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64953341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25-10-20
책 소개
목차
개정2판 서문
개정판 서문
제1장 :: 철도의 발전과정과 철도의 영향력
제1절 | 일본 철도의 발전과정과 흐름
1. 초기 발달과 철도 국유화
2. 철도 국유화로부터 제2차 세계대전까지
3. 전후에서 현재까지
4. 철도 발전의 특징
제2절 | 일본 철도의 특성과 발달(1872년~민영화 이전)
1. 메이지 시대의 철도(개업에서 국유화까지)
2. 양 대전의 기간과 전시기의 철도(1907~1945)
3. 국철에서 JR로
제3절 | 국철 경영의 변천과 분할 정책의 전개 과정
1. 국철 경영과 분할 민영화
2. 공공기업체·국철 탄생으로부터 경영 안정기(1950년~1960년대 후반)
3. 대규모의 근대화 투자와 적자경영의 시작(1960년대 후반)
4. 국철 이용의 감소현황과 경영 개선계획의 실패(1970년대 전반)
5. 국철 경영난의 가중과 기업조직의 붕괴(1970년대 후반)
6. 경영 파탄과 국철 민영화의 결단(1980년대)
7. JR 체제의 출발과 신체제의 지지기구(1986년 체제)
8. JR 체제의 정착과 혼슈(本州) 3개 회사의 완전 민영화(1990년대에서 21세기로)
9. 부의 유산으로부터의 탈피와 규제 완화의 시대 도래(2000년 이후)
10. 국철 운영난의 내부 요인 - 무엇을 고쳐야 했는가?
11. 국철 운영난의 외부 요인 - 누가 국철 경영 재건을 방해했는가?
제2장 :: 철도정책
제1절 | 철도 네트워크의 발전과 기능
1. 초기 철도정책과 변화
2. 철도망의 변화
3. 철도정책과 철도의 기능
4. 맺는말
제2절 | 철도화물의 민영화와 분리
1. 일본의 철도화물회사 분리 개요
2. 철도화물 분리 시의 주요 쟁점 및 추진내용
제3절 | 철도역의 르네상스
1. 들어가며
2. 역의 르네상스
3. 변화
4. 맺는말
제3장 :: 철도 운영
제1절 | 철도사업에서의 사고방지와 안전확보
1. 서론
2. 일본의 철도사고 역사
3. 일본의 철도사고 현황
4. 철도안전의 3가지 과제
5. 후쿠치야마선 사고와 운수안전행정의 전환
6. 소결
제2절 | 일본의 철도 여객수송과 철도사업
1. 일본의 여객 철도 현황
2. 도시·지역 철도 : 사철 경영을 중심으로
제3절 | 고속철도
1. 들어가면서
2. 신칸센의 탄생
3. 신칸센 네트워크의 확대
4. 국철 분할 민영화 후의 신칸센
5. 신칸센 각 노선의 개요와 새로운 기술에 대한 도전
6. 신칸센 개통의 효과
7. 신칸센의 안전 대책 등
8. 소결
제4절 | 화물철도의 변화와 발전
1. 서론
2. 화물철도의 개관
3. 화물철도의 근대화와 수송체계의 개선
4. 타 수송기관과의 경쟁 및 협동 수송
5. 장래 화물철도의 역할
제4장 :: 지역 및 해외 진출
제1절 | 지역 철도의 위기와 새로운 교통정책의 전개 방식
1. 일본 지역 철도 형성 경위와 개관
2. 새로운 교통정책의 모색 - 지역 공공교통법의 성립
3. 교통정책 기본법의 경위
4. 교통정책 기본법과 관련 법안
5. 지역 철도의 새로운 움직임
제2절 | 일본 철도의 해외 진출
1. 일본 해외철도기술협력협회의 발전과정과 활동
2. 해외철도기술협력협회의 활동 : 일본 철도의 대만 진출
제5장 :: 일본 철도를 통해 본 한국 철도의 발전 방안
제1절 | 철도를 통해 본 동아시아의 교훈
제2절 |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한 철도 역할 증대
제3절 | 지속 가능형 교통체계 구축을 위한 철도 물류의 활성화
제4절 | 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책임 체계 구축
제5절 | 미래철도 노선 및 제안
에필로그 _ 근·현대 우리 철도와 과제
연표 _ 일본 철도의 주요 역사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일본은 1868년 메이지(明治) 유신 이후 1872년에 철도를 부설하였다. 메이지 유신은 강제적 근대화이며, 위로부터의 근대화로 철도는 이러한 새로운 변화의 산물이었다. 당시 철도는 중앙집권과 부국강병을 위한 수단으로 부설되었다.
초기 일본 철도는 자금 부족으로 외자도입을 포함하여 정부에서 추진한 철도였으며, 외국자본만으로도 부족하여 민간의 사설 철도가 함께 건설되었다. 1881년 정부에서 보조하는 민간철도회사인 일본철도회사가 설립되어 철도건설이 적극적으로 추진되었다.
제1장_철도의 발전과정과 철도의 영향력
일본 철도의 또 하나의 특징은 철도 애호가가 많다는 것이다. 일본에는 약 50~60만 명 정도로 추산되는 철도 애호가가 있으며, 이들은 철도 발전에 크게 작게 기여를 하였다. 그중 약 5~7만 명 정도의 애호가들은 철도와 관련된 책은 항상 구매하는, 이른바 독서 애독자층을 구성하고 있다.
제1장_철도의 발전과정과 철도의 영향력
러일전쟁 후인 1905년 12월 제1차 가쓰라 타로 내각(次桂太郎内閣)에서 ‘철도 국유법안’, ‘철도 국유의 취지 개요’, ‘매수가격에 관한 조서’, ‘공채 상환에 관한 조서’ 등, 이른바 철도 국유 관련 법안이 각의에서 결정되었다. 그 후 가쓰라 내각(桂内閣)이 히비야 방화 사건의 책임을 지고 총사직하면서 이 법안은 1906년 1월에 조직된 사이온지 긴모치 내각(西園寺公望内閣)에 인계되었다.
제1장_철도의 발전과정과 철도의 영향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