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91167971227
· 쪽수 : 752쪽
· 출판일 : 2024-01-30
책 소개
목차
ㄱ
가歌 21
가명假名 22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 22
가행체歌行體 23
간艮 23
간성干城 24
감坎 25
감고지금監古知今 26
감물感物 27
갑골문甲骨文 27
강산江山 28
강서시파江西詩派 29
강신수목講信修睦 30
강유剛柔 30
강유상제剛柔相濟 31
강의剛毅 32
개물성무開物成務 32
개읍불개정改邑不改井 33
거안사위居安思危 33
거현용중舉賢容衆 34
건乾 35
건안풍골建安風骨 35
검儉 36
격格 37
격隔 / 불격 不隔 38
격물치지格物致知 39
격의格義 40
격이檄移 40
격조格調 42
견리사의見利思義 42
견문지지見聞之知 43
견미지저見微知著 43
견소포박見素抱樸 44
견의용위見義勇爲 45
견현사제見賢思齊 46
결구結構 46
겸애兼愛 47
겸청兼听 48
경經, 권權 49
경건勁健 50
경京(경사京) 51
경계境界 51
경릉파竟陵派 52
경생상외境生象外 53
경세치용經世致用 54
경업락군敬業樂群 55
경제經濟 56
경학經學 57
고苦 Duhkha 57
고고高古 58
고담枯淡 59
고문운동古文運動 60
고음苦吟 62
곡曲 62
곤坤 63
골骨, 육肉 64
공空 Śūnyatā 65
공공사사公公私私 65
공령空靈 66
공명共名 67
공사公私 67
공생명公生明, 염생위廉生威 68
공안지악孔顏之樂 69
공안파公安派 69
공욕선기사工欲善其事,
필선리기기必先利其器 70
공정公正 71
과거科擧 72
과식夸飾 73
과욕寡慾 74
과유불급過猶不及 75
관례冠禮 75
관상觀象 76
광견狂狷 77
광달曠達 77
광이불요光而不耀 78
괘효卦爻 79
괘효사卦爻辭 79
교졸巧拙 80
교학상장教學相長 81
교화敎化 82
구동존이求同存異 82
구리국가苟利國家, 불구부귀不求富貴 83
구방심求放心 84
구주九州 84
국가國家 85
국무원민왈강국國無怨民曰強國 86
국이의위리國以義爲利 86
국체國體 87
국태민안國泰民安 88
군君 88
군자고궁君子固窮 89
군자君子 89
군자모도불모식君子謨道不謨食 90
군자불기君子不器 91
군자선군君者善群 92
군자의이위질君子義以爲質 92
군자지교君子之交 93
군현郡縣 94
굴송屈宋 95
궁리진성窮理盡性 95
궁조宮調 96
궁즉변窮則變, 변즉통變則通, 통즉구通則久 97
권백풍일勸百風一 98
극기복례克己復禮 99
금문金文 99
기골氣骨 100
기器 101
기幾 102
기氣 102
기리肌理 103
기상氣象 104
기소불욕己所不欲, 물시어인勿施於人 105
기운氣韻 106
기정奇正 107
기질지성氣質之性 108
기탁寄託 109
ㄴ
낙생樂生 110
낙천지명樂天知命 111
난세지음亂世之音 111
남북서파南北書派 112
남희南戱 113
내미內美 114
년年 114
논설論說 115
농담濃淡 116
뇌비誄碑 117
능자득사자왕能自得師者王 118
ㄷ
다행불의필자폐多行不義必自斃 120
단견성정但見性情, 부도문자不睹文字 120
단청丹靑 121
달명達名 122
담박淡泊 123
담박명지淡泊明志, 영정치원寧靜致遠 123
당인불량 124
당행當行 125
대교약졸大巧若拙 126
대국자하류大國者下流 126
대도지간大道至簡 127
대동大同 128
대수살大收煞 129
대신불약大信不約 130
대용大用 130
대의정성大醫精誠 131
대일통大一統 132
대장부大丈夫 133
대전大篆 134
대절大節 134
대체大體, 소체小體 135
대학大學 136
덕德 137
덕성德性 137
덕성지지德性之知 138
도광양회韬光养晦 139
도道 139
도都 140
도문학道問學 141
도법자연道法自然 142
도부동道不同, 불상위모不相爲謀 142
도심道心 143
도제천하道濟天下 144
독만권서讀萬卷書, 행만리로行萬里路 145
