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88967355555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18-11-01
책 소개
목차
서문
1부 낯선 세계: 애도로 향하는 여행
1장 출발 장소: 저자의 메시지
2장 첫 몇 주간을 위한 메모
3장 애도의 감정적·신체적 영향을 이해하기
4장 애도 과정에 대한 잘못된 믿음과 오해
2부 뒤집힌 세계: 산산이 흩어진 자신을 모으기
5장 뒤집힌 세계
6장 다른 이와의 연결
7장 힘겨운 시기들: 명절, 기념일, 기타
8장 따로 또 함께 애도하기: 남성과 여성의 애도에 대한 이해
9장 아이들의 애도 돕기
3부 우리 이야기
10장 친구를 잃었을 때
11장 부모를 잃었을 때
12장 자녀를 잃었을 때
13장 연인·배우자를 잃었을 때
14장 형제자매를 잃었을 때
15장 전사한 영웅들
16장 자살
17장 대형 참사
18장 그 외의 특정 상황들
4부 애도를 지나는 길
19장 앞으로 나아갈 길: 애도의 여정을 이해하기
20장 믿음
21장 자조와 치료
22장 애도 회복 과정과 안내용 연습 자료
23장 여행은 계속됩니다: 저자들이 남기는 메모
부록
참고문헌
옮긴이의 말
리뷰
책속에서
다른 사람들은 당신에게 “계속 참여하세요” “좀더 맡아보세요” “새로운 것을 시도해봐요” 또는 “일상으로 돌아가요”라고 할 것입니다. 하지만 이런 충고들은 의미가 없습니다. 자신을 돌볼 에너지가 없거나 집중할 수 없는데 왜 당신이 더 추가적인 책임을 짊어져야 하나요? 물론 짧은 시간 동안은 당신이 애도의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당신은 여전히 애도 중입니다. 여기에는 돌아갈 길이 없습니다.
어떤 이들은 애도가 직선적인 일련의 과정이라고 잘못 생각하기도 합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회복은 당신을 절망의 1층에서 평화와 이해의 최고층으로 데려다주는 엘리베이터 같은 것이 아닙니다. 유령의 집 안의 사방이 거울로 된 방처럼, 당신이 빠져나갈 때까지 왜곡되고 변형된 자신의 모습을 보고 또 보게 되는 것과 비슷합니다.
우리의 정체성 중 많은 부분은 타인과의 관계에서 비롯됩니다. 누군가를 잃으면, 우리는 종종 자신의 일부 역시 잃습니다. 그와의 관계가 가까웠을수록, 자신의 더 많은 부분에 대한 재정의가 요구됩니다. 타인에 의해 우리를 정의하는 것은 삶을 풍부하게 만들어주지만 상실을 겪게 될 경우 비어 있음으로 재정의된다는 것 역시 의미합니다.