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잃어버린 계몽의 시대

잃어버린 계몽의 시대

(중앙아시아의 황금기, 아랍 정복부터 티무르 시대까지)

S. 프레더릭 스타 (지은이), 이은정 (옮긴이)
길(도서출판)
4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0,500원 -10% 0원
2,250원
38,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잃어버린 계몽의 시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잃어버린 계몽의 시대 (중앙아시아의 황금기, 아랍 정복부터 티무르 시대까지)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중앙아시아사
· ISBN : 9788964452349
· 쪽수 : 880쪽
· 출판일 : 2021-05-20

책 소개

중앙아시아 지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사상, 예술, 종교, 역사 등 전반을 매우 경제적이면서도 짜임새 있게 직조해냄으로써 세계사에 기여한 이 지역의 특장점을 매우 설득력 있게 서술한 책.

목차

서문 7
등장인물 17
연대표 27

제1장 세상의 중심 45
시간과 공간 49 / 배우 소개 54 / 제기하기는 쉬우나 답하기는 어려운 세 가지 질문 74 / 가지 않을 길 76

제2장 세속적인 도시계획 전문가들과 고대의 땅 85
기온 상승이 있었는가 95 / ‘집약’문명 98 / 고부가가치를 양산하던 무역업자들 103 / 제국의 지대 추구자들 115 / 말(馬), 등자, 그리고 유목민 123 / 도시문화 129

제3장 기술과 사상, 종교의 도가니 133
문해력과 산술 능력 133 / 과학 139 / 수많은 문자 언어들 143 / 자라투스트라와 빛과 어둠의 세계 147 / 신들을 대동한 그리스인들 154 / 불교도의 수도생활 161 / 헬레니즘의 대변자, 기독교도 170 / 정체성과 유산 177

제4장 어떻게 아랍은 중앙아시아를 정복하고, 또한 중앙아시아는 바그다드 정복을 준비했는가 189
정복 직전의 중앙아시아: 개요 190 / 종교와 약탈: 동쪽으로 밀려드는 아랍인들 195 / 쿠타이바의 문명전(戰) 200 / 중앙아시아의 반격 205 / 중앙아시아의 테르미도르 동안에 성립된 거래 211 / 아부 무슬림과 아바스의 후손들 215 / 아부 무슬림의 경이로운 시절, 750~751년 217 / 승자는 누구인가 219

제5장 바그다드에 부는 동풍 225
바그다드 228 / 하룬 알 라시드: 지하드를 외친 한량 234 / 바르마크 가문이 이끈 번역운동의 사각지대 241 / 바르마크 가문의 몰락 245 / 마문: 독단적인 이성의 옹호자 246 / 마문의 지혜의 집 251 / 무타질라파(Mutazilism) 256 / 후주(後奏) 263

제6장 유랑하는 학자들 269
바그다드의 중앙아시아인들 272 / 아랍 동료들 277 / 중앙아시아의 위력: 의학과 수학, 그리고 천문학 279 / 최고의 과학자 콰리즈미 283 / 콰리즈미는 정말 중앙아시아의 아들이었는가 292 / 철학적인 질문들 298 / 킨디의 복잡하고 골치 아픈 문제 300 / 파라비, 불가능한 일을 해내다 306 / 신중한 혁신가 311 / 현혹될 정도로 비정치적으로 보였던 파라비의 정치관 314 / 파라비가 놓친 기회 317 / 중앙아시아는 두뇌 유출로 고통받았는가 319

제7장 호라산: 중앙아시아의 떠오르는 별 323
학문의 도시 니샤푸르: 자연 물리적 환경 328 / 교육과 정신적 삶, 그리고 사회적 갈등 331 / 지적 전통의 창시자들 335 / 호라산의 회의론자와 자유사상가들 337 / 전통주의자들의 충동 340 / 발히와 하산 나이사부리, 그리고 불합리 342 / 시스탄에서 들려오는 페르시아인들의 봉기 346 / 투스: 전위적인 벽지(僻地) 352 / 페르도우시의 외로운 사명 356 / 현실적인 『왕의 서(書)』 359 / 부계 지배의 모순들 362 / 분별력 또는 지혜가 없는 세상 363

