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대학벌곡 vs 대학별곡

대학벌곡 vs 대학별곡

(포항공대 이야기)

권오대 (지은이)
동연출판사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300원 -10% 0원
850원
14,450원 >
15,3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530원
13,77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6,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대학벌곡 vs 대학별곡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대학벌곡 vs 대학별곡 (포항공대 이야기)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에세이
· ISBN : 9788964477991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2-08-19

책 소개

포항공대 이야기. 포항공대 명예교수인 저자는 소위 포항공대 창립 멤버이다. 포항공대의 초기, 세계 굴지의 대학으로 서가는 과정 그리고 포항공대의 추락까지 지켜보아 오면서 누구보다 그 내용을 잘 알고 또 그만큼 안타까워하는 사람이다.

목차

머리말

1장 ╻ 포항공대를 설립하다
불안한 귀국 방문과 암울한 시대
포항공대로 부임 결정
12월 3일 개교와 6백만 불 연구 장비 발주
임용 거부 사태
포항공대 사람들의 노력과 지방 명문대 탄생
포항공대에서 연구원과 첫 연구 및 문화프로그램
광전자집적회로(OEIC) 연구 그룹 부상과 국책 과제
포항공대 전자전기과 반도체 그룹 개화
SEED-1, Bell 랩이 발명한 SEED 광교환소자 MOCVD법 개발
학장 애증 1: 병역 특례 및 가속기
학장 애증 2: 교수평의회 및 포항경실련
SEED-2, Bell Lab과 IBM의 CCG 공간교환형 레이저 공동연구
수년간의 좌절: 카이스트 광전자 ERC 중간 평가 탈락 및 비운들

2장 ╻ 동 ‧ 서 냉전의 종식과 그 여파
80년대 중반 국제 정세와 한국 ― 사하로프 & 고르바초프
응답하라 1988 ― 가자 북으로
대학원 신설 허가 및 방사광 가속기 건설
학생들의 스트레스와 어느 대학원생
한아패 사건 요약
오 꿈의 나라 1 & 2
미 부대사가 대변한 미국의 한국관

3장 ╻ 경영다각화 ― 박태준, 김호길
경영다각화의 역행: 정보통신연구소 박태준 묵언
‘이동통신 사업권 선정’ 백지화, 재심 요구
제2 이동통신 빠르면 2개 사업자 1993년 상반기 선정(체신부)
포철 떠난 박태준의 장기 외유와 국가의 무책임
TJ만 매장, 비자금은 ‘부장품’ ― 노소영 시비
고난 속의 학장님, 홀연히 세상을 떠나다
TJ 주도 경영다각화를 놓친 포항공대의 혼란기
서울공대 백서, <공학교육은 발전하고 있는가?>

4장 ╻ 포항공대-카이스트–한동대-서울대
제2대 총장 선임 ― 총추위 · 총선위
교수평의회 의장-전자과 주임교수-고충처리위-일본어 교수
교육부 국책사업-LG 출연 전자공학동-포항경실련
카이스트 서남표 총장 1: 러플린 전임 총장 이야기
카이스트 서남표 총장 2: 한국 교육에 남기는 마지막 충언
카이스트 서남표 총장 3: 14대 연임 그리고 퇴임
한동대 김영길 총장 ― 법정구속과 대학 정상화
한동대와 귀순 북한 용사 강성산
서울대, 나의 모교
늦깎이 이승철과 MIT/EE 첫 한국인 Ph. D. 주덕수

5장 ╻ 십대 대학의 몸부림
대학 발전을 위한 학생들의 소리
압력밥솥 같은 대학 신문사 사태 ― 이YJ
전자서명운동 ― 김EK
성명서-신문사-총학생회-학과학생활동협의회
경고 편지 사건과 정성기 교수의 답변

6장 ╻ 분기점과 기승전결
IMF[좀바#28](1997. 12. 8.)
〈과학이 보인다〉 “‘광파가설’ 파장” ― PQR Laser
BK21에서 물리학과가 떨어져서 ― 대학원생(1999. 9. 5.)
파우스트 그룹을 제안합니다(1999. 9.)
전자과 반응, 푸대접 ― 자대 대학원(2000. 1. 4.)
서울대 대학원 진학에 있어서 난점(2000. 1. 5.)
Re: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 [별바0001] 박동수(2000. 1. 4.)
총장님께… ― 유학 중인 학생 편지(2000. 2. 28.)
Subject: 권오대 교수님께 ― 이HS(2000. 3. 16.)
To: 최BK(B. K. Choi) SRAM 공정팀
나노기술집적센터의 유치
신임 총장은 외부에서 투명하게 초빙해야
제자들의 소리 없는 함성
아, 너무도 아까운 별이여
새 총장 선임 반대 성명서 ― 암컷 개(犬)는 부활할 것인가
정년 교수를 누명으로 추방하려는 사건 ― 신문고를 두드립니다
2005 K교수 사건
총장에게 고소당한 교수, 검찰 무혐의 처분 파장
“무혐의” 그리고 사라진 조각꿈 ― 분기점과 Prigogine 교수

