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하운 시선

한하운 시선

(초판본)

한하운 (지은이), 고명철 (엮은이)
지만지(지식을만드는지식)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200원 -5% 0원
800원
14,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14,88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2,800원 -10% 640원 10,880원 >

책 이미지

한하운 시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하운 시선 (초판본)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88966807819
· 쪽수 : 258쪽
· 출판일 : 2013-07-30

책 소개

'지식을만드는지식 시선집' 한하운 시선집. 한하운 시를 읽는 것은 처절한 고통과 대면하는 일이다. 이 고통은 관념의 차원이 아니라 실재의 차원에서 우리를 엄습해 오기 때문에 더욱 고통스럽게 살을 저미는 아픔으로 다가온다.

목차

≪보리피리≫(人間社, 1955)
國土 遍歷····················5
靑芝有情·····················8
踏花歸·····················10
明洞 거리 2···················12
부엉이·····················14
무지개·····················16
海邊에서 부르는 波濤의 노래···········17
三防에서····················18
리라 꽃 던지고··················20
楊子江·····················22
悲愴······················23
秋夕 달·····················25
觀世音菩薩像··················26
癩婚有恨····················28
人骨笛·····················30

≪韓何雲 詩 全集≫(人間社, 1956)
全羅道 길····················37
손가락 한 마디··················39
나는 문둥이가 아니올시다·············40
罰·······················42
목숨······················43
데모······················44
열리지 않는 門··················46
파랑새·····················48
삶·······················49
막다른 길····················50
어머니·····················51
明洞 거리 1···················52
비 오는 길····················53
自畵像·····················54
개구리·····················56
꼬오·스톱···················57
洋女······················59
자벌레의 밤···················60
業果······················61
秋雨日記····················62
秋夜怨恨····················63
나·······················64
봄·······················65
女人······················66
愁愁夜曲····················67
何雲······················69
追憶 1······················71
追憶 2······················73
昌慶苑·····················74
故鄕······················75
버러지·····················76
冷水 마시고 가련다················79

≪定本 韓何雲 詩集≫(無何文化社, 1964)
靈歌······················83
서울의 봄 ····················84
도라지 꽃····················85
漢江水·····················87
落花流水····················89


시집 미수록 작품
明洞 거리 3···················93
恩津彌勒佛···················98
세월이여····················101
五馬島·····················104
1964년 우리 생의 전쟁을 하자···········106
새 빛······················109
自有黨·····················111
제13회 세계 癩者의 날에·············121
제14회 세계 癩者의 날에·············126
인간 행진····················129
巨木은 거목···················132
행복······················135
春日遲遲····················137
낙엽······················139
포인세티아 꽃··················141
春蛙······················143
파고다공원···················146
한국기독교球癩會 창립총회···········148
삼월의 노래···················153
≪새 빛≫ 지령 100호··············156
哭 陸 女史님 영전에···············160
나병의 날에···················164
白木蘭 꽃···················165
到處春風····················167
新雪······················169
旅愁······················171
刑月······················173
歸鄕······················175
戀主님·····················177
쉬이 문둥이···················179
솜다리 꽃····················180
山 가시내····················182
라일락 꽃····················184
천하대장군ㆍ지하여장군·············186
白鳥······················191
輪廻······················193
驪歌······················195
思鄕······················197
한여름 밤의 氷宮················198
작약도·····················200
고구려 무용총 벽화···············202
상달······················204
양갈보·····················206
大漢門 앞의 밤·················210
어머니 생각···················212
꽃·······················213
50년 찬가····················214
校歌······················218
噫 50년·····················219
부평 지역 청년단체연합회에 부친다········220
祈願······················223
回心······················225
今 6월·····················228

해설······················231
지은이에 대해··················243
엮은이에 대해·················246

