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유럽사 > 중부유럽/북유럽사
· ISBN : 9788964452172
· 쪽수 : 628쪽
· 출판일 : 2020-02-10
책 소개
목차
수정 판본을 위한 서문 5
감사의 글 11
프롤로그 17
제1부 정치적·역사적 사고의 변화
제1장 위기의 요소들: 고전주의와 정치적 변화 23
제2장 독립을 위한 피렌체의 전쟁 33
피렌체 공화국과 밀라노 비스콘티 가문의 전제주의 35
1390~1402년의 시민적 자유를 위한 투쟁. 잔갈레아초와 1402년의 도전 52
제3장 로마사와 피렌체의 과거에 대한 새로운 시각 75
공화주의 대(對) 단테의 카이사르 찬양 77
레오나르도 브루니의 초기 작품에 나타난 공화정 로마에 대한 옹호 84
공화국 로마에 의해 피렌체가 성립되었다는 논제 93
르네상스기 피렌체 역사철학의 서곡 98
살루타티, 치노 리누치니, 그리고 그레고리오 다티에게서 나타나는 새로운 관념에 대한 성찰 114
제2부 1400년경의 정치·역사 저작에 나타난 전망과 전통
제4장 관념과 사건 사이의 상호작용 121
현혹적인 이론과 자료들 121
정치적 사건과 정치 선전가들의 저작들의 연대 비정 129
제5장 피렌체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시민의 관점과 휴머니스트의 관점: 치노 리누치니와 살루타티 139
공화주의적 역사 읽기와 구엘프 전통 139
살루타티의 시민적 휴머니즘과 그 한계 152
제6장 트레첸토 후기 사상에 나타난 공화국과 군주국 173
시민 그리고 공화국의 수호자로서의 키케로의 발견: 1392~94년 사이의 살루타티와 베르제리오 173
군주정 치하의 파도바에서 베르제리오의 군주주의로의 전환 183
1400년경 전제주의에 대한 파도바의 관념: 조반니 콘베르시노의 『선호할 만한 삶의 방식에 대한 논의> 189
제7장 살루타티의 『전제정론>의 위치 205
살루타티의 변절: 키케로에 맞선 카이사르의 군주정 옹호 205
전-르네상스 ‘사실주의’: 트레첸토 후기의 예술과 역사서술의 유사성 212
살루타티의 딜레마: 단테의 카이사르주의와 피렌체의 자유 222
제8장 그레고리오 다티의 『1380~1406년 피렌체 역사>와 콰트로첸토 역사서술의 서막 231
실용적인 역사로 가는 길 위에 선 한 속어 작가 234
콰트로첸토의 정치적 기예의 선구자들 239
자유를 위한 피렌체 전쟁에 대한 다티의 설명 252
제3부 레오나르도 브루니의 시민적 휴머니즘의 출현
제9장 브루니의 『피렌체 찬가>에 나타난 전망과 전통 263
독창성과 문학적 모방 263
피렌체의 정체와 산자수명한 경관에 대한 최초의 문학적 초상 270
제10장 『피렌체 찬가>의 기원 287
『피렌체 찬가>가 1400년에 저술되었다는 논제 287
『피렌체 찬가>가 1402년 이후에 기원했다는 이론과 잔갈레아초 시기의 정치 경험 293
제11장 브루니의 『대화>의 기원 303
『대화>의 문학적 구조 305
1401년의 『대화 Ⅰ>과 1402년 이후 『대화 Ⅱ>의 기원 313
제12장 『대화 Ⅱ>와 피렌체의 환경 331
초기 교황청 시기 브루니의 피렌체 정서 332
1405~06년의 페트라르카 논쟁 341
『대화 Ⅱ>와 페트라르카의 평가와 관련한 초기의 역사 345
제4부 고전주의와 트레첸토 전통
제13장 속어 저술가의 눈에 비친 고전주의자들 363
이행의 위기 속의 속어학파 363
니콜리와 브루니에 대한 도메니코 다 프라토의 독설 - 우리를 현혹하는 하나의 자료 370
치노 리누치니의 『단테, 페트라르카 그리고 보카치오에 대한 어떤 비방가들에 대한 독설> 379
제14장 초기 휴머니스트 고전주의의 위험성 387
리누치니의 『단테, 페트라르카 그리고 보카치오에 대한 어떤 비방가들에 대한 독설>에 나타난 1400년경의 지적 변화 387
고전주의와 고대 종교. 살루타티와 프란체스코 다 피아노의 증언 392
시민적 행동과 시민적 세계관의 위기 418
제15장 콰트로첸토 피렌체의 휴머니즘과 속어 441
『알베르티 가의 천국>과 속어 숭배 441
로렌초 데 메디치 시대에 이르기까지의 시민적 휴머니즘과 피렌체 속어 448
제5부 위기의 여파
제16장 도시국가의 자유 대(對) 통합적인 전제주의 475
잔갈레아초 시대의 경험: 되풀이되는 양상 475
1410년대: 잔갈레아초 비스콘티의 역할을 수행하는 나폴리의 왕 라디슬라오 477
1420년대: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와 재개된 밀라노의 도전 491
‘자유민들’: 1420년대부터 1440년대에 이르기까지 피렌체와 베네치아의 비스콘티 가문에 대한 저항 512
제17장 니콜리, 포조, 브루니 그리고 시민적 세계관 535
1420년대와 1430년대의 니콜리와 포조 535
필리포 마리아 시대에 이르기까지 브루니 휴머니즘의 단계들 541
제18장 피렌체의 위기에서 태어난 관념들: 브루니의 1428년 추도 연설 547
“난니 스트로치를 위한 추도 연설”: 피렌체 판 페리클레스의 장례 연설 547
피렌체와 피렌체의 문화적 사명 551
자유와 피렌체의 헌정 체제 555
시민군의 이상 572
에필로그 | 위기의 본질과 의미 585
옮긴이의 말 | 한스 바론과 『초기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위기>, 그리고 시민적 휴머니즘 605
찾아보기 623
리뷰
책속에서
휴머니스트들이 살았던 당시부터 이미 14세기에서 15세기로의 이행기는 거대하고 결정적인 변화의 시대로 인식되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