독서성령獨抒性靈, 불구격투不拘格套 145
독화獨化 146
동광체同光體 147
동귀수도同歸殊途 148
동성파桐城派 148
동정動靜 150
동포同胞 150
득도다조得道多助, 실도과조失道寡助 151
득인자흥得人者興, 실인자붕失人者崩 152
띠生肖 153
ㄹ
락이불음樂而不淫, 애이불상哀而不傷 155
려麗 155
려여서시厲與西施, 도통위일道通爲一 156
력力 157
리理 157
ㅁ
만초손滿招損, 겸수익謙受益 159
망국지음亡國之音 159
명덕明德 160
명命 161
명분사군明分使群 161
명실名實 162
명잠名箴 163
모순矛盾 164
목격도존目擊道存 164
목내도외睦內圖外 165
목눌木訥 166
몽이양정蒙以養正 167
묘산廟算 167
묘오妙悟 168
묘호廟號 169
무상無常 169
무아無我 170
무욕즉강無欲則剛 171
무용지용無用之用 171
무위無爲 172
무위지치無爲而治 173
문계혁명文界革命 174
문기文氣 175
문명文明 175
문이의위주文以意爲主 176
문이재도文以載道 176
문인화文人畫 177
문장文章 178
문지聞知 179
문질文質 179
문필文筆 180
문학文學 181
물극필반物極必反 182
물物 183
물색物色 184
물화物化 184
미불유초靡不有初, 선극유종鮮克有終 185
미자美刺 186
민무신불립民無信不立 187
민심民心 187
민심유본民心惟本 188
민용자전승民勇者戰勝 189
민유방본民惟邦本 190
민이식위천民以食爲天 190
민주民主 191
민포물여民胞物與 192
ㅂ
박시제중博施濟衆 193
박애博愛 193
반구제기反求諸己 194
반反 195
반야般若 196
반자도지동反者道之動 196
발분저서發憤著書 197
발섬농어간고發纖穠於簡古, 기지미어담박寄至味於淡泊 198
발호정發乎情, 지호예의止乎禮義 198
방미두점防微杜漸 199
방민지구防民之口, 심어방천甚於防川 200
방원方圓 201
방편方便 202
백마비마白馬非馬 202
백묘白描 203
백희百戲 204
번뇌煩惱 205
번욕繁縟 206
범애泛愛 206
법法 207
법불아귀法不阿貴 208
법신法身 209
법여시변法與時變, 예여속화禮與俗化 210
법자法者, 소이금폭이솔선인야所以禁暴而率善人也 211
법자소이애민야法者所以愛民也 211
법자천자소여천공공야法者天子所與天下公共也 212
법치法治 213
변새시邊塞詩 213
변체辨體 214
변화變化 215
별명別名 216
별재별취別材別取 217
별집別集 218
병강이무의자잔兵強而無義者殘 219
병강즉멸兵强則滅 219
병귀승兵貴生, 불귀구不貴久 220
병이의동兵以義動 221
병자兵者, 소이금폭제해야所以禁暴除害也 221
병자흉기兵者凶器, 쟁자역덕爭者逆德 222
병형상수兵形象水 223
보민保民 223
보민이왕保民而王 224
보제菩提 225
복화상의福禍相倚 225
본말本末 226
본무本無 227
본색本色 227
봉건封建 229
봉선封禪 229
부비흥賦比興 231
부용출수芙蓉出水 231
부전夫戰, 용기야勇氣也 232
부점불탈不黏不脫, 부즉불리不卽不離 233
부진공不眞空 234
북곡北曲 235
분分 236
불망백성지병不忘百姓之病 237
불분불계不憤不啟, 불비불발不悱不發 237
불사지사不似之似 238
불섭리로不涉理路, 불락언전不落言筌 239
불성佛性 240
불언지교不言之敎 240
불이不二 241
불전이승不戰而勝 242
불전재아不戰在我 242
불평즉명不平則鳴 243
불학시不學詩, 무이언無以言 244
비개悲慨 245
비공非攻 246
비극태래否極泰來 246
비덕比德 247
비명非命 248
비이부당比而不党 248
빙례聘禮 249
ㅅ
사곡詞曲 250
사기도모寫氣圖貌 250
사단四端 251
사달辭達 252
사례射禮 252
사명私名 253
사목입신徙木立信 254
사무사思無邪 254
사문斯文 255
사법지화師法之化 255
사史 256
사思 257
사詞 258
사상四象 259
사상체요辭尚體要 260
사생취의捨生取義 261
사서四書 261
사세지류事勢之流, 상격사연相激使然 262