맺는말

첨부 자료
부록 ╻ 암울한 시대, 지/사/대에 대한 제안
지/사/대 이야기
벚꽃 피는 순서대로 망할 암울한 대학들
지/사/대 문제의 핵심은 ‘대학설립준칙주의’이다― 대학벌곡罰哭과 대학별곡別曲 사이의 루비콘 준칙주의

저자소개

권오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전기공학과 학사(1969) 미국 Rice대학교 전기공학과 석사(1975), 박사(1978) Cornell대학교 통계물리 그룹 펠로우(1978-82) Dow연구소 근무(1982-86) 포항공대 전자전기공학과 부교수, 교수(1986-11), 명예교수 AT&T Bell연구소 방문교수(1993-94) UCLA 전기공학과 방문교수(2000-01) 고려대학교 전기공학부 방문교수(2006) 서울대학교 전기공학부 방문교수(2007-08) 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수학(2006-08) 한국신학대학 초빙교수(2013-15) 1997 올해의 과학자상 수상(PQR 양자테 레이저 발명) 1998 대한민국 특허대전 상공부장관상(금상) 수상 한국전자공학회 부회장 한국광학회 부회장 COOC 운영위원 경실련 중앙위원/포항지부장 저서 및 학술 논문 『아인슈타인 하우스 ― 아인슈타인으로 400년 과학 꿰뚫어보기』 (동연, 2014) O'Dae Kwon 외 5인 공저, “Photonic Quantum Ring,” Physical Review Letters Vol. 82 No. 3(Jan. 1999): 536-539. 외 다수.
펼치기

책속에서

1985년 연말쯤 대학 홍보차 들린 디트로이트에서 초면의 김호길 학장은 ‘속이 매우 당찬 분’이라 느꼈다. ‘시시한 퇴물은 안 되고 쟁쟁한 학자들만’ 와야 할 것이라고 배짱을 퉁기고 있었다. 갈 사람이 “나요, 나요” 하고 나서는 것도 아닌데….
1986년 5월에 나는 서울공대와 카이스트에 세미나 방문을 준비하고 있었는데, 이 소식에 학장은 항공권을 보내며 내가 먼저 예약한 것을 취소토록 하였다. 당시 형체도 없던 포항공대는 가상 현실인데도 학장은 반드시 포항 현장을 보여주겠다는 것이었다. 사실 그때 남다른 ‘고민’이 있었다. 다우(Dow)연구소 생활을 정리하며 몇 대학에 인터뷰하고 있던 때였으나 ‘한국 방문 인터뷰와 세미나라는 고민’을 특별히 하고 있었다.
_1장 ╻포항공대를 설립하다 “불안한 귀국 방문과 암울한 시대” 중에서


포항공대 대학원 개설 건, 문교부에서 허가를 받고 생명과학과도 신설 요청하였다.
1988년, 이듬해 총 석사 250명, 박사 70여 명 정원으로 되고… 결국 석사 500명, 박사 500명 정도로 성장하는 목표를 설정함.
포항 방사광 가속기 연구소도 건설한다. 김호길 학장은 가속 장치 건설에 여러 가지 협조를 당부했다.
사실 학장은 개교 전 이미 가속기 센터를 후속 사업으로 상정했고, 성공적인 포항공대 설립에 만족한 TJ가 학장의 개교 성공에 답례했다.
호사다마인가? 학장은 두 마리 토끼를 쫓기 시작했는데 우수함을 지향하나 우려도 시작되었다. 결과적으로 가속기 준공 전 유명을 달리하고 대학의 급성장형 발전이 막혔다.
_2장 ╻동서 냉전의 종식과 그 여파 “대학원 신설 허가 및 방사광 가속기 건설” 중에서


포항공대 대학원 개설 건, 문교부에서 허가를 받고 생명과학과도 신설 요청하였다.
1988년, 이듬해 총 석사 250명, 박사 70여 명 정원으로 되고… 결국 석사 500명, 박사 500명 정도로 성장하는 목표를 설정함.
포항 방사광 가속기 연구소도 건설한다. 김호길 학장은 가속 장치 건설에 여러 가지 협조를 당부했다.
사실 학장은 개교 전 이미 가속기 센터를 후속 사업으로 상정했고, 성공적인 포항공대 설립에 만족한 TJ가 학장의 개교 성공에 답례했다.
호사다마인가? 학장은 두 마리 토끼를 쫓기 시작했는데 우수함을 지향하나 우려도 시작되었다. 결과적으로 가속기 준공 전 유명을 달리하고 대학의 급성장형 발전이 막혔다.
_2장 ╻동서 냉전의 종식과 그 여파 “대학원 신설 허가 및 방사광 가속기 건설”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