제8장 중앙아시아의 전성기: 사만 왕조 369
안팎에서 제기된 시아파의 도전 391 / 침묵하는 다수가 아니었던 전통주의자들 396 / 무함마드 알 부하리: 고아의 탐구 400 / 구술사학 403 / 만사(萬事)에 관한 법 405 / 기세등등한 전통주의자들 408 / 아부 알리 알 후사인 이븐 시나 410 / 이븐 시나, 비루니, 그리고 우주 417 / 부하라의 황혼기 426

제9장 사막에서의 한때: 마문 휘하의 구르간지 429
호라즘: 기술에 기반한 사회 429 / 아랍의 침략과 그 여파 434 / 박식가이자 교사였던 아불 와파 부즈자니 436 / 호라즘에서의 쿠데타 438 / 무함마드 비루니의 어린 시절 439 / 비루니, 역사를 발명하다 442 / 마문 가문의 구르간지 448 / 별개의 궤도에 있던 슈퍼스타들, 1004~10 453 / 『의학정전』 456 / 구르간지의 몰락 464 / 후주: 이븐 시나가 모든 지식을 종합하다 468

제10장 튀르크인들이 무대에 등장하다: 카슈가르의 마흐무드와 발라사군의 유수프 479
민족 선전원의 자질 483 / 놀라운 카라한인들 486 / 마흐무드 카슈가리가 깃발을 들다 490 / ‘문화적 쇠퇴’기(期)? 496 / 창조적으로 조성된 튀르크 거리 498 / 튀르크 승전탑 502 / 카라한인들의 동화(同化) 507 / 『행운을 가져오는 지혜』 509 / 세계를 포용하고 수피적 대안을 거부한 발라사구니 511 / 전투에서는 졌지만 전쟁에서는 승리한 은둔자 512 / 카슈가르의 잔광 514

제11장 튀르크인 약탈자 치하에서의 문화: 가즈니의 마흐무드 517
새로운 형태의 통치자 517 / 마흐무드의 부상과 그를 지원한 정부 523 / ‘지상의 신의 그림자’ 525 / 완불하기 528 / 마흐무드 세계의 성격과 문화 530 / ‘속세의 광휘’: 건설자 마흐무드 534 / 가즈니 치하에서의 역사학자들 540 / 궁정시인들 544 / 페르도우시: 투란의 노예 550 / 마흐무드 치하에서의 자연과학과 사회과학 555 / 비루니의 인도 560 / 인도 과학에 천착한 비루니 565 / 시간과 인간의 역사 566 / 문화로서의 종교 567 / 힌두교, 이슬람, 마흐무드에 관한 비루니의 생각 573 / 종결부 577 / 미루니, 아메리카를 발견하다 583 / 태양에 관한 이해와 비중(比重) 587 / 가즈니의 몰락 588

제12장 셀주크 통치 아래에서의 미진(微震) 591
가잘리의 위기 591 / 유럽과 중앙아시아에서의 변화의 곡선 594 / 분주한 셀주크와 투르크멘 부족들 595 / 니잠 알 물크: 투스의 마키아벨리 601 / 셀주크 건축과 제조업 606 / 셀주크 치하에서의 학문 세계 610 / 안팎에서 분출된 위험한 사상가들 619 / 니잠 알 물크의 반격: 니자미야 마드라사 624 / 철학자 하이얌 629 / 마음속의 대안: 수피즘 631 / 1092~95년의 위기 635 / 가잘리의 신경쇠약을 다시 논하며 638 / 『철학자들의 부조리』 642 / 셀주크의 종말: 술탄 산자르 651 / 건축가 산자르 654 / 후원자로서의 산자르 658 / 산자르의 억류와 죽음 661 / 오마르 하이얌의 최후의 심판 664