사여경해思與境偕 262
사의寫意 263
사재삼장史才三長 264
사직社稷 265
사직위장師直爲壯 265
사출유명師出有名 266
사해四海 267
사해지내개형제四海之內皆兄弟 267
사화詞話 268
산수시山水詩 269
삼계三界 270
삼불휴三不朽 271
삼사이행三思而行 272
삼성오신三省吾身 272
삼재三才 273
삼표三表 274
삼현三玄 274
상공치미병上工治未病 275
상동尚同 276
상례喪禮 277
상반상성相反相成 278
상병벌모上兵伐謀 278
상常 279
상象 280
상선벌악賞善罰惡 281
상선약수上善若水 281
상수象數 282
상신벌필賞信罰必 283
상외지상象外之象, 경외지경景外之景 284
상의의국上醫醫國 284
상제上帝 285
상주사파常州詞派 286
상하동욕자승上下同欲者勝 287
상현尚賢 288
색色 289
생생生生 289
서계書契 290
서곤체西昆體 291
서도書道 292
서恕 293
서성書聖 293
서원書院 294
서자書者, 산야散也 295
선거選擧 296
선위국자불기기민善爲國者不欺其民 297
선체選體 298
선패자불망善敗者不亡 298
설지說知 299
설화說話 300
성당지음盛唐之音 301
성령性靈 302
성률聲律 303
성무선무악性無善無惡 304
성무애락聲無哀樂 305
성분性分 306
성삼품性三品 307
성선性善 307
성선악혼性善惡混 308
성城 309
성性 309
성聖 310
성誠 311
성악性惡 311
성의誠意 312
성인成人 313
성인聖人 314
성일무청聲一無聽, 물일무문物一無文 314
성죽어흉成竹於胸 315
세련洗練 316
세勢 317
세외도원世外桃園 318
세이사이世異事異 318
세한삼우歲寒三友 319
소강小康 320
소밀疏密 321
소산간원蕭散簡遠 322
소설小說 323
소수살小收煞 324
소식消息 325
소요逍遙 325
소위이행素位而行 326
소인小人 327
소전小篆 327
소절小節 328
손巽 329
솔성率性 329
송잡극宋雜劇 330
송찬頌讚 331
수경瘦硬 333
수기안인修己安人 333
수덕진병修德振兵 334
수묵화水墨畫 335
수물부형隨物賦形 335
수사입성修辭立誠 336
수양생식修養生息 337
수인위어授人以漁 338
수제치평修齊治平 339
수지청즉무어水至清則無魚 339
순망치한脣亡齒寒 340
순명책실循名責實 341
순무불행順無不行, 과무불철果無不徹 341
순소純素 342
순천응인順天應人 343
숭본거말崇本舉末 343
숭본식말崇本息末 344
습習 345
시가삼매詩家三昧 345
시계혁명詩界革命 346
시궁이후공詩窮而後工 348
시덕자창恃德者昌, 시력자망恃力者亡 348
시무달고詩無達詁 350
시사詩史 351
시서時序 352
시時 352
시詩 353
시언지詩言志 354
시연정詩緣情 355
시인여기視人如己 355
시중時中 356
시중유화詩中有畵, 화중유시畵中有詩 357
시호諡號 358
시화詩話 358
식서지도識書之道 360
식識 360
신교身教 362
신독愼獨 362
신사명변愼思明辯 363
신사神思 364
신信 365
신神 365
신언불미信言不美, 미언불신美言不信 366
신여물유神與物遊 367
신운神韻 368
신이전신信以傳信, 의이전의疑以傳疑 369
신종여시慎終如始 370
신종추원愼終追遠 370
실사구시實事求是 371
실상實相 371
심동리동心同理同 372
심술心術 373
심心 374
심열성복心悅誠服 375
심음지정審音之政 375
심재心齋 376
심지心知 377
심허실審虛實 378
십년수목十年樹木, 백년수인百年樹人 379
ㅇ
아속雅俗 381
아악雅樂 382
악교樂敎 383
악樂 383
안거낙업安居樂業 384
안빈낙도安貧樂道 385
안시처순安時處順 386
안토중천安土重遷 386
애경사락哀景寫樂 387
애국여가愛國如家 388
애류愛類 389
애민愛民 390
애민자강愛民者强 391
애인심자구현급愛人深者求賢急 391
애인위대愛人爲大 392
애인이덕愛人以德 393
애적哀吊 394
