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비평론
· ISBN : 9788965640745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13-07-15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문 | 일본(어)의 8월
제1부 전후라는 프레임
제1장 고토쿠 슈스이와 평화적 팽창주의
‘고토쿠 슈스이’라는 고유명의 탄생 | 착종하는 ‘제국주의’ 개념 | 구성되는 평화주의와 [20세기의 괴물 제국주의]
전쟁 책임론과 전후 책임론의 한계 | 비전 / 반전론의 원근법
제2장 [파계]에서의 ‘텍사스’
시마자키 도손의 [파계]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 차별 해소법으로서의 식민론 | ‘평화적’ 팽창론의 전사
《사회주의》의 ‘이동’ 언설 | 일본의 식민지 ‘텍사스’
제2부 기억을 둘러싼 항쟁
제3장 전략으로서의 ‘조선’ 표상
나카노 시게하루의 시 ?비 내리는 시나가와역?의 번역 문제 | 제국 일본의 프롤레타리아 문학 운동
조선어 미디어와 서적의 이동 | ‘조선인’은 피압박 민중인가 | 연대의 환상
제4장 식민지를 소비한다
전향과 식민지 작가의 조건 | 최승희와 장혁주의 대담 | ‘일제.국산’ 식민지 스타의 탄생
우리의 ‘조선’ | 이중 언어와 일본(어) 문학의 기원을 둘러싼 환상
제5장 총력전과 [파계]의 개정
다시 [파계]에 대하여 | ‘부락’과 ‘조선’의 교착 | 전국수평사의 운동 방침
총력전을 향하여 | ‘국민문학’으로 재생하는 [파계]
제3부 전후 신화의 노이즈
제6장 문학과 8월 15일
‘일본인’은 피압박 민족인가 | 김달수의 [현해탄]과 국민문학 | 8월 15일의 원근법 |《신일본문학》과 《민주조선》
제7장 ‘식민지 일본’이라는 신화
김달수와 허남기 | ‘저항’하는 주체의 편성 | 점령 정책과 《민주조선》
일본공산당의 이중적 태도 | ‘공투’의 함정
제8장 공투장에서의 여자들
메이데이 포스터 | 저항하는 ‘어머니’의 경계 | ‘팡팡(양공주)’이라는 신체
맺음말 | 성조기의 그늘 : 아베 가즈시게 『신세미아』와 점령의 기억
평화로운 닛폰에서 | ‘점령’이라는 공간과 시간의 교착 | ‘9·11’과 독자의 위치 |폭력의 기억을 보고 듣고 이야기하다
후주
옮긴이 후기
인명 찾아보기
책속에서
기억은 단절되는 것도 지속되는 것도 아니라, 역사적.사회적 콘텍스트와 교섭하면서 되풀이하여 재편된다. 일본어에도 각종 기억의 파편이 마치 노이즈처럼 새겨져 있다. 이런 이유로, 1945년 이후 통용되는 ‘전후’라는 말에 의해 어떤 원근법이 작동하게 된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었다. 그리고 앞으로는 ‘전후’라는 프레임을 뒤흔든 ‘3?11’이라는 말에 의해 어떤 원근법이 작동하는지를 물어야 할 것이다. ―‘한국어판 서문’ 중에서
이 책은 총 3부로 구성되어 있다. 각 장에서 다루는 텍스트나 사건은, 러일전쟁 전후(前後)-아시아 태평양전쟁-점령기의 흐름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통사적으로 기술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1945년부터 1955년 사이에 근대의 기억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그것이 한일국교정상화, 베트남전쟁, 냉전붕괴, 9·11이라는 사건들과 마주치면서 어떤 충돌과 재편을 반복하는지에 주목한 것이다. 기억은 단절되는 것도 지속되는 것도 아니라, 역사적·사회적 콘텍스트와 교섭하면서 되풀이하여 재편된다. 일본어에도 각종 기억의 파편이 마치 잡음처럼 새겨져 있다. 이런 의미에서 1945년 이후 통용되는 ‘전후’라는 말에 의해서 어떤 원근법이 작동하게 된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서문’ 중에서
냉전이 붕괴된 1990년대 이후 일본에서는 아시아 나라들에 대한 가해 책임과 관련하여 ‘전쟁 책임’ ‘식민지 책임’ 논쟁이 전개되었다. 또 세계체제의 변화와 연동하면서 내셔널리즘을 넘는 ‘동아시아’ 네트워크 만들기의 모색이 활발하다. 그러나 1945년 ‘8월 15일’을 일본의 내부에서만 통용되는 ‘패전’으로 파악하고 1945년을 ‘전후(戰後)’라는 말로 표현하는 것에 어떤 프레임이 작동하게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주의 깊게 생각해야만 한다. ―9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