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일반
· ISBN : 9788964479407
· 쪽수 : 1596쪽
· 출판일 : 2023-08-15
책 소개
목차
1권
머리말: 종교재판 30년 백서를 출간하며
해제: ‘1992년 기독교대한감리회 종교재판’의 역사적 의미와 과제
I. 1992년 종교재판 판결문
II. 1992년 종교재판의 전개 과정과 일지
III. 감리회 교리 관련 문서들
IV. 1992년 종교재판 이전 주요 논쟁들
V. 1992년 종교재판 관련 주요 인물 프로필
VI. 1992년 종교재판 관련 주요 사건 및 공판 심사 자료
2권
머리말: 종교재판 30년 백서를 출간하며
해제: ‘1992년 기독교대한감리회 종교재판’의 역사적 의미와 과제
I. 1992년 종교재판 관련 언론 보도 및 성명서 모음(1990-1993)
3권
머리말: 종교재판 30년 백서를 출간하며
해제: ‘1992년 기독교대한감리회 종교재판’의 역사적 의미와 과제
I. “감리교를 염려하는 모임” 등 각 단체 주요 대응
II. 변선환 학장
III. 홍정수 교수
IV. 새로운 감리회 신앙고백의 채택
V. 사료 목록
책속에서
주지하듯 모든 신학은 시대와 호흡하며 시대정신을 반영하는 법이다. 시대가 달라지면 신학도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2천 년 서구 기독교 역사가 여실히 보여주었다. 중세 가톨릭 신학과 근대 개신교 신학의 차이를 가늠해 봐도 좋겠다. 서구 신학이 서로 다른 5~6개의 패러다임(세계관) 속에서 전개되었음을 밝힌 학자(H. Kueng)도 있었다.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한 이들 현대 신학 사조는 논쟁과 토론 거리가 될지언정 정죄될 사안은 결코 아니었다. 그리스도 복음이 진리라면 신학은 도전받을수록 사실 적합한 체계로 발전될 수 있다. 감리교 창시자 웨슬리 역시 당대를 지배하던 ‘예정론’ 신학에 이의를 제기했고, 자유의지의 소중함을 가르치지 않았던가? 이로써 누구든 예수 그리스도를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교리로 정죄할 수 없다는 것이 감리교 신학의 정체성이 되었다. 교리가 화석화되면 욥기의 친구들이 그랬듯이 사람을 죽일 수 있는 무기가 됨을 알았던 까닭이다.
- “머리말” 중에서
본디 ‘목회적으로 아무리 정당해도 신학적으로 오류가 있을 수 있고 신학적으로 정당해도 목회적으로 당장 수용키 어려운’ 부분이 있다. 상호 간의 차이점을 성급하게 무화(無化), 폐지 시키는 과정에서 갈등이 불거질 수 있다. 상대 영역을 존중하며 점차적 수렴과정을 겪을 때 신학도, 교회도 건강할 수 있는 법이다. 하지만 30년 전 종교재판(1992년)에 앞서 윤성범, 유동식 등 선배 토착화 신학자들이 목회자들에 의해 ‘종교 혼합 주의자’로 매도된 적이 누차 있었다. 교회 모임에 불려가 자신의 신학을 변호하는 일도 반복되었다. 최초 신학자이자 정동교회 목회자인 최병헌이 유교와 기독교의 연속성을 강조했음에도 말이다.
- “머리말” 중에서
종교재판이 있은 지 30년 세월이 지났다. 이제는 누군가가 당시 상황을 정직하게 고백할 시점이 되었다. ‘교리수호 대책위’를 이끌었던 분들, 당시 법정(금란교회)에서 재판석에 섰던 분들 거의 모두가 세상을 떠났다. 그래도 당시를 기억하는 분들의 입에서 진실이 말해질 때가 올 것이다. 하느님이 숨겨놓은 남은 자가 있을 것인바, 그날, 그 사람의 증언을 기대한다. 이 글 속에서 사실을 말하고자 했으나 일정부분 들었던 이야기에 근거한 추측도 담겼다. 어느 순간 추정이 벗겨지고 온전히 사실이 밝혀져야만 비로소 회개가 가능할 것이며 미래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머리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