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사이버 루덴스

사이버 루덴스

(게임의 미학과 문화)

이동연, 신현우, 김아영, 서도원, 안가영, 랩삐(lab B), 윤태진, 이경혁, 진예원 (지은이)
문화과학사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19,800원 -10% 2,500원
카드할인 500원
500원
21,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사이버 루덴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사이버 루덴스 (게임의 미학과 문화)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88997305254
· 쪽수 : 263쪽
· 출판일 : 2024-12-17

책 소개

2023년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진행된 포럼 '사이버 루덴스: 미래 게이밍, 테크놀로지, 미학의 토포스'로부터 기획되었다. 이 포럼에서 단행본으로 이어지는 1여 년간의 여정에 게임을 탐구하는 각 분야의 전문가, 예술가, 연구자들이 참여했다.

목차

1부 문화코드와 기술미학의 게임 양식

1장. 서드라이프: 포스트 게이밍을 상상하는 예술 미학(이동연)
2장. 에르고딕, 그리고 대중미학의 인식적 지도그리기: 디지털게임과 컴퓨터–
문화 조형행위(신현우)

2부 루도퍼블릭: 게이머에서 사회적 담론 · 문화로의 확장

3장. 플럭서스: 포스트디지털 문화에 대한 고찰과 개념의 제안(진예원)
4장. 능동성과 수동성의 이분법을 넘어서는 게이머의 존재론적 지위에 관한 고찰(서도원)
5장. 게임저널리즘과 이용자 공동체는 미디어를 어떻게 변화시키는가(이경혁)

3부 미디어아트, 플레이 수행성의 새로운 가능성

6장. 광학적 이미지의 황혼, 유령 망막의 여명 속에서(김아영)
7장. 유희와 노동의 기술법, 랩삐의 <강냉이 털어 국현감>(안가영)

4부 법과 규제, 게임 담론의 제도적 전선

8장. 게임콘텐츠, 규제와 질병 사이: 2000년대 이후 게임 과몰입 규제정책의 변천 과정(이동연)
9장. 게임포비아의 역설: 한국 게임문화는 어떻게 의료화 되었는가(윤태진)

저자소개

윤태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교수이자 게임과학연구원 원장이다. 미국 미네소타대학에서 미디어문화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이후 귀국하여 텔레비전 프로그램, 한류, 웹툰 등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활동들”에 대해 글을 쓰고 강의를 해왔다. 최근에는 후배 연구자들과 함께 게임 및 이스포츠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결과물로 포스트-코로나 게임 문화, 중장년 게이머 등에 대한 연구 보고서를 펴냈다. 『디지털 게임문화연구』라는 책을 펴낸 바 있다.
펼치기
이경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8년 경기도 부천에서 태어났다. 문방구 앞 오락기에서 시작하여 PC 게임 〈울티마 5〉를 구입하며 게임에 흠뻑 빠져들었다. 1998년 〈스타크래프트〉 열풍 때는 대학교를 휴학하고 준 프로 게이머로 활동했으며 〈월드오브워크래프트〉에서 공격대장을 맡기도 했다. 대학 졸업 후에는 게임과 무관한 분야에서 평범한 직장인으로 일하다가 2014년 매체 비평지 〈미디어스〉에 게임 비평 칼럼을 연재하면서 게임 칼럼니스트로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게임 관련 비평 및 연구자로 활동하며 인터넷 게임문화 웹진 〈게임 제너레이션〉 편집장으로 일하고 있다. 저서로 《게임, 세상을 보는 또 하나의 창》(2016), 《81년생 마리오》(2017), 《게임의 이론》(2018), 《슬기로운 미디어생활》(2019) 등이 있고, “게임 아이템 구입은 플레이의 일부인가?”(2019) 등의 논문을 썼다. 〈미디어스〉 “플레이 더 게임”, 〈매일경제〉 “게임의 법칙”, 〈국방일보〉 “전쟁과 게임” 등의 칼럼을 연재했고, 〈더 게이머〉(KBS, 2019), 〈라이즈 오브 e스포츠〉(MBC, 2020), 〈다큐프라임: 게임에 진심인 편〉(EBS, 2022) 등의 다큐멘터리를 작업했다. 게임과 관련한 여러 대중 강좌를 진행했으며 팟캐스트 〈그것은 알기 싫다〉 “팟캐문학관” 코너에서 게임과 사회가 관계 맺는 방식에 관해 공부하며 이야기하고 있다.
펼치기
신현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마르크스주의의 시각에서 기술과 문화, 예술을 탐구하는 문화연구자다. 대학에선 문학과 영화를 전공했다. 연구자가 된 후에는 기술비판이론과 미디어 정치경제학을 공부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플랫폼·인공지능·블록체인·게이밍 영역에 펼쳐진 자본주의 기술과 인간 노동이다. 《사물에 수작부리기》, 《게임의 이론》, 《위기와 성찰의 뉴노멀 시대》, 《인공지능, 플랫폼, 노동의 미래》 등을 썼다. 《문화/과학》의 편집위원이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에서 과학기술사회,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디지털과 예술에 대해 강의한다.
펼치기
신현우의 다른 책 >
김아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역사, 시대, 지정학과 같은 불가항력에 저항하거나 그로부터 빗나가고 이탈하는 존재와 사건들에 대한 사변적 이야기를 만드는 현대미술가. 지정학, 신화의 파편, 테크놀로지, 미래적 도상을 종횡하여 혼합하고, 사변적 시간을 소급하여 현재 속으로 침투시켜 영상, 무빙 이미지, 소닉 픽션, VR, 게임 시뮬레이션, 다이어그램, 텍스트 등으로 구현하고, 전시, 퍼포먼스, 상영, 출판의 형태로 펼친다. 2024 국립아시아문화전당 ACC 미래상, 2023 오스트리아 프리 아르스 일렉트로니카의 골든 니카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서도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주체와 타자의 관계를 고민하는 문화 연구자.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대학원에서 미디어 문화 연구를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 수료 후, 종교, 게임, 출판, 언론 등 다양한 문화 영역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사이버 루덴스》에 공저자로 참여했으며,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신천지 보도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등의 논문을 집필했다.
펼치기
안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및 동대학원에서 서양화를,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에서 영상예술학을 전공했다. 미디어아티스트로 활동하며 온․오프라인 세계에서 발생하는 문화와 게임을 비롯한 가상세계에서의 인간과 비인간의 공존에 관심을 두고 다매체적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다수의 국내외 기획전 및 프로젝트에 참여했으며, 게임과 예술 창작에 대한 융복합교육을 하고 있다.
펼치기
랩삐(lab B)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19년부터 활동해온 4명의 시각예술 콜렉티브로 강민정, 안가영, 제닌기, 최혜련으로 이루어졌다. 발랄한 태도로 동시대 기술 문화로부터 소외된 존재, 타자의 문제 등의 사회적 현상을 활동의 주된 동력으로 삼아 동시대 미술의 역할에 대한 유의미한 담론을 창출하기 위해 시도하고 있다.
펼치기
진예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객원교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