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88964620953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18-02-20
책 소개
목차
한국의 독자 여러분께
서문
서장 조선인 강제연행을 묻는 의미
제1장 입안 조사, 그리고 준비가 부족한 채로 시동
1. 식민지기의 조선사회와 인구이동
2. 노동력 부족에 관한 논의
3. 법령 정비와 동원계획의 수립
4. 노동자 확보와 처우 실태
제2장 ‘잉여’ 없는 노동력의 실정
1. 동원의 전개와 모순의 표출
2. 동원에 대한 우려와 이론異論
제3장 밀려드는 모순
1. 조선인 노무동원 제도의 재확립
2. 일본 내지의 동원시책
3. 곤란해지는 조선 내 인원 확보
4. 열악한 대우와 생산성의 저하
제4장 확대되는 사회적 동요와 동원 기피
1. 전황의 악화와 동원의 확대
2. 조선 내 징용 발동
3. 원호시책의 기능부전
제5장 정책의 파탄과 귀결
1. 본토 결전 준비와 계속되는 동원
2. 일본 패전 이후의 귀환과 잔류
3. 피해자와 가해자, 그후
종장 폭력과 혼란의 배경과 요인
후기
옮기고 나서: 제국의 구멍
주요 참고문헌
간략 연표
찾아보기
책속에서
일본 정부는 1934년 10월 「조선인 이주 대책의 건」을 각의결정했다. 이것은 조선인 이동의 통제와 관련해 일본제국이 처음으로 내린 정부 차원의 결정으로, 일본 내지의 일본인 실업 문제나 민족갈등의 격화를 방지하기 위해 조선에서 일본 내지로 이동하는 사람들을 최대한 저지?억제하는 내용이었다. 각의결정 이후 실시된 정책은 실제로 일정한 성과를 거두었다. 조선총독부 통계에 따르면, 1933년과 1934년의 도일자는 15만 명대, 이 가운데 일시 귀향자의 재도일을 제외한 노동자=신규 도일 노동자는 7만 명대였지만, 1935~1937년에는 도일자가 10만~12만 명대의 추이를 보이며 신규 도일 노동자 또한 3만 명대로 떨어졌고 같은 기간 감소했다.
조선 농촌의 ‘과잉인구’를 농촌 이외의 공간으로 이동시켜 정리하려고 했던 조선총독부는 당시, 일본의 탄광으로 노동자를 보내는 데에 찬성하지 않았다. 1937년 6월 27일자 『조선일보』는, 조선인 노동자를 알선해달라는 규슈 지방 탄광의 의뢰를 당국이 허가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보도하고 있다. 이 기사는 당국이 불허 방침을 정한 이유가, 과거 일본 내지의 탄광이 일만 시켜주면 뭐든지 하겠다는 조선인을 끌어와 값싼 임금으로 혹사시킨 “천대 사실”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조선 통치 책임자는 사기성 짙은 모집과 악랄한 노무관리에 따른 조선인의 불만 고조를 경계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그러나 조선에서는 이 같은 체제가 확립되지 않았다. 조선에는 노무 수급을 위한 전문적인 행정기구=직업소개소의 체제가 빈약했기 때문에,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일반 지방행정기구인 부?읍?면이 노무동원과 관련된 사무를 수행했다. 그리고 각 사무소가 구인, 구직을 접수하는 것이 아니라, 조선총독부의 허가를 얻은 개별 기업이 지역사회로 직접 들어가서 모집하는 방법으로 동원계획에서 배정된 인원을 채우는 실정이었다. 게다가 일본 내지와는 달리, 조선 내 노무배치 행정의 기본 법령인 「조선 직업소개소령」에는 연락위원 제도의 규정이 없었다. 이 사실은 기업 관계자가 해당 지역의 질서와 경제를 제대로 고려하지 않고 자기 입맛에 맞게 노동자를 찾아나서도 이를 막을 수 있는 체계가 없었음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