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이 중국에 거하라

이 중국에 거하라

(‘중국은 무엇인가’에 대한 새로운 탐구)

거자오광 (지은이), 이원석 (옮긴이)
글항아리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230원
22,27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이 중국에 거하라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이 중국에 거하라 (‘중국은 무엇인가’에 대한 새로운 탐구)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중국문화
· ISBN : 9788967350130
· 쪽수 : 460쪽
· 출판일 : 2012-09-17

책 소개

중국 사상사의 거장 거자오광의 역작. 저자는 중국의 정체성을 새롭게 규정하기 이전에 앞서 과거 중국의 정체성을 검토한다. 먼저 고대부터 19세기 말에 이르는 시기에 받아들여지던 중국의 정체성을 살펴본다.

목차

자서自序

실마리 글 “중국” 관련 역사 서술의 재정립
- 민족국가로부터 역사를 구원할 것인가, 아니면 역사 속에서 민족국가를 이해할 것인가?
이끄는 말: “중국”이라는 문제와 문제로서의 “중국” | 스키너에서 하트웰로: “지역 연구”로부터 도출되는 중국의 동일성에 대한 의문 | 아시아에서 출발하는 사고: 아시아 속으로 융해된 “중국” | 일부 대만 학자들의 견해: 동심원 이론 | 위대한 칸의 나라: “중국” 역사에 대한 원나라와 청나라의 도전 | 탈현대의 역사학: 민족국가로부터 어떤 역사를 구제할 것인가? | 중국 역사 속에서 역사적 중국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맺는 말: 역사, 문화 그리고 정치 ? 중국 연구의 세 가지 관점
[덧붙이는 글 1]
[덧붙이는 글 2]

제1부 역사 속에서 이해된 중국

제1장 송대 “중국” 의식의 출현
- 근세 민족주의 사상의 기원에 관하여
“중국론”과 “정통론”: 중국 의식의 참된 출현 | 실제 정치와 관념·상상의 차이: 천하, 사이四夷, 조공, 적국 | 중국: “국경”의 출현 | 민족, 국가, 문화의 관념: 반이교 의식과 도통의 확립 | 한족다운 것과 중국다운 것: 무엇이 한족다운 것이자 중국다운 것인가?

제2장 산해경山海經, 직공도職貢圖 그리고 여행 기록 속의 이역에 대한 기억
- 마테오 리치 입국 전후 중국인의 이역에 대한 지식 자원 및 그 변화
상상과 지식의 차이: 이역의 상상 | 이역의 상상을 구축한 세 부류의 자원: 여행기, 직공도, 신화·전설·우화 | 상상에 상상을 덧붙이고 이야기에 이야기를 덧붙이다: 여인국, 개인간 나라, 시체 머리, 오랑캐 | 마테오 리치 이전의 이역에 대한 상상: 고전 지식과 역사 기록에서 비롯한 것 | 마테오 리치가 중국에 온 이후: “천하”로부터 “만국”으로

제3장 사상사로서의 고여도古輿圖
- 테두리와 중앙: 유럽의 고대 세계지도에 나타난 동양에 대한 상상 | 천하에서 만국으로: 화이도, 여지도, 우적도에 나타난 옛 중국의 관념세계 | 불교 지도: 다른 세계에 대한 상상 | 안의 제하와 밖의 제이: 명대의 해방지도海防地圖를 예로 들어 | 대“공”과 무“사”: 명대의 지방지 지도에서 본 당대인들의 공사公私 관념 | 맺으며
[부록] 수수께끼의 옛 지도

제2부 아시아 , 동아시아 , 그리고 중국의 교착

제4장 서양과 동양 혹은 동양과 동양
- 청대 중엽 조선과 일본의 중국관
누가 “동양”이고 무엇을 “중화”라 하는가?: 17세기 중엽 이후 점차 멀어진 중국, 일본, 한국 | 명나라 이후 중화는 없다: 조선인의 소감 | 누가 중화 문화의 혈통인가?: 표류한 당선 선원과 일본인의 필담 | 길을 나누어 달리다: 17세기 이후의 동아시아에 일체감이 있었는가?

