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일반
· ISBN : 9788964470916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5-03-31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머리말
들어가며
1장╻세속화 이론으로만 이야기할 수 없는 현재의 상황
1. 탈종교 담론
2. 세속화 논쟁
1) 세속화 이론과 탈세속화 이론
2) 세속화 이론의 여러 모델
3) 한국 사회에서의 세속화 이론
2장╻한국의 ‘가나안 성도’
1. ‘가나안 성도’ 출현에 대한 역사적 해석
2. 개신교 외 다른 종교에서의 ‘가나안 성도’ 현상
3. ‘가나안 성도’의 본질에 관한 연구들
3장╻종교와 정체성
1. 종교와 종교적인 것
1) 종교와 종교성
2) 종교적인 것
2. 정체성과 종교 정체성
3. 정체성을 구성하는 이데올로기
4. 개인의 실천 속 간파와 제약
4장╻‘청년 가나안 성도’들의 종교 정체성
1. 종교 정체성과 윤리성
2. ‘청년 가나안 성도’의 기독교 교리 전유
1) 구원관
2) 신관
3) 성서관
4) D.I.Y. 종교성을 관통하는 축, 윤리
5) ‘가나안 성도’의 기독교 개념 전유
3. ‘가나안 성도’의 시민 윤리적 정체성과 지배 이데올로기 간파
1)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 이데올로기
2) 남성 중심 이데올로기
3) 정치적 보수주의
5장╻‘청년 가나안 성도’들의 종교 문화적 실천
1. 종교적 의례에서 사회적 의례로
2. 기존 개신교와의 구별 짓기
3. 지배 이데올로기에 대한 종교 문화적 실천
1) 강압이 아닌 선택으로의 자기 계발과 성실성
2) 사회적 젠더 감수성과 가정 내 가부장주의
3) 진보적인 정치적 이상과 추상화된 사회적 약자
4) 공공성을 가리키는 ‘청년 가나안 성도’ 현상
글을 맺으며
참고문헌
책속에서
현재 한국 사회에서 나타나는 탈종교화 현상은 종교를 가진 사람이 줄었다거나 종교의 영향력이 감소한다기보다는 제도 종교에 속한 사람들이 줄고 있다고 보는 편이 더욱 타당하다(임영빈, 2019). 과거에는 제도 종교에 속하는 것이 개인의 종교성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사회문화적으로도 유익을 주었다면, 지금은 제도 종교가 긍정적인 유인을 제공하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들어가며> 중에서
특히 부모의 신앙을 물려받은 2세대 기독교인들의 경우에는 이러한 현상이 더욱 뚜렷하게 드러나는데, 여러 학자는 이에 대해 중세 시대의 종교가 가진 권위로부터 벗어나 합리적 주체로 종교를 대하는 역사적 흐름으로 인식한다. 그리고 개인주의는 탈근대 사회에서 집단보다 개인이 중시되고 그에 맞게 종교성의 성격도 바뀌게 되어 ‘가나안 성도’가 탄생했다는 분석이다(정재영, 2012; 2013; 2015; 양희송, 2014; 박종원, 2016).
<2장╻한국의 ‘가나안 성도’> 중에서
다음은 이 연구의 연구 참여자를 표로 정리한 것이다.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기에 앞서 짧은 사전 설문을 받았으며, 여기에는 이름, 연령, 성별, 종교, 학력, 전공, 직업, 거주 지역, 신앙 연수, 불출석 기한, 모교회 교파, 모태신앙 여부, 대안 종교 참석 여부가 적혀 있다. 이는 연구 참여자의 특수성이 무엇인지 알기 위함도 있었지만, 그보다는 ‘가나안 성도’의 자기 서사와 스스로를 규정하는 언어가 어떻게 다른지 알기 위함이었으며, 본문에서도 인터뷰를 해석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4장╻‘청년 가나안 성도’들의 종교 정체성>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