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신동엽 문학기행

신동엽 문학기행

(이 세상에 나온 것들의 고향을 생각했다)

고명철, 김응교, 김지윤, 김진희, 김형수, 맹문재, 박은미, 신좌섭, 이대성, 이지호, 최종천 (지은이)
소명출판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10% 0원
950원
16,1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신동엽 문학기행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신동엽 문학기행 (이 세상에 나온 것들의 고향을 생각했다)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작가론
· ISBN : 9791159055409
· 쪽수 : 293쪽
· 출판일 : 2020-08-24

책 소개

신동엽 아카이브 3권. 단순히 신동엽 시인 삶터의 순례를 안내하는 가이드북이 아니다. 신동엽 문학의 중심이 되는 삶과 자유를 새롭게 해석하고 보여주는 인문교양 지리지이며, 과거와 현재를 잇는 문학적 의미의 가교역할을 하는 책이다.

목차

여기, 우리와 함께하는 신동엽

부여시대
생가-자연의 아들로 자라난 시인의 고향과 옛집의 체온(김지윤)
금강-시혼의 원류, 민족 역사를 담은 금강(김지윤)
낙화암-내 고향은 강언덕에 있었다(박은미)
백마강가-신동엽 시 구상의 태자리(이지호)
공주 우금치, 부여 곰나라-사랑과 혁명의 시인, 신동엽 「산에 언덕에」(김응교)

서울시대
돈암동-서울아, 너는 조금이 아니었다(맹문재)
명성여고-명성여고 야간부, 국어교사 신동엽(이대성)
서울시청 부근-『아사녀阿斯女』 출판기념회와 서울시청 앞(김진희)
종로5가-종삼의 배경학 - 신동엽 「종로5가」, 서경식 「종로4가」(김응교)

제주도와 문학관
신동엽이 본 공사장-신동엽 시의 노동과 노동자(최종천)
제주도-신동엽과 아시아, 그리고 제주 여행길(고명철)
신동엽 시비와 묘지-시비와 묘소에 얽힌 사연(신좌섭)
다시 생가와 문학관-신동엽 시인의 부여와 생가 이야기(김형수)