저자소개

한하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19년 함경남도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태영(泰永)이다. 그는 일제 강점기에 조선인으로서는 입학하기 힘든 함경남도의 이림농림학교의 축산학과에 합격했다. 이때 일본어로 된 ≪시론(詩論)≫과 ≪시학(詩學)≫, ≪시작강좌(詩作講座)≫를 읽으면서 시를 습작했다. 그러면서 바이런, 하이네, 릴케, 타고르, 워즈워스, 베를렌 등의 시를 읽으면서 시 공부를 했다. 축산학과를 다니면서 문학을 공부하고 시를 습작하던 한하운은 1936년 경성제국대학 부속 병원에서 나병 확진을 받는다. 이후 그는 이리농림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동경 유학 도중 나병이 악화되어 귀국하고, 금강산에서 요양을 한다. 그는 나병을 앓으면서 애인과의 실연, 삶에 대한 환멸 때문에 만주를 거쳐 북경으로 간다. 그는 북경대학교 농학원 축목학계(畜牧學系)에 입학해 졸업을 한 후 함경남도청 축산과에 근무하다가 고향인 함흥으로 돌아간다. 이때부터 본명인 ‘태영’을 버리고, ‘하운’을 본격적으로 자신의 이름으로 삼은 채 문학에 정진한다. 일제 말 노골화한 군국주의 현실에서 심해진 나병이 목숨을 위협했으나 문학은 그를 구원해 준 마지막 힘이었다. 1945년 해방을 맞이한 뒤 북쪽에서는 소련 군정이 실시되었고, 그는 아우와 함께 헌책방을 운영하면서 시와 소설 습작에 몰두했다. 소련 군정으로 인한 경제 혼란과 이념의 억압 속에서 함경도 학생들 중심으로 1946년 3월 13일 함흥학생사건이 일어났다. 그는 사건 혐의자로 감옥에 갇혔다. 병보석으로 풀려난 후 월남했고, 다시 북으로 넘어갈 때 체포 · 투옥되었지만 이감 수송 중 원산에서 탈출해 월남했다. 그는 ‘나시인(癩詩人) 한하운 시초(詩抄)’라 하여, <전라도 길>, <별>, <목숨> 등 시 13편을 ≪신천지(新天地)≫ 1949년 4월호에 발표한다. 그리고 같은 해 5월에 정음사에서 첫 시집 <한하운시초>를 간행했다. 1950년 강원도와 황해도를 배회하다가 경기도 부평에 나환자 수용촌 성계원을 건설하고 자치회장에 선출되었다. 이후 나환자를 위한 사회적 봉사와 나병 퇴치 노력, 즉 나해방(癩解放)을 위한 노력을 지속했다. 1954년 대한한센총연맹을 결성해 위원장으로 활동한 것 역시 그 일환이다. 이후 그의 두 번째 시집 ≪보리피리≫가 1955년에 인간사에서 간행된다. 그리고 그동안 연재되던 <나의 슬픈 반생기>가 1958년에 ≪고고한 생명-나의 슬픈 반생기≫란 제목으로 인간사에서 출간되었다. 그는 나병이 음성으로 판명되면서 본격적인 사회생활을 하는데, 1960년에 한미제약회사를 창립하는가 하면, 같은 해 7월에 서울 명동에 무하문화사(無何文化史)란 출판사를 설립했고, 자작시 해설집 ≪황토길≫을 간행했다. 1964년 7월에는 나병 해방을 위한 원대한 취지에서 월간 ≪새 빛≫을 창간했고, ≪정본 한하운 시집≫을 무하문화사에서 간행했다. 1960년대는 한하운이 가장 왕성한 사회활동을 보인 시기였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는 1971년 한국카톨릭사회복지협의회를 결성해 회장에 취임한다. 1973년에 한하운 시비가 소록도에 세워졌고, 1975년 2월 28일 간경화증으로 인천 자택에서 죽음을 맞이했다.
펼치기
고명철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70년 제주에서 태어나, 성균관대 국어국문학과 및 같은 대학원에서 「1970년대 민족문학론의 쟁점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8년 『월간문학』 신인상에 「변방에서 타오르는 민족문학의 불꽃-현기영의 소설세계」가 당선되면서 문학평론 활동을 시작했다. 저서로는 『세계문학, 그 너머』, 『문학의 중력』, 『흔들리는 대지의 서사』, 『리얼리즘이 희망이다』, 『문학, 전위적 저항의 정치성』, 『잠 못 이루는 리얼리스트』, 『뼈꽃이 피다』, 『지독한 사랑』, 『칼날 위에 서다』, 『순간, 시마에 들리다』, 『논쟁, 비평의 응전』, 『비평의 잉걸불』, 『‘쓰다’의 정치학』, 『1970년대의 유신체제를 넘는 민족문학론』 등이 있고, 편저로는 『격정시대』, 『김남주 선집』, 『천승세 선집』, 『채광석 선집』, 『한하운 시선』, 『장준하 수필선집』 등이 있다. 이외에 다수의 공저와 공동 편저가 있다. 문예지 『실천문학』, 『비평과전망』, 『리얼리스트』, 『리토피아』, 『바리마』 편집위원을 역임하였으며, 젊은평론가상, 고석규비평문학상, 성균문학상을 수상하였다. 인도 델리대학교 동아시아학부의 방문교수와 중국 단둥에 있는 요동학원 한조(韓朝)대학에서 초빙교수를 지냈고, 2025년 현재 구미중심주의 문학을 넘어서기 위해 아프리카, 아시아, 라틴아메리카 문학 및 문화를 공부하며, 광운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全羅道 길
- 小鹿島로 가는 길

가도 가도 붉은 황톳길
숨 막히는 더위뿐이더라

낯선 친구 만나면
우리들 문둥이끼리 반갑다.

天安 삼거리를 지나도
쑤세미 같은 해는 西山에 남는데

가도 가도 붉은 황톳길
숨 막히는 더위 속으로 쩔룸거리며
가는 길

신을 벗으면
버드나무 밑에서 지까다비를 벗으면
발가락이 또 한 개 없어졌다

앞으로 남은 두 개의 발가락이 잘릴 때까지
가도 가도 千里, 먼 全羅道 길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30429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