야무유현野無遺賢 395
약정속성約定俗成 396
양기養氣 396
양민養民 397
양사良史 398
양의兩儀 399
양의불능구무명良醫不能救無命 399
양주팔괴揚州八怪 400
양지良知 401
양출제입量出制入 402
언부진의言不盡意 402
언유물言有物, 행유항行有恒 403
언자무죄言者無罪, 문자족계聞者足戒 404
언지무문言之無文, 행이불원行而不遠 405
언진의言盡意 405
언필신言必信, 행필과行必果 406
업業 407
여래장如来藏 408
여민경시與民更始 409
여사麗辭 409
여시소식與時消息 410
여시해행與時偕行 411
연기緣起 411
연독이위경緣督以爲經 412
연호年號 412
열반涅槃 413
염불念佛 414
염황炎黃 415
엽락귀근葉落歸根 416
영명체永明體 416
영사시詠史詩 417
예禮 417
예상왕래禮尙往來 418
예서隸書 419
예술藝術 420
오경五經 421
오대당풍吳帶當風 422
오덕종시五德終始 422
오륜五倫 423
오월동주吳越同舟 424
오음五音 424
오행상생五行相生 425
오행상승五行相勝 426
오행五行 427
온고지신溫故知新 428
온유돈후溫柔敦厚 428
와유臥遊 429
완약파婉約派 430
왕도王道 431
왕王 432
왕자부민王者富民 432
외사조화外師造化, 중득심원中得心源 433
욕강병자欲強兵者, 무부기민務富其民 434
욕欲 435
용龍 435
용어불감勇於不敢 436
용勇 437
용재鎔裁 437
우공이산愚公移山 438
우인優人 439
우주宇宙 440
운韻 441
웅혼雄渾 442
원본院本 443
원元 443
원융圓融 444
원자怨刺 445
원잡극元雜劇 446
원형이정元亨利貞 447
원화체元合體 448
위기지학爲己之學 449
위인유기爲仁由己 449
위정이덕爲政以德 450
위편삼절韋編三絕 450
위학일익爲學日益, 위도일손爲道日損 451
유교무류有敎無類 452
유덕자필유언有德者必有言 452
유명類名 453
유무有無 454
유병불치有病不治, 상득중의常得中医 454
유아지경有我之境, 무아지경無我之境 456
유용내대有容乃大 457
유遊 458
육경개사六經皆史 459
육관六觀 459
육예六藝 460
육의六義 461
윤리倫理 461
윤집궐중允執厥中 462
윤회輪回 463
은사隐士 464
은수隱秀 465
은일시隱逸詩 466
은현隐顯 467
음수사원飮水思源 468
음양陰陽 468
음音 469
의경意境 470
의대議對 471
의물입상擬物立象 472
의법義法 473
의불칭물意不称物, 문불태의文不逮意 474
의상意象 475
의용취심擬容取心 476
의義 477
의이생리義以生利, 이이풍민利以豐民 477
의자인심醫者仁心 478
의흥意興 479
이간易簡 480
이견백離堅白 481
이국위국以國爲國, 이천하위천하以天下爲天下 481
이利 482
이離 483
이무위본以無爲本 484
이무위식以武爲植, 이문위종以文爲種 484
이병二柄 485
이용후생利用厚生 486
이의역지以意逆志 486
이의제사以義制事 487
이인동심二人同心 기리단금其利斷金 487
이일분수理一分殊 488
이재정사理財正辭 489
이전지전以戰止戰 489
이직보원以直報怨 490
이체二諦 491
이취理趣 492
이풍역속移風易俗 493
이형거형以刑去刑 493
이형득사離形得似 494
이형미도以形媚道 495
이형사신以形寫神 495
인도人道 496
인륜人倫 497
인명관천人命關天 497
인문人文 498
인문화성人文化成 499
인민애물仁民愛物 499
인부천수人副天數 501
인심人心 501
인원상국人怨傷國 502
인人 503
인仁 504
인자무적仁者無敵 505
인자애인仁者愛人 506
인자요산仁者樂山, 지자요수智者樂水 506
인자자애仁者自愛 507
인재시교因材施教 508
인정仁政 509
인치人治 510
인혁因革 511
일물양체一物兩體 512
일신日新 513
일언흥방一言興邦 513
일이관지一以貫之 514
일一 515
일천제一闡提 516
일획一畫 516
임연리박臨淵履薄 518
입주뇌立主腦 519
입중제절立中製節 520