제13장 몽골의 세기 673
권력의 오만함: 호라즘 샤 673 / 호라즘 통치 아래에서의 지식인의 삶 676 / 수피 르네상스 678 / 재앙을 부르며 684 / 몽골의 복수 688 / 베이징(北京)에의 정착 693 / 몽골 치하의 중국에서의 중앙아시아 문화 696 / 몽골 치하의 이란에서의 중앙아시아 문화 699 / 잠시 소생한 위대한 전통: 나시르 알 딘 알 투시 707 / 중앙아시아의 황폐화 713 / 몽골 치하의 중앙아시아 719 / 몽골의 멍에 아래에서의 문화 721 / 민중문화: 민간전승과 종교 724 / 암흑 시대의 대차대조표 731

제14장 타메를란(티무르)과 그의 후계자들 735
권력의 뼈대 740 / 티무르 이후: 평화와 교역 744 / 티무르 손자들 시대의 문화 746 / 울루그베그: 왕위에 오른 과학자 752 / 나바이: 후원자이자 시인 762 / 미학적 세기의 종말 769 / 티무르의 의붓자식들: 무굴, 사파비, 그리고 오스만 771 / 인쇄되지 않은 말 781 / 계승자들, 그리고 상실된 유산 782

제15장 회고하며: 모래와 굴 785
왜 발생했을까 788 / 모래알을 품은 굴 793 /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795 / 환경적 가설들 798 / 몽골 문제를 전술로 삼기 799 / 악당 바스코 다가마(Vasco da Gama) 800 / 부유한 후원자들이 지갑을 닫았는가 802 / 통치자들의 부조 803 / 비(非)사변적인 튀르크인들 804 / 무슬림 대(對) 무슬림 805 / 악한 천재, 가잘리 808 / 중요한 시기 선택 813 / 설명할 필요가 있을까 815

옮긴이의 말 817
사항 찾아보기 833
인명 찾아보기 853
지명 찾아보기 869

저자소개

S. 프레더릭 스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의 러시아, 유라시아 문제 전문가로 1962년 예일 대학을 졸업했으며,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 킹스칼리지에서 석사학위를, 미국 프린스턴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아울러 그는 툴레인(Tulane) 대학 부총장(1979~82)과 오벌린(Oberlin) 대학 총장(1983~94)을 역임했으며, 중앙아시아-코카서스 연구소(Central Asia-Causasus Institute and Silk Road Studies Program)의 설립자이자 회장이기도 하다. 아프가니스탄과 중앙아시아, 코카서스, 러시아 지역 전문가로서 미국 대통령들의 자문을 맡아왔고, 미국외교정책위원회(APEC)를 비롯해 안보개발정책연구소(ISDP) 등 다양한 기관에서 자문 및 연구 활동을 펼치고 있는 그는, 각종 저널과 신문에 200여 편의 글을 기고했고 20여 권의 책을 펴내기도 했다. 저서로 Decentralization and Self-Government in Russia, 1830~1870(1972), Melikov: Solo Architect in a Mass Socirty(1978), Red and Hot: The Fate of Jazz in the Soviet Union 1917~1980(1983) 등이 있다.
펼치기
이은정 (감수)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터키어과와 터키 국립 앙카라 대학교 역사학과에서 학부와 석사를 마쳤으며,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에서 “오스만 황실 하렘과 여성”이라는 주제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서울대학교 등에서 강의를 하고 있으며, 오스만 제국 및 이슬람 여성 관련 글들을 쓰고 있다. “16-17세기 오스만 황실 여성의 사회적 위상과 공적 역할 ─오스만 황태후의 역할을 중심으로”(여성과 역사, 2012)와 “‘다종교·다민족·다문화’적인 오스만 제국의 통치전략”(역사학보, 2013) 등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은정의 다른 책 >

책속에서

999년 403킬로미터도 더 떨어져 있는, 오늘날의 우즈베키스탄와 투르크메니스탄에 살던 두 청년이 편지를 주고받게 되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