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전형과 변주 (조선시대 한문학의 계보적 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한국어/한문
· ISBN : 9788967350789
· 쪽수 : 640쪽
· 출판일 : 2013-10-21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한국어/한문
· ISBN : 9788967350789
· 쪽수 : 640쪽
· 출판일 : 2013-10-21
책 소개
우리 문인들에게도 큰 영향을 끼쳤던 명대 이반룡의 「고악부서古樂府序」에는 흥미로운 예화가 실려 있다. 한나라 고조 유방은 장안의 궁궐에 모셨음에도 부친이 기뻐하지 않는 것을 의아하게 생각했다. 알아보니 본래 살던 풍읍의 왁자지껄한 삶이 그리웠기 때문이었다.
목차
제1부 나의 장례식: 자만시自挽詩
제1장 자만시自挽詩의 시적 계보와 조전 전기의 자만시
제2장 조선시대 자만시의 유형적 특성
제3장 가장假裝된 죽음과 고통의 기억
제2부 초상화 속의 내 얼굴: 화상자찬 畵像自贊
제1장 화상자찬류?像自贊類 문학의 존재 양상과 자아 형상화 방식의 특징
제2장 한국 화상자찬?像自贊의 전형典型과 변주變奏
제3부 환영幻影을 만드는 사람들: 마술공연의 관람 기록들
제1장 연행록에 나타난 환술 인식幻術認識의 변화와 박지원의 「환희기幻?記」
제2장 18세기 이후 연행록 환술 기록幻術記錄의 형성 배경과 특성
제3장 환희시幻?詩를 통해 본 청대 북경의 환술幻術
제4장 박지원 「환희기幻?記」의 환술幻術 고증과 분석
제4부 연행록의 계보학: 처음과 끝
제1장 조선시대 최초의 북경 사행시使行詩, 장자충張子忠의 <판서공조천일기判書公朝天日記>
제2장 대청사행對淸使行의 종결과 마지막 연행록
제5부 협객의 형상: 유협시遊俠詩
제1장 유협시遊俠詩의 유형적 전통과 17세기 조선시단의 유협시
제6부 차별과 연대: 조선시대의 개성 출신 문인들
제1장 조선 중기 송도松都 문인 시에 나타난 심미 경향의 특질
제7부 전범과 일탈: 조선 중기 한시에서의 관습과 개성
제1장 조선 중기 한시에서의 ‘기奇’
주
참고문헌
출처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