제5장 상상한 것과 실재하는 것: 누가 “아시아”에 일체감을 가졌던가?
- 청말 민국 초 일본과 중국의 “아시아주의” 언설에 관하여
일본 근대의 아시아주의에 대하여 | 청말 민국 초 “아시아주의”에 대한 중국의 복잡한 반응 | 세계지도에 나타난 각자의 상상: 중국과 일본의 차이 | 민족주의와 세계주의 또는 전통성과 근대성

제6장 국가와 역사 사이
- 중국 도교, 일본 신도, 천황제 사이의 관계에 대한 일본의 논쟁을 실마리로 삼아
이끄는 말: 작은 문제로부터 파생된 큰 주제 | 두 “복福”의 논쟁, 무엇에 대해 논쟁했는가? | 쓰다 소키치와 중국 도교에 대한 그의 판단 | 쓰다 소키치의 곤경: “영향”인가 “차용”인가? | “옛 층” 밑의 “옛 층”: 신도와 천황에 대하여 | 중국의 영향: 일본 학계의 새로운 관점 | 고구려를 경유했는가? 도교의 동아시아 전파 노선도 | 중국학 학자들의 논쟁 참여: 미야자키 이치사다의 설명 | 귤이 화이수이 강을 건너면 탱자가 된다: 중국 도교와 일본 신도의 차이 | 맺는 말: 도교, 신도, 천황제에 대한 논쟁의 배후

제3부 아시아 이해와 중국 역사의 방법

제7장 국경의 관문은 어디인가?
- 19세기 말 20세기 초 일본의 “만주, 몽고, 회족, 장족, 조선”학의 배경
이끄는 말 | 청말 민국 초 또는 메이지·다이쇼 시기: “만주, 몽고, 신장위구르, 티베트, 조선” 연구에 대한 일본의 흥미와 동양사학의 형성 | 유럽과 승부를 다투다: 일본 역사학자들이 중국의 주변에 대해 연구하게 된 동기 중 하나 | 청국비국론淸國非國論: 만주·몽고·회족·서장·조선학이 일본에서 흥성했던 역사적 배경과 정치적 의미 | 국경인가 주변인가?: 역사와 현실에서 중국의 경계를 어떻게 정할 것인가

제8장 “서역”에서 “황해”로
- 새로운 역사세계의 형성, 방법, 문제
이끄는 말-문명 교착의 공간: 지중해, 서역, 황해 | 서역: 근대 유럽 동방학, 일본 동양학의 방향 전환으로부터 둔황의 대발견에 이르기까지 | 황해: 동아시아 근세에서 전통 문명의 교착과 분리 | 연구 중심과 방법: 서역과 황해 연구의 차이

결론 흐름에의 참여豫流, 입장, 방법
- 문학·사학 연구의 새로운 시각을 찾아서
이끄는 말: 학술사가 우리에게 알려주는 것은? | 국제적 시야: “노학”에서 “주변으로부터 중국 파악하기”로 | 중국의 입장: 해외 중국학과의 비교 | 교착의 문화사: 선을 그어놓고 그 안에만 갇히면 안 된다 | 맺는 말

주註
참고문헌
찾아보기
옮긴이의 말

저자소개

거자오광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상하이 출신으로 베이징대학 중문과를 졸업하고 칭화대학 인문학원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는 상하이 푸단대학 사학과 교수이자 문사연구원(文史硏究院) 학술위원으로 있다. 중국 사상사 및 문화사 분야에서 현재 중국을 대표하는 최고의 석학으로 꼽힌다. 『중국사상사(中國思想史)』, 『이 중국에 거하라-‘중국은 무엇인가’에 대한 새로운 탐구(宅玆中國-重建有關‘中國’的歷史論述)』, 『중국이란 무엇인가?-강역, 민족, 문화와 역사(何謂中國?-疆域, 民族, 文化與歷史)』, 『이역을 상상하다-조선 연행 사절단의 연행록을 중심으로(想像異域-讀李朝朝鮮漢文燕行錄札記)』 등 수많은 논저가 있다.
펼치기
이원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철학과 부교수 공저로 『동서사상의 회통』, 『서학의 충격과 접변』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맹자』의 주요 개념에 대한 정도전의 이해」, 「이고(李翶)의 성선정악설(性善情惡說) 연구」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주희의 역사세계』, 『위잉스 회고록』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