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근현대사
· ISBN : 9788964950838
· 쪽수 : 391쪽
· 출판일 : 2015-07-22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제1장 번벌과 정당정치
1 제2차 마쓰카타 내각
2 대만 통치의 시작
3 제3차 이토 내각과 헌정당
4 전후 경영
5 정당내각의 출현
6 학벌사회의 형성
7 제2차 야마가타 내각
8 입헌정우회와 제4차 이토 내각
제2장 불곰사냥
1 가쓰라 내각의 탄생과 영일동맹
2 러일전쟁의 발발
3 여순 공방전
4 만주의 지상전투
5 운명의 발트함대
6 쓰시마 해전
7 전시체제와 포츠머스 강화조약
제3장 정략결혼
1 전후처리와 사이온지 내각의 출범
2 사회주의운동과 사이온지 내각 독살사건
3 재벌의 등장
4 제2차 가쓰라 내각
5 러일전쟁 이후의 경제동향
6 제2차 가쓰라 내각의 대외정책과 내치
제4장 패망의 씨앗
1 만주 침략의 시작
2 제국국방방침과 군부의 팽창
3 정당정치의 타락과 변천
4 한반도 식민지화 작업
5 제2차 사이온지 내각과 메이지 시대의 종말
제3권 관련 연표
주요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3. 여순 공방전
1852년에 프티아틴이 일본을 개국시키기 위해 크론슈타트를 출항해 나가사키로 향했다. 그로부터 불과 50년 정도 시간이 흐른 시점에서 일본과 한판 승부를 벌이기 위해 러시아의 주력 함대가 같은 항구를 출발한 것이다. 1852년 당시 일본에는 증기선은 물론이고 변변한 범선 한 척 없는 상황이었으나, 이제는 발트함대가 승리를 장담할 수 없을 정도의 해군력을 가지고 있었다. 격세지감을 느끼게 하는 대목이다.
어느덧 여순은 군사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정치적인 차원에서도 중대한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러시아의 국민들에게 여순은 승전에 대한 희망의 등불과 같은 존재로 떠올랐고, 발트함대가 도착할 때까지 버티기만 한다면 전세를 단숨에 역전시킬 수 있다는 믿음을 안겨다 주었다. 유럽의 언론들도 여순을 극동의 세바스토폴이라고 부르며 지대한 관심을 나타냈다. 만약 일본군이 여순을 함락시킨다면 러시아의 전쟁수행 의지를 꺾는 것은 물론, 전쟁의 중대한 전환점이 될 거라는 사실이 누구의 눈에도 분명하게 보였다.
해군은 203고지에 주목하고 이곳의 공략을 3군에게 요구한다는, 육군의 작전에 대한 간섭에까지 나섰다. 그 정도로 해군의 심정은 절박했다. 203고지는 표고가 203미터이어서 붙은 명칭인데 여순을 둘러싼 구릉지 중에서는 가장 높았다. 그래서 유일하게 여순의 시가지가 완전히 내려다보이고, 이곳을 점령하면 여순의 시가지를 향해 포병의 포격을 유도하는 게 가능했다.
결국 203고지를 일본군이 점령하면 러시아 함대는 일본군의 포격을 고스란히 받든지, 아니면 항구 밖으로 나와 대피해야만 하는 궁지에 몰린다. 일단 항구 밖으로 나오면 하이에나처럼 어슬렁거리며 여순 주변을 배회하던 우세한 일본 함대의 밥이 되는 것은 물론이다.
웃기는 사실은 이미 여순의 러시아 함대는 전투능력이 크게 저하되어 일본 해군의 적수가 되지 못하는 상황에 있었다는 점이다. 노기가 제1차 총공격 준비를 할 무렵 상황을 우려한 러시아 황제가 여순의 러시아 함대를 보다 안전한 블라디보스토크로 옮기라고 명령했다. 일본 해군의 요청을 받아들인 노기가 여순 시가지의 대부분을 관측할 수 있는 대고산(大孤山)을 점령했고, 이를 발판으로 중포를 동원해 러시아 함정을 포격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빈약한 일본군의 포격이 러시아 함정에 실제로 준 피해는 그다지 크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현지의 상황을 정확하게 모르는 러시아 황제가 과민반응을 한 것이다.
항구 밖에 진을 치고 기다리는 일본 해군을 피해 무사히 블라디보스토크까지 가기는 매우 어려웠다. 그러나 황제의 직접명령이므로 일단은 항구 밖으로 나오지 않을 수 없었다. 애당초 태평양함대를 블라디보스토크가 아니라 여순에 배치한 게 러시아 해군의 치명적인 실수였다. 만약 블라디보스토크에 배치한다면 그 항구가 부동항이 아니어서 겨울에 작전을 할 수 없다는 점과 여순이 함대방어에 유리하다는 측면을 고려한 것이지만, 전력상 우위에 있는 일본 해군이 선제공격을 하고 여순을 봉쇄한다면 항구 밖으로 나오기 어렵게 된다.
는 사실이 뻔했다. 결국 꼼짝없이 발이 묶여 별다른 역할도 못하는 애물단지로 전락하게 된다.
이러한 바보 같은 결정을 내린 것은 러시아 황제의 숙부에 해당하는 극동 총독 알렉세예프였다. 그는 군사적 지식이나 경험이 거의 없으면서도 극동에 주둔하는 러시아 해군의 지휘권을 가지고 있었다. 다른 사람도 아닌 황제의 숙부이므로 러시아 해군 수뇌부는 그의 어리석은 결정에 제동을 걸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알렉세예프는 여순과 운명을 함께 하지 않고, 일본군이 3군을 배치해 본격적으로 공격을 시작하기 전에 뻔뻔스럽게 여순을 탈출했다.
- 본문 ‘제2장 불곰사냥’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