.
펼치기
박주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0년 서울에서 태어나 한국외국어대 독일어과를 졸업했으며, 같은 대학교 동시통역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같은 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하이데거에 있어서의 신에 대한 물음'으로 석사학위를 받고 박사과정을 이수한 다음에, 독일 보쿰 대학에서 「토마스 아퀴나스의 철학에서 악의 문제에 대한 연구」(Das Schlechte und das B?se. Studien zum Problem des ?bels in der Philosophie des Thomas von Aquin)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부전공으로 가톨릭 신학과 역사학을 공부했으며, 독일 정부에서 시행하는 라틴어와 그리스어의 국가시험을 통과했다. 2002년부터 한국외국어대에서 라틴어와 그리스어, 토마스 아퀴나스 철학, 중세철학 등을 강의했으며, 2003~06년까지 서울대 철학사상연구소 연구원을 지냈다. 논문으로 「빛과 인식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아우구스티누스, 보나벤투라, 토마스를 중심으로」, 「'대이교도대전'에 나타난 행복에 관하여」, 「토마스 아퀴나스의 '진리론'에 따른 인간 인식의 오류 가능성」, 「'6일간의 세계 창조에 대한 강연'(Hexaemeron)의 연구 번역」, '모든 학문의 신학으로의 환원'(De reductione artium ad theologiam) 연구 번역, 「토마스 아퀴나스의 '악론'(De Malo) 연구」 등을 발표했으며, 저서로 '중세와 토마스 아퀴나스'(살림, 2004), '아우구스티누스'(살림, 2006), '악이란 무엇인가'(누멘, 2012)를 비롯해 번역서로는 '삶의 목적인 행복'(헤르만 클레버, 가톨릭출판사, 2006), '행복론'(아우구스티누스, 누멘, 2010)가 있다. 현재 한국외국어대 교양학부 강사로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