ㅈ
자강불식自强不息 522
자미滋味 523
자생自生 523
자연영지自然英旨 524
자연自然 525
자유自由 526
자慈 526
자지탈주紫之奪朱 527
장구章句 528
장부어민藏富於民 529
장성長城 530
장주몽접莊周夢蝶 531
장표章表 531
재才 532
재주복주載舟覆舟 533
적선성덕積善成德 533
적자지심赤子之心 534
전기傳奇 535
전법필본어정승戰法必本於政勝 536
전사불망前事不忘, 후사지사候事之師 537
전식前識 538
전신사조傳神寫照 539
전아典雅 540
전원시田園詩 540
전익다사轉益多師 541
절기節氣 542
절지천통絶地天通 543
점철성금點鐵成金 543
정겸아원情兼雅怨 544
정경情景 545
정교情敎 546
정귀유항政貴有恆 547
정기程器 548
정기精氣 549
정명正名 549
정문입설程門立雪 550
정발어성情發於聲 551
정성正聲 552
정성鄭聲 553
정시체正始体 553
정심正心 554
정의正義 555
정인지도靜因之道 555
정자정야政者正也 556
정情 557
정鼎 557
정치政治 558
정토淨土 559
정통인화政通人和 560
제국유상制國有常, 이민위본利民爲本 560
제궁조諸宮調 561
제례祭禮 562
제물齊物 563
제민지산制民之產 563
제자백가諸子百家 564
제자학諸子學 565
제悌 565
조진궁장鸟尽弓藏 566
조책詔策 567
존덕성尊德性 567
존비폄첩尊碑貶帖 568
존사중도尊師重道 569
존생尊生 570
종교宗敎 571
종묘宗廟 571
종법宗法 572
좌망坐忘 573
주계奏啓 573
주문이휼간主文而譎諫 574
중국中國 575
중도中道 576
중용中庸 577
중지성성眾志成城 577
중화中和 578
중화中華 579
지과위무止戈爲武 579
지락무락至樂無樂 580
지리地理 581
지상달변知常達變 581
지선행후知先行後 582
지원행방智圓行方 583
지음知音 583
지智 584
지척유만리지세咫尺有萬里之勢 585
지치이후용知恥而後勇 586
지행知行 587
지행합일知行合一 588
직심直尋 588
직直 589
진시전의陳詩展義 590
진심盡心 591
진언무거陳言務去 591
진震 592
진충보국盡忠報國 593
집사광익集思廣益 593
징회미상澄懷味像 594
ㅊ
착벽차광鑿壁借光 596
착채누금錯彩鏤金 596
참험參驗 597
창름실이지예절倉廩實而知禮節 598
창생대의蒼生大醫 599
창신暢神 600
천경지의天經地義 601
천도天道 601
천뢰天籟 602
천리지제千里之提, 궤우의혈潰於蟻穴 603
천리지행千里之行, 시어족하始於足下 604
천리天理 605
천명미상天命靡常 605
천명지성天命之性 606
천명天命 607
천문天文 607
천상묘득遷想妙得 608
천시지리인화天時地利人和 609
천인감응天人感應 610
천인지분天人之分 610
천인합일天人合一 611
천자天子 612
천天 613
천하내천하지천하天下乃天下之天下 614
천하위공天下爲公 614
천하天下 615
천하흥망天下興亡, 필부유책匹夫有責 616
청명淸明 617
청사여구清詞麗句 618
청이물천情以物遷, 사이정발辭以情發 619
체성體性 620
체용體用 621
체體 621
초사楚辭 622
초서草書 623
총집總集 625
추기급인推己及人 626
추은推恩 626
축맹祝盟 627
축丑 628
춘절春節 629
춘추春秋 630
춘추필법 春秋筆法 631
충담沖淡 632
충서蟲書 633
충忠 634
취경取境 634
취趣 635
치내재외治內裁外 636
치대국약팽소선治大國若烹小鮮 637
치세지음治世之音 637
치痴 638
치耻 639
칙則 640
친지親知 640
친친親親 641
침울沈鬱 642
칭정입문称情立文 642
ㅌ
타산지석他山之石, 가이공옥可以攻玉 644
탈과구脫窠臼 644
탈태환골奪胎換骨 645
태강체太康體 646
태극太極 647
태兑 647
태학太學 648
태허太虛 649
투도보리投桃报李 649
ㅍ
판교判敎 651
팔괘八卦 652
팔음극해八音克諧 652
패도覇道 653