저자소개

김응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인, 문학평론가. 일본 문학과 일본에 관한 책으로 『일본적 마음』, 『백년 동안의 증언―간토대지진, 혐오와 국가 폭력』, 『일본의 이단아―자이니치 디아스포라 문학』, 『韓國現代詩の魅惑』(東京: 新幹社, 2007) 등을 썼다. 다니카와 ㅤㅅㅠㄴ타로 시선집 『이십억 광년의 고독』, 양석일 장편 소설 『어둠의 아이들』, 『다시 오는 봄』, 오스기 사카에의 『오스기 사카에 자서전』 등을 우리말로 옮기고, 고은 시선집 『いま,君に詩が來たのか: 高銀詩選集』(東京: 藤原書店, 2007)를 사가와 아키와 함께 일본어로 옮겼다. 시집 『부러진 나무에 귀를 대면』, 『씨앗/통조림』, 네 권의 윤동주 연구서 『처럼―시로 만나는 윤동주』, 『나무가 있다―윤동주 산문의 숲에서』, 『서른세 번의 만남―백석과 동주』, 『윤동주 문학지도―걸어가야겠다』 등을 썼다. 『동아일보』에 “동주의 길”, 『서울신문』에 “작가의 탄생”, 『중앙일보』에 “김응교의 가장자리”를 연재했다.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순헌칼리지 교수이고, 신동엽학회 학회장이다. 샤롯데출판문화대상 본상, 대산문화재단 외국문학 번역기금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맹문재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63년 충북 단양에서 태어나 고려대 국문과 및 같은 대학원을 졸업했다. 대담집 『행복한 시인 읽기』 『순명의 시인들』, 시집 『먼 길을 움직인다』 『물고기에게 배우다』 『책이 무거운 이유』 『사과를 내밀다』 『기룬 어린 양들』 『사북 골목에서』, 시론 및 비평집으로 『한국 민중시 문학사』 『지식인 시의 대상애』 『시학의 변주』 『만인보의 시학』 『시와 정치』 『현대시의 가족애』, 공동번역서 『시론』 『크리스마스캐럴』 등이 있다. 안양대 국문과 교수이다.
펼치기
김형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인, 소설가, 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시집 『가끔 이렇게 허깨비를 본다』, 장편소설 『나의 트로트 시대』, 『조드-가난한 성자들 1,2』, 소설집 『이발소에 두고 온 시』, 평론집 『흩어진 중심』 등과 『문익환 평전』, 『소태산 평전』, 『김남주 평전』을 출간했으며 작가 수업 시리즈 『삶은 언제 예술이 되는가』, 『삶은 어떻게 예술이 되는가』, 『작가는 무엇으로 사는가』로 큰 반향을 얻었다. 2023년 518문학상(본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고명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0년 제주에서 태어나, 성균관대 국어국문학과 및 같은 대학원에서 「1970년대 민족문학론의 쟁점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8년 『월간문학』 신인상에 「변방에서 타오르는 민족문학의 불꽃-현기영의 소설세계」가 당선되면서 문학평론 활동을 시작했다. 저서로는 『세계문학, 그 너머』, 『문학의 중력』, 『흔들리는 대지의 서사』, 『리얼리즘이 희망이다』, 『문학, 전위적 저항의 정치성』, 『잠 못 이루는 리얼리스트』, 『뼈꽃이 피다』, 『지독한 사랑』, 『칼날 위에 서다』, 『순간, 시마에 들리다』, 『논쟁, 비평의 응전』, 『비평의 잉걸불』, 『‘쓰다’의 정치학』, 『1970년대의 유신체제를 넘는 민족문학론』 등이 있고, 편저로는 『격정시대』, 『김남주 선집』, 『천승세 선집』, 『채광석 선집』, 『한하운 시선』, 『장준하 수필선집』 등이 있다. 이외에 다수의 공저와 공동 편저가 있다. 문예지 『실천문학』, 『비평과전망』, 『리얼리스트』, 『리토피아』, 『바리마』 편집위원을 역임하였으며, 젊은평론가상, 고석규비평문학상, 성균문학상을 수상하였다. 인도 델리대학교 동아시아학부의 방문교수와 중국 단둥에 있는 요동학원 한조(韓朝)대학에서 초빙교수를 지냈고, 2025년 현재 구미중심주의 문학을 넘어서기 위해 아프리카, 아시아, 라틴아메리카 문학 및 문화를 공부하며, 광운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이다.
펼치기
최종천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6년 『세계의문학』을 통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으로 『눈물은 푸르다』 『나의 밥그릇이 빛난다』 『고양이의 마술』 『인생은 짧고 기계는 영원하다』 『그리운 네안데르탈인』이 있고 산문집으로 『노동과 예술』이 있다. 제20회 신동엽창작상, 제5회 오장환문학상을 받았다.
펼치기
박은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 강사. 대표 논문으로 「신동엽 시인의 라디오 대본 연구」, 「신동엽 시에 나타난 사랑의 의미 연구」와 연구서 『신동엽 문학기행』 등이 있다.
펼치기
김진희 (엮은이)    정보 더보기
숙명여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문학박사를 받았다. 1999년 『지구문학』에 「조지훈론」으로 등단하고 1999년 ‘제3회 에피포도문학상’ 평론부분을 수상했다. 숙명여대 리더십 개발원의 연구원 및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과제지원 토대연구’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 한국 여성문학 자료 수집.정리」의 책임연구원으로 참여했다. 2018년 현재 숙명여대 한국어문학부 강사로 있으며 한국어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으로 인문학콘텐츠의 개발연구를 진행 중이다. 박사논문으로 「한국 근대 기행시 연구」(2008)가 있으며, 공저로 『한국 여성문학 자료집』1-6권 등이 있다.
펼치기
김지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인, 문학평론가, 상명대학교 교수. 2006년 『문학사상』 신인상 시 부문을 수상해 시인으로 등단했으며, 2016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평론 부문 당선으로 평론가로 등단했다. 연세대학교 인문학부(국문학, 영문학)를 졸업하고 연세대 대학원에서 문학석사를, 숙명여대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시집 『수인반점 왕선생』, 『피로의 필요』, 공저 『요즘비평들』, 『한국 현대문학의 쟁점과 전망』, 『시, 현대사를 관통하다』 , 『영화와 문학, 세계를 걷다』, 『다시 새로워지는 신동엽』 등이 있고 다수의 평론과 국내외 연구논문들이 있다. 2012년 제17회 시와시학상 젊은 시인상을 수상했으며 쓴 책이 2013년 문광부 우수도서로 선정되었다.
펼치기
이지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남 부여에서 태어났다. 2011년 창비 신인문학상에 시 「돼지들」 외 9편이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지은 책으로 『시인의 안양공공예술 산책』, 시집 『말끝에 매달린 심장』이 있다. bunsmile@naver.com
펼치기
이대성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 국문과 박사다. 논문 「신동엽 시에 나타난 인유 양상과 그 효과 연구」, 『석가탑"|멀고 먼 바람소리』 등을 냈다.
펼치기
신좌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9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및 같은 대학원에서 의료역사학 석사를, 한양대학교 사범대학에서 교육공학 박사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 교수로 재직하는 동안 갈등 화해와 집단 의사 결정을 촉진하는 국제 공인 퍼실리테이터 및 개발도상국의 인적 역량을 강화하는 개발 협력 전문가로 활동했다. 2022년부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연수원 원장을 역임했다. 시집 『네 이름을 지운다』, 저서 『안전하고 건강한 노동을 위하여』, 번역서 『이타적 유전자』 『의학의 역사』 등이 있다. 2024년 3월 30일 타계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