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고대사(선사시대~진한시대)
· ISBN : 9788967355173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18-05-14
책 소개
목차
제1장 원소가 막을 올리다
대학살을 벌이다
막을 올린 인물
늑대를 집에 끌어들이다
문벌에서 군벌로
조조의 등장
제2장 조조가 채찍을 휘두르다
천자를 맞이하다
조조와 원소의 결별
장수를 항복시키다
유비를 놓치다
관도대전
제3장 손권과 유비의 동맹
형주의 구원 요청
제갈량이 세상에 나오다
노숙의 계획
손권의 결단
적벽대전
제4장 천하를 셋으로 나누다
황제가 아니라 왕이라 칭하다
유비가 촉으로 들어가다
형주 토벌
맥성으로 가다
이릉대전
제5장 제갈량의 통치
유비가 아들을 맡기다
제갈량의 집권
촉한의 멸망
동오의 길
다른 길, 같은 결과
제6장 도원결의의 꿈에서 깨다
천년의 꿈
다시 손권을 말하다
다시 유비를 말하다
다시 제갈량을 말하다
다시 조조를 말하다
저자 후기 │ 언제쯤 삼국을 잊게 될까
옮긴이의 말 │ ‘삼국연의’가 아니라 ‘삼국시대’를 보라
부록 │ 본문에 언급된 삼국시대 사건 연표
리뷰
책속에서
그제야 삼고초려가 이뤄졌다. 하지만 여기에는 문제가 있다. 제갈량이 정말 가서 만날 수만 있고 부를 수는 없는 존재였을까? 그렇다면 어째서 그는 자청해서 유비를 만나러 갔던 걸까? 그는 이미 유비를 만난 적이 있는데 유비가 또 굳이 삼고초려를 할 필요가 있었을까? 위의 의문은 확실히 설득력이 있다. 실제로 제갈량 쪽에서 먼저 유비를 만나러 갔을 가능성도 충분하다. 당시 형주가 위기를 눈앞에 둔 상태였기 때문이다. 천하를 걱정하는 제갈량으로서는 절대로 앉아 있을 수만은 없었을 것이다. 나아가 그런 책임감 때문에 그가 처음부터 유비의 존경과 신뢰를 얻었을 것이라고 추측해볼 수도 있다.
이제 결론을 내려보자. 위, 촉, 오는 본질적으로 모두 ‘비사족 정권’이었으며 세 나라의 주인도 다 사족이 아니었다. 그래서 모두 사족계급과 갈등이 있었다. 그 투쟁의 결과를 보면 위나라는 포기했고 오나라는 타협했으며 촉한은 고수했다. 그렇게 고수했기 때문에 촉한이 먼저 망했고 그렇게 포기했기 때문에 위나라도 망했다. 또 그렇게 타협했기 때문에 오나라는 잠시 구차하게 목숨을 연명하긴 했지만 역시 망할 수밖에 없었다. 마지막에 남은 서진은 완전히 사족지주계급의 정권이었다. 이것이 바로 삼국시대였다. 그러면 우리는 이 시대의 역사를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가?
후한 영제靈帝 사우의 낙양落陽은 온 성에 살기가 가득했다.
그때는 후한後漢 왕조의 마지막 시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