평등平等 654
평준平准 655
포법처세抱法處勢 656
표거흥회標舉興會 657
표일飄逸 658
품제品題 658
풍골風骨 659
풍교風敎 660
풍신風神 662
풍아송風雅頌 663
풍영諷詠 663
풍유諷諭 664
풍유豊腴 665
풍육미골豊肉微骨 666
풍화風化 667
ㅎ
학學 668
한악부漢樂府 669
함영涵泳 669
함축含蓄 670
합동이合同異 672
해내海內 672
해서楷書 673
해외海外 674
해의반박解依盤礴 674
해폐解蔽 675
행기유치行己有恥 676
행림杏林 677
행서行書 678
행선지후行先知後 679
향원鄉愿 679
향음주례鄕飮酒禮 680
허기이유세虛己以遊世 681
허일이정虛壹而靜 681
허정虛靜 682
허虛 683
혁고정신革故鼎新 683
혁명革命 684
현덕玄德 685
현람玄覽 685
현량자고懸梁刺股 686
현언시玄言詩 687
현인賢人 687
현玄 688
현호제세悬壶济世 689
혈구지도絜矩之道 689
혈기血氣 690
협화만방協和萬邦 691
형구신생形具神生 691
형기어무형刑期於無刑 692
형명形名 693
형이상形而上 693
형이하形而下 694
형제혁어장兄弟鬩於牆, 외어기모外禦其侮 694
혜민惠民 695
호방파豪放派 696
호생好生 697
호연지기浩然之氣 698
호전필망好戰必亡, 망전필위忘戰必危 699
혼돈渾沌 700
혼례婚禮 701
홍범洪範 702
화간과위옥백化干戈爲玉帛 702
화경化境 703
화공化工, 畵工 704
화도畵道 705
화룡점정畵龍點睛 706
화성기위化性起僞 707
화실생물和實生物 707
화위귀和爲貴 708
화이부동和而不同 709
화출어적和出於適 709
화하華夏 710
화해和諧 710
화和 711
환재토붕患在土崩, 부재와해不在瓦解 712
환중유진幻中有眞 713
활법活法 714
황제皇帝 715
황하黃河 716
황한荒寒 716
황홀恍惚 717
회사후소繪事後素 718
회심會心 719
회원이덕懷遠以德 719
회화육법繪畫六法 720
효孝 721
후덕재물厚德載物 722
후적박발厚積薄發 723
흥관군원興觀群怨 723
흥기興寄 724
흥리제해興利除害 725
흥상興象 726
흥취興趣 727
흥興 728
희문戲文 729
책속에서
세계의 다양한 지역과 다양한 국가, 다양한 민족의 문명이 어느 역사 시기보다 더 빠르고 더 광범위하게 유동하며 융합되는 중이다. 각 국가와 민족은 모두 자신만의 독특한 사상, 문화, 담론체계를 갖고서 마땅히 세계 문명과 세계 담론체계 속에서 각자의 자리를 차지한 채 온당한 지위와 존중을 얻어야 한다. 그리고 사상문화술어는 의심의 여지없이 한 국가와 민족의 담론 체계에서 가장 핵심적이고 가장 본질적인 부분으로서 그 국가와 민족이 가진 사상의 ‘골수’이고, 문화의 ‘뿌리’이고, 정신의 ‘혼’이고, 학술의 ‘핵’이다. 오늘날 점점 더 많은 지식인들이 중국의 사상과 문화에 오늘날 인류가 직면한 수많은 난제의 힌트가 담겨 있다는 것을 깨닫고 있다. 중국 민족이 창도한 ‘후덕재물厚德載物’, ‘도법자연道法自然’, ‘천인합일天人合一’, ‘화이부동和而不同’, ‘민유방본民惟邦本’, ‘경세치용經世致用’ 등의 사상과, 중국 민족이 추구한 ‘협화만방’, ‘천하일가’, 세계 ‘대동’은 현재 세계 문명의 발전 추세를 대표하며, 그래서 국제사회의 공감대를 얻었다. 점점 더 많은 외국 학자와 친구들이 중국의 사상, 문화와 그 술어들에 대해 깊은 흥미를 보이고 더 깊이, 전면적으로 이해하고 싶어 한다. 지금 우리가 중국 사상문화 술어를 정리하고, 풀이하고, 편역하고, 전파하는 목적은, 중국의 전통적인 사상과 문화에 입각해 전면적이고 체계적인 정리와 해석으로 그 속에서 중국의 철학사상, 인문정신, 사유방식, 가치관, 문화적 특징을 반영하면서도 시공간과 국경을 초월하는 의미와, 영원한 매력과 당대적 가치를 지닌 내용을 발굴하는 데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