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불교 사상 개관

한국 불교 사상 개관

길희성 (지은이)
동연출판사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200원 -10% 0원
1,400원
23,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 불교 사상 개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불교 사상 개관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종교일반 > 종교의 이해
· ISBN : 9788964477144
· 쪽수 : 454쪽
· 출판일 : 2023-11-20

책 소개

1980년대부터 여러 학술지에 발표했던 저자의 한국 불교 관련 논문들을 모아 편집한 것이다. 길희성 교수의 불교 사상에 관한 연구와 한국 불교를 널리 이해하고 연구하는 데 이 책이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전집을 펴내며

1부_ 한국 불교의 특성론

한국 불고 특성론과 한국 불교 연구의 방향
Ⅰ. 들어가는 말
Ⅱ. 한국 불교 특성론
Ⅲ. 한국 불교 연구의 방향

한국 불교의 특성과 정신
- 한국인의 역사와 삶 속의 역할을 중심으로
Ⅰ. 서론
Ⅱ. 한국 불교의 특성에 관한 기존 논의
Ⅲ. 한국 불교의 특성 파악을 위한 원칙과 방향
Ⅳ. 변화하는 한국 불교: 새로운 정체성의 모색
Ⅴ. 한국인의 역사와 삶 속 불교의 역할

한국 불교사와 개혁 운동
Ⅰ. 한국 불교의 특성
Ⅱ. 가마쿠라 신불교의 성격
Ⅲ. 한국 불교사의 개혁 운동
Ⅳ. 결론

한국 불고 수행(修行) 전통에 대한 일고찰
Ⅰ. 한국 불교의 수행 전통
Ⅱ. 유언(有言)과 무언 (無言)
Ⅲ. 휴정과 지눌

민중불교, 선(禪) 그리고 사회윤리적 관심

2부 _ 고려 불교 연구

고려시대의 승계제도(僧階制度)에 대하여
- 고려도경을 중심으로
Ⅰ. 고려 태조와 불교
Ⅱ. 관료제도로서의 고려 불교: 승계
Ⅲ. 왕사와 국사
Ⅳ. 걸어

고려 불교의 창조적 종합
- 의천과 지눌
Ⅰ. 한국 불교의 회통적 성격
Ⅱ. 의천의 생애
Ⅲ. 의천의 불교 사사
Ⅳ. 지눌과 정혜결사 운동
Ⅴ. 지눌의 심성론
Ⅵ. 지눌의 수행론

보조(普照) 사상 이해의 해석학적 고찰
Ⅰ. 보조 사상의 이해
Ⅱ. 객관주의적 이해를 넘어서서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와 지눌 선(禪) 사상의 구도
Ⅰ.서론
Ⅱ. 지눌 선(禪) 사상의 체계와 구조
Ⅲ. 『절요』에서 본 지눌의 선(禪) 사상 체계와 지눌의 여타 저술들
Ⅳ. 결어

지눌, 반야(般若)에서 절대지(絶對知) 로
Ⅰ. 공적 영지론의 사상사적 배경
Ⅱ. 무아론을 넘어
Ⅲ. 종밀의 지(知) 개념
Ⅳ. 지눌의 진심 개념
Ⅴ. 지와 지성

비교 사상 관점에서 본 지눌의 선(禪) 사상
Ⅰ. 초인격적인 정신세계
Ⅱ. 지성과 불성
Ⅲ. 진아의 탐구
Ⅳ.맺음말

다시 생각해보는 돈오점수론(頓悟漸修論)

3부 - 비교종교학에서 본 불교 사상

열암 철학에서의 한국 불교 사상 연구
Ⅰ. 열암 철학의 근본적 관심과 한국 불고 사상 연구
Ⅱ. 열암이 한국 불교 사상사를 보는 눈

티베트 불고 민족주의의 역사적 고찰
Ⅰ. 불교와 국가
Ⅱ. 티베트 불교의 역사적 특성
Ⅲ. 티베트와 중국
Ⅳ. 티베트 민족주의의 대두와 독립
Ⅴ. 라싸와 다람살라
Ⅵ. 결어: 존망의 기로에 선 티베트

불교와 그리스도교
- 창조적 만남과 궁극적 일치를 향하여
Ⅰ. 세계종교로서의 불교와 그리스도교
Ⅱ. 불교와 그리스도교: 대중적 만남
Ⅲ. 불교와 그리스도교: 사상적 만남
Ⅳ. 불교와 그리스도교: 심층적 만남을 위하여
Ⅴ. 실천적 만남

참고문헌
글의 출처

저자소개

길희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 예일대학교 신학부에서 석사학위를, 하버드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비교종교학)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 서강대학교 종교학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2011년부터 2023년까지 서강대학교 종교학과 명예교수이자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이었다. 주요 저서로 『종교 10강』, 『영적 휴머니즘』, 『종교에서 영성으로』, 『아직도 교회 다니십니까』, 『인도 철학사』, 『일본의 정토 사상』, 『지눌의 선禪 사상』, 『보살예수』, 『범한대역 바가바드 기타』,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영성 사상』, 『인문학의 길: 소외를 넘어』, 『일본의 종교 문화와 비판 불교』(공저) 등이 있고, 다수의 번역서와 논문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한국적인 것의 특성을 찾으려는 노력은 비단 불교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중국의 정치적, 문화적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아 온 한국문화의 경우 그 정체성의 문제는 더욱 미묘한 양상을 띠게 된다. 정체성은 차별성의 확보와 직결되어 있기 때문에, 한국문화의 뚜렷한 독자성 내지 정체성을 주장하려면 불교뿐만 아니라 유학, 도교, 미술이나 건축 등의 분야에서도 유사한 문제가 제기되는 것이다. 과연 여기서도 중국과의 질문은 아니고 동아시아 문화를 연구하는 세계 학자들의 공통적인 관심사이다.
“1부_ 한국 불교 특성론과 한국 불교 연구의 방향” 중에서


한국 불교의 특성과 정체성에 대한 종래의 논의는 주로 과거의 한국 불교를 중심으로 하여 이루어져 왔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그것도 주로 출가승가와 고승들의 사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논의는 첫째로 현재 한국 불교에 일고 있는 의미 있는 변화들과 새로운 정체성의 모색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둘째로 출가 승려들뿐 아니라 재가불자들, 더 나아가서 한국인 일반의 삶에서 불교가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떤 영향을 미쳐왔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1부_ 한국 불교의 특성과 정신” 중에서


교학을 하는 사람들은 진리를 자기 자신 안에서 찾지 않고 문자 속에서 찾으려 한다. 따라서 그들이 이해하는 진리는 그들을 변화시킬 힘이 없는 것이다. “경을 보는 것이 만약 자기를 향한 공부가 아닐 것 같으면 비록 온 대장경을 다 보았다 하더라도 아무런 이익이 없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말해 휴정에 의하면 교는 타인으로 하여금 무언의 진리를 깨닫도록 하는 도움이 필요한 필수 불가결의 한 방편이다. 그리하여 교는 법(法)의 불변(不變)과 수연(隨縁), 인(人)의 돈오와 점수를 말해준다. 그러나 동시에 교의 근본적 한계도 분명히 인식되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수행자는 무언의 진리가 지니는 해방적 힘을 경험하고자 한다면교를 버리고 선으로 나아가야 하는 것이다.
“1부_ 한국 불교 수행(修行) 전통에 관한 